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의 기후

남극의 기후는 지구에서 가장 추운 기후이다. 남극 대륙은 또한 극도로 건조하며 (사막[1]), 연평균 강수량은 166 mm (6.5 in)이다. 대륙 대부분 지역에서 눈은 거의 녹지 않으며, 압축된 후 빙하 얼음이 되어 빙상을 이룬다. 활강풍 때문에 전선이 대륙 내부로 멀리 침투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남극의 대부분은 극도로 춥고 건조한 날씨를 보이는 빙설 기후 (쾨펜 기후 분류 EF)이다.
온도
[편집]남극에서 기록된 가장 높은 기온은 1982년 1월 30일 시그니 섬의 시그니 연구 기지에서 기록된 19.8 °C (67.6 °F)이다.[2][3]
남극 본토에서 기록된 가장 높은 기온은 2020년 2월 6일 아르헨티나의 에스페란사 기지에서 기록된 18.3 °C (64.9 °F)이다.[4]

남극에서 기록된 최저 기온은 1983년 7월 21일 보스토크 기지에서 −89.2 °C (−128.6 °F)가 관측되었을 때이다.[2][5] 비교하자면, 이는 드라이아이스가 승화하는 온도(해수면 기압)보다 10.7 °C (19.3 °F) 더 낮다. 이 지점의 고도는 3,488 미터 (11,444 피트)이다.
위성 측정에서는 더욱 낮은 지표 온도가 확인되었는데, 2010년 8월 10일 구름이 없는 동남극 고원에서 −93.2 °C (−135.8 °F)가 관측되었다.[6]
지구 표면의 특정 지점(남위 81° 48′ 동경 63° 30′ / 남위 81.8° 동경 63.5° )에서 기록된 최저 기온은 2018년 새로운 데이터로 업데이트되었는데, 약 100곳에서 −93.2 °C (−135.8 °F)[7]에서 −98 °C (−144.4 °F)까지 분포한다.[8] 돔 A와 돔 후지 기지 사이의 남극 고원에 있는 이 이름 없는 지역은 2010년 8월 10일에 측정되었으며, 온도는 랜드샛 8과 다른 위성으로 측정된 방사선으로부터 추정되었다. 이는 2013년 12월 국립빙설자료센터의 저장된 데이터 검토 중에 발견되었으나[9] 2018년 6월 25일 연구원들에 의해 수정되었다.[10][11] 이 온도는 위성으로 측정된 방사선에서 추정된 피부 온도이므로, 지표면에서 1.5 m (5 ft) 높이의 기온을 온도계로 측정한 위에서 언급된 −89.2 °C (−128.6 °F)와는 직접 비교할 수 없다.
내부의 연평균 기온은 −43.5 °C (−46.3 °F)이다.[12] 해안은 더 따뜻하여 남극의 가장 따뜻한 지역의 해안 평균 기온은 약 −10 °C (14.0 °F)이며, 고지대 내륙의 보스토크 기지에서는 평균 약 −55 °C (−67.0 °F)이다.[13][14] 맥머도 기지의 월평균 기온은 8월의 −26 °C (−14.8 °F)에서 1월의 −3 °C (26.6 °F)까지 다양하다.[15] 남극점에서 기록된 최고 기온은 2011년 12월 25일에 기록된 −12.3 °C (9.9 °F)이다.[16] 남극반도를 따라서는 18.3 °C (64.9 °F)에 달하는 기온이 기록되기도 했지만, 여름철 기온은 대부분의 시간 동안 0 °C (32 °F) 미만이다. 심한 저온은 위도, 고도, 해양과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동남극은 고도가 높기 때문에 서남극보다 더 춥다. 남극반도는 가장 온화한 기후를 보인다. 1월에는 해안을 따라 더 높은 기온이 나타나며, 평균적으로 영하보다 약간 낮은 정도이다.
