강형식
강형식 강형식 | |
|---|---|
| 거주지 | 나이로비 |
| 국적 | 대한민국 |
| 시민권 | 대한민국 |
| 직업 | 외교관 |
| 활동 기간 | 1991년 ~ 현재[1] |
| 고용주 | 대한민국 외교부 |
| 소속 | 대한민국 외교부 |
| 전직 | 주밀라노 대한민국 총영사[2] |
| 칭호 | 주케냐 대한민국 대사 |
| 칭호 기간 | 2025년 3월 5일 ~ [3] |
| 전임자 | 여성준[4] |
| 상훈 | 영산외교인상(2020)[5] |
| 강형식 | |
|---|---|
| 한글 표기: | 강형식 |
| 개정 로마자 표기: | Gang Hyeongsik |
| 매큔-라이샤워 표기: | Kang Hyŏngsik |
| 예일 표기: | Kang Hyengsik |
| 공식 로마자 표기: | Kang Hyung-shik |
강형식은 대한민국 외교부 소속 외교관으로, 2025년 3월 5일부터 케냐 주재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로 근무하고 있다.[3] 주케냐 대사로서 유엔환경계획(UNEP)과 유엔-해비타트 상주대표 업무를 겸하며,[6] 주케냐 대한민국 대사관이 담당하는 소말리아 대외관계도 총괄한다.[7][8] 이전에는 2021년 6월부터 2024년까지 밀라노 총영사를 지냈고,[2] 외교부 본부에서 해외안전관리기획관으로 재외국민 보호 체계를 담당했다.[5]
강형식은 주케냐 대한민국 대사관의 수장으로서 양국 간 고위급 교류, 투자·무역 협력, 개발협력, 공공외교, 재외국민 안전과 권익 보호를 총괄하였다.[7] 또한 나이로비 주재 유엔기구인 UNEP·UN‑Habitat에 상주대표로 참여해 환경·도시 분야 다자외교를 수행하며,[9] 소말리아에 대한 비상주 공관업무(신임장 사본 제정, 양자 현안 협의 등)도 수행했다.[8]
생애
[편집]대한민국 외무부에 1991년 입부하였다.[1] 재외공관 근무로는 미국 휴스턴, 인도 뉴델리, 중국 베이징·청도·선양 등에서 근무하였다.[1] 본부에서는 해외안전관리기획관으로 재직하며 사건·사고 대응 및 재외국민 보호 기능을 총괄하였다.[10][5]
경력
[편집]- 1991년: 대한민국 외무부 입부.[1]
- 주미국 휴스턴 총영사관 근무; 주인도 대한민국 대사관(뉴델리) 근무;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및 청도·선양 총영사관 근무.[1]
- 2019~2020년경: 외교부 해외안전관리기획관(재외국민 보호·사건사고 대응 총괄).[10][5]
- 2021년 6월 11일 ~ 2024년: 주밀라노 대한민국 총영사.[2][1]
- 2025년 3월 5일 ~ : 주케냐 대한민국 대사(특명전권대사).[3]
- 2025년 ~ : UNEP·UN-Habitat 상주대표, 소말리아 겸임 대사.[6][7][8]
외교 활동
[편집]- 2025년 3월 5일: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정하였다.[3]
- 2025년 6월: 제3차 유엔-해비타트 총회(UN‑Habitat General Assembly)에 참석하여 도시개발·주거 분야 협력 의제를 논의하였다.[11]
- 2025년 8월 25일: 케냐 외교·재외국민부 정무·외교국장과 회동하여 고위급 상호방문 및 경제·문화 협력 확대를 협의하였다.[12]
- 2025년 9월 8일: 케냐 내무부 장관실과 치안·재난대응 협력 강화를 논의하였다.[13]
- 2025년 9월~10월: 케냐 부총리 겸 외교장관실과의 면담을 통해 무역·혁신·그린성장 분야 전략적 동반자 관계 심화를 확인하였다.[14]
- 나이로비 주재 상주대표로서 UNEP 상주대표회의(CPR) 등 다자 회의에 참여하고, 대한민국의 환경·기후 거버넌스 기여 확대를 조율한다.[9] 또 UN‑Habitat와 연계한 도시계획·주거정책 협력 채널을 운영한다.[11]
정책 및 외교 방향
[편집]강형식은 한-케냐 수교 60주년을 계기로 양국이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가치를 공유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고위급 교류·경제·무역·공공외교·개발협력·기후변화 대응·인적교류를 축으로 협력을 심화하는 목표를 제시하였다. 재외국민과 기업의 안전 및 권익 보호를 대사관의 핵심 책무로 천명하고, 인도‑태평양 전략의 관점에서 케냐를 동아프리카의 핵심 파트너로 규정하였다.[7]
수상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강형식 주밀라노총영사, “한-이탈리아 산업협력 여지 많다””. 《월드코리안뉴스》. 2024년 3월 25일.
- ↑ 가 나 다 “신임 강형식 주밀라노총영사 부임(6.11)”. 《주 밀라노 대한민국 총영사관》. 대한민국 외교부. 2021년 6월 11일.
- ↑ 가 나 다 라 “Presentation of Credentials to the President of Kenya” (영어). 《Embassy Activities》.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Republic of Kenya. 2025년 4월 2일.
- ↑ “공관활동 목록(여성준 대사 신임장 제정 등)”. 《주케냐 대한민국 대사관》. 대한민국 외교부.
- ↑ 가 나 다 라 마 “영산외교인상에 기생충 통역사 샤론 최·강형식 외교부 기획관”. 《동아일보》. 2020년 7월 2일.
- ↑ 가 나 “Courtesy call by H.E Kang Hyung Shik, South Korean Ambassador and Permanent Representative to UNEP & UN-Habitat” (영어). 《X(전 트위터)》. 케냐 재외국민청(State Department for Diaspora Affairs). 2025년 10월 12일.
- ↑ 가 나 다 라 “Ambassador’s Greetings” (영어).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Republic of Keny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Korea.
- ↑ 가 나 다 “Somali FM Receives Copy of Credentials from New Ambassador of Korea” (영어). 《Ministry of Foreign Affairs & International Cooperation, Somalia》.
- ↑ 가 나 “유엔환경계획(UNEP) 안내”. 《국제개발협력 종합정보포털(ODA KOREA)》. 대한민국 국무조정실 국제개발협력위원회.
- ↑ 가 나 “외교부, 미국 지역 사건사고 담당 영사회의 개최”. 《주 휴스턴 대한민국 총영사관》. 대한민국 외교부. 2020년 11월 3일.
- ↑ 가 나 “Attending the UN-Habitat General Assembly” (영어). 《Embassy Activities》.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Kenya. 2025년 6월 5일.
- ↑ “Meeting with the Director General of the Kenyan Ministry of Foreign and Diaspora Affairs” (영어). 《Embassy Activities》.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Kenya. 2025년 9월 3일.
- ↑ “Strengthening bilateral ties — Meeting Ambassador Kang Hyung-Shik” (영어). 《Ministry of Interior and National Administration, Kenya》. 2025년 9월 8일.
- ↑ “Kenya–Korea deepen strategic partnership in trade, innovation and green growth” (영어). 《Ministry of Foreign and Diaspora Affairs, Kenya》. 2025년 9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