강수량
[편집]남극 대륙 전체의 평균 강수량은 연간 약 166 밀리미터 (6.5 인치)이다 (Vaughan et al., J. Clim., 1999). 실제 강수량은 남극반도의 높은 값 (연간 380 to 640 밀리미터 (15 to 25 인치))부터 내륙 고지대의 매우 낮은 값 (최소 50 밀리미터 (2.0 인치))까지 다양하다 (Bromwich, 지구물리학 리뷰, 1988). 연간 강수량이 250 밀리미터 (9.8 인치) 미만인 지역은 사막으로 분류된다. 남극의 거의 모든 강수량은 눈으로 내린다.[17] 비는 드물게 내리며 주로 여름철 해안 지역과 주변 섬에서 발생한다.[17] 언급된 강수량은 실제 눈의 깊이가 아니라 물로 환산한 양임을 유의해야 한다. 남극의 공기는 또한 매우 건조하다. 낮은 기온은 매우 낮은 절대 습도로 이어져, 대륙에서 일하는 과학자들과 탐험가들에게는 건조한 피부와 갈라진 입술이 끊임없는 문제이다.[18]
기상 조건 분류
[편집]남극의 날씨는 매우 가변적이며, 기상 조건은 짧은 시간 안에 극적으로 변할 수 있다. 기지와 국가에 따라 다양한 기상 조건 분류가 있으며, 각 조건에서 작업자에게 주어지는 제한은 달라진다.[19][20][21]
얼음 두께
[편집]남극의 거의 전체가 평균 1,500 m (5,000 ft) 이상의 두꺼운 얼음으로 덮여 있다. 남극은 전 세계 얼음의 90%와 민물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만약 남극을 덮고 있는 모든 육상 얼음(약 30×106 km3 (7.2×106 cu mi))이 녹으면 해수면은 60 m (200 ft) 이상 상승할 것이다.[22] 남극은 매우 추워서 기온이 몇 도 상승하더라도 일반적으로 얼음의 녹는점 이하를 유지할 것이다. 높은 기온은 더 많은 강수량(눈의 형태)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남극의 얼음 양을 증가시켜 해양의 열팽창으로 인한 예상 해수면 상승의 약 3분의 1을 상쇄할 것이다.[23] 최근 10년 동안 동남극은 연평균 약 1.8 cm (11⁄16 in) 두꺼워진 반면, 서남극은 연평균 0.9 cm (3⁄8 in) 얇아지는 추세를 보였다.[24] 현재 및 미래 해수면 변화에 대한 남극의 기여에 대해서는 해수면 상승을 참조하라. 얼음은 느리지만 흐르기 때문에 빙상 내부의 얼음은 빙상 자체의 나이보다 젊다.
| 표면 | 면적 | 평균 얼음 두께 (m) |
부피 | ||
|---|---|---|---|---|---|
| (km2) | 백분율 | (km3) | 백분율 | ||
| 내륙 빙상 | 11,965,700 | 85.97 | 2,450 | 29,324,700 | 97.39 |
| 빙붕 | 1,541,710 | 11.08 | 475 | 731,900 | 2.43 |
| 빙상섬 | 78,970 | 0.57 | 670 | 53,100 | 0.18 |
| 빙하 얼음 (총계) | 13,586,380 | 2,160 | 30,109,800[A] | ||
| 노출된 암석 | 331,690 | 2.38 | |||
| 남극 (총계) | 13,918,070 | 100.00 | 2,160 | 30,109,800[A] | 100.00 |
<references> 태그 안에 정의된 "ice-volume-rounding"이라는 이름을 가진 <ref> 태그에 내용이 없습니다.| 지역 | 면적 (km2) |
평균 얼음 두께 (m) |
부피 (km3) |
|---|---|---|---|
| 동남극 | |||
| 내륙 얼음 | 9,855,570 | 2,630 | 25,920,100 |
| 빙붕 | 293,510 | 400 | 117,400 |
| 빙상섬 | 4,090 | 400 | 1,600 |
| 서남극 (남극반도 제외) | |||
| 내륙 빙상 | 1,809,760 | 1,780 | 3,221,400 |
| 빙붕 | 104,860 | 375 | 39,300 |
| 빙상섬 | 3,550 | 375 | 1,300 |
| 남극반도 | |||
| 내륙 빙상 | 300,380 | 610 | 183,200 |
| 빙붕 | 144,750 | 300 | 43,400 |
| 빙상섬 | 1,570 | 300 | 500 |
| 로스 빙붕 | |||
| 빙붕 | 525,840 | 427 | 224,500 |
| 빙상섬 | 10,320 | 500 | 5,100 |
| 필히너-론 빙붕 | |||
| 빙붕 | 472,760 | 650 | 307,300 |
| 빙상섬 | 59,440 | 750 | 44,600 |
빙붕
[편집]
남극 해안선의 약 75%는 빙붕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의 빙붕은 떠다니는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는 육지에서 바다로 천천히 이동하는 빙하로 이루어져 있다. 빙붕은 빙하 얼음의 파열 (빙붕 붕괴)이나 얼음 아래 따뜻한 바닷물로 인한 기저 융해를 통해 질량을 잃는다.[25]
떠다니는 빙붕의 융해 또는 파괴는 직접적으로 전 세계 해수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하지만 빙붕은 그 뒤에 있는 얼음 흐름에 지지대 역할을 한다. 빙붕이 파괴되면 그 뒤의 얼음 흐름이 가속화되어 남극 빙상의 융해가 증가하고 해수면 상승에 기여하는 정도가 커질 수 있다.
남극반도 주변 해안선 얼음의 알려진 변화:
- 1936–1989년: 워디 빙붕 크기 크게 감소.
- 1995년: 프린스 구스타브 해협의 얼음이 붕괴.
- 라르센 빙붕의 일부가 최근 수십 년 동안 붕괴되었다.
- 1995년: 라르센 A 빙붕이 1995년 1월에 붕괴되었다.
- 2001년: 2001년 2월에 라르센 B 빙붕의 3,250 km2 (1,250 mi2)이 붕괴되었다. 이 붕괴 사건 이전에 점진적으로 후퇴하고 있었다.
- 2015년: 한 연구는 해당 지역 빙하의 더 빠른 흐름과 급격한 얇아짐 관측을 바탕으로, 남아 있는 라르센 B 빙붕이 이 10년이 끝나기 전에 붕괴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26]
불안정의 위기에 처해 있을 수 있는 조지 6세 빙붕[27]은 1,500년 전에 녹은 후 약 8,000년 동안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28] 따뜻한 해류가 융해의 원인이었을 수 있다.[29] 빙상은 질량을 잃을 뿐만 아니라 가속화된 속도로 질량을 잃고 있다.[30]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내용주
- ↑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Antarctica”. 《nasa.gov》. NASA. 2024년 5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WMO verifies highest temperatures for Antarctic Region”. 2017년 3월 1일. 2023년 1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12일에 확인함.
- ↑ “WMO verifies one temperature record for Antarctic continent and rejects ano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1년 7월 1일. 2021년 7월 3일에 확인함.
- ↑ “WMO verifies one temperature record for Antarctic continent and rejects another”.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2021년 7월 1일. 2022년 5월 17일에 확인함.
- ↑ “World: Lowest Temperature - ASU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asu.edu》. 2010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Coldest spot on Earth identified by satellite 보관됨 14 4월 2016 - 웨이백 머신, Jonathan Amos, BBC News, 9 December 2013.
- ↑ Natasha Vizcarra (2013년 12월 9일). “Landsat 8 helps unveil the coldest place on Earth”.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2013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Natasha Vizcarra (2018년 5월 25일). “New study explains Antarctica's coldest temperatures”. The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NSIDC). 2024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1월 22일에 확인함.
- ↑ Jonathan Amos (2013년 12월 9일). “Coldest spot on Earth identified by satellite”. BBC News Science & Environment. 2013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Ted Scambos (2018년 5월 25일). “Scambros et al 2018” (PDF). The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NSIDC).
- ↑ NOT CORRECTED. “BBC Corrections and Clarifications page”. 2018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7일에 확인함.
- ↑ “Annual mean 2m Temperature for 0-150ºE, 75-90ºS, Climate Reanalyzer”. Climate Change Institute, University of Maine. 202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Antarctic weather”. 《www.antarctica.gov.au》. 2016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Antarctic climatic data”. 2008년 5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5월 7일에 확인함.
- ↑ “Antarctica Climate data and graphs, South Pole, McMurdo and Vostok”. 《coolantarctica.com》. 2010년 10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14일에 확인함.
- ↑ Matthew A. Lazzara (2011년 12월 28일). “Preliminary Report: Record Temperatures at South Pole (and nearby AWS sites…)”. 2011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La Antártida” (스페인어). Dirección Nacional del Antártico. 2016년 1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 “Is Mainstream Tourism a Good Way to Save Helpless Antarctica?”. 《Fair Observer》. 2024년 7월 9일에 확인함.
- ↑ “Weathering The Conditions” (PDF). 《The Antarctic Sun》. 1997년 10월 18일. 8쪽. 2015년 6월 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8일에 확인함.
- ↑ Jim Scott. “Weather and Travel” (PDF). 《Welcome to McMurdo Station》. McMurdo Station. 6쪽. 2014년 9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8일에 확인함.
- ↑ “Field Manual” (PDF). 《Antarctica New Zealand》. New Zealand Government. 37쪽. 2015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8일에 확인함.
- ↑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Grida.no. 2007년 1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Grida.no. 2011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Davis CH, Li Y, McConnell JR, Frey MM, Hanna E (2005). 《Snowfall-Driven Growth in East Antarctic Ice Sheet Mitigates Recent Sea-Level Rise》. 《Science》 308. 1898–1901쪽. Bibcode:2005Sci...308.1898D. doi:10.1126/science.1110662. PMID 15905362. S2CID 31797055.
- ↑ E. Rignot; S. Jacobs; J. Mouginot; B. Scheuchl (2013). 《Ice-Shelf Melting Around Antarctica》. 《Science》 341. 266–270쪽. Bibcode:2013Sci...341..266R. doi:10.1126/science.1235798. PMID 23765278. S2CID 206548095.
- ↑ NASA (2015년 5월 14일). “NASA Study Shows Antarctica's Larsen B Ice Shelf Nearing Its Final Act”. 2015년 6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Bentley, Mike; Hodgson, Dominic. “Millennial-scale variability of George VI Ice Shelf, Antarctic Peninsula”.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 2002년 9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8일에 확인함.
- ↑ Bentley, M.J.; Hjort, C.; Ingolfsson, O.; Sugden, D.E. “Holocene Instability of the George VI Ice Shelf, Antarctic Peninsula”. 2004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8일에 확인함.
- ↑ “Press Release – New Year's Honours for British Antarctic Survey Personnel”. 영국 남극 조사단. 2006년 1월 5일. 2006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NASA - Is Antarctica Melting?”. 《www.nasa.gov》. 2016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출처
- D. G. Vaughan; G. J. Marshall; W. M. Connolley; J. C. King; R. M. Mulvaney (2001). 《Devil in the detail》. 《Science》 293. 1777–9쪽. doi:10.1126/science.1065116. PMID 11546858. S2CID 129175116.
- M.J. Bentley; D.A. Hodgson; D.E. Sugden; S.J. Roberts; J.A. Smith; M.J. Leng; C. Bryant (2005). 《Early Holocene retreat of the George VI Ice Shelf, Antarctic Peninsula》. 《Geology》 33. 173–6쪽. Bibcode:2005Geo....33..173B. doi:10.1130/G21203.1.
더 읽어보기
[편집]- Warm Snap Turned Antarctica Green Around the Edges; Thawed-out continent was lined with trees 15 million years ago, study says. 20 June 2012 National Geographic
- Taking Antarctica's temperature; Frozen continent may not be immune to global warming 27 July 2013; Vol.184 #2 Science News
외부 링크
[편집]기후
[편집]- Temperature data from the READER project
- A pamphlet about the weather and climate of Antarctica
- Antarctica's central ice cap grows while glaciers melt
- “AWS and AMRC Real-Time Weather Observations and Data”.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s Antarctic Weather Stations Project and Antarctic Meteorological Research Center. 2005년 5월 31일에 확인함.
- Antarctica Climate and Weather
남극의 기후 변화
[편집]- Western Antarctica warming confirmed 23 December 2012 USA Today
- NASA experts explain ice melt in Antarctica (2014)
남극 얼음
[편집]- “Sea Ice Index – Trends in extent – Southern Hemisphere (Antarctic)”.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2009년 1월 9일에 확인함.
- “Coastal-Change and Glaciological Maps of Antarctica”. 《USGS Fact Sheet 2005–3055》. 2005년 5월 31일에 확인함.
- “Coastal-Change and Glaciological Maps of Antarctica”. 《USGS Fact Sheet 050–98》. 2005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5년 2월 28일에 확인함.
- “Coastal-change and glaciological map of the Eights Coast area, Antarctica; 1972–2001”. 《U.S. Geological Survey Scientific Investigations Series Map, I-2600-E》. 2005년 2월 28일에 확인함.
- “Coastal-change and glaciological map of the Bakutis Coast area, Antarctica; 1972–2002”. 《U.S. Geological Survey Scientific Investigations Series Map, I-2600-F》. 2005년 2월 28일에 확인함.
- “Coastal-change and glaciological map of the Saunders Coast area, Antarctica; 1972–1997”. 《U.S. Geological Survey Scientific Investigations Series Map, I-2600-G》. 2005년 2월 28일에 확인함.
- “Satellite Image Atlas of Glaciers of the World – Antarctica”. 《U.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1386-B》. 2005년 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5년 2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