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성평등가족부 장관
보이기
(대한민국의 성평등가족부 장관에서 넘어옴)
| 성평등가족부 장관 | |
|---|---|
2025년 10월 1일 취임 | |
| 임명자 | 대통령 |
| 초대 재임자 | 원민경 |
| 형성 | 2025년 |
대한민국 성평등가족부 장관은 대한민국 성평등가족부의 수장으로 국무위원으로 보한다.
역사
[편집]성평등가족부 장관의 역사는 성평등가족부의 역사에 따른다.
성평등가족부는 1988년, 정무장관(제2)실이 여성 관련 사무를 전담하게 된 것을 시초로 한다. 정무장관이 담당하던 여성 관련 사무는 1998년 여성특별위원회가 신설되면서 독립적인 조직으로 출범되었다.
2001년, 여성특별위원회는 여성부로 승격되었으며 이 때부터 장관이 임명되기 시작했다. 2005년, 여성부는 여성가족부로 개편되었다.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이후 여성가족부는 여성부로 다시 환원되었으나, 2010년에 다시 여성가족부로 복원되었다.
2025년 10월 1일, 여성가족부는 성평등가족부로 개편되었다.
임명
[편집]성평등가족부장관을 포함한 대한민국의 장관은 헌법 상 국무위원 중에서 국무총리의 제정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1]
국무위원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2] 임명 이전 국회의 인사청문회를 거치게 된다.[3]
국회는 국무위원의 해임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 있으며 이 때 해임건의는 국회의원 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발의에 의하여 국회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을 필요로 한다.[4] 또한 국무총리는 국무위원의 해임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 있다.[5]
역할
[편집]대한민국 성평등가족부 장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 정부조직법 제7조제1항에 따라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 정부조직법 제42조에 따라 성평등가족부장관은 성평등정책의 기획·종합, 여성의 권익증진 등 지위향상, 청소년 및 가족(다문화가족과 건강가정사업을 위한 아동업무를 포함한다)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역대 정무제2장관(1988~1998)
[편집]| 대수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정부 |
|---|---|---|---|---|
| 제2대 | 조경희 | 1988년 2월 25일 | 1988년 12월 4일 | 노태우 정부 |
| 제3대 | 김영정 | 1988년 12월 5일 | 1990년 3월 18일 | |
| 제4대 | 이계순 | 1990년 3월 19일 | 1991년 12월 19일 | |
| 제5대 | 김갑현 | 1991년 12월 20일 | 1993년 2월 25일 | |
| 제6대 | 권영자 | 1993년 2월 26일 | 1994년 12월 23일 | 김영삼 정부 |
| 제7대 | 김장숙 | 1994년 12월 24일 | 1996년 8월 7일 | |
| 제8대 | 김윤덕 | 1996년 8월 8일 | 1997년 8월 5일 | |
| 제9대 | 이연숙 | 1997년 8월 6일 | 1998년 3월 2일 |
역대 여성특별위원회 위원장(1998~2001)
[편집]| 대수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정부 |
|---|---|---|---|---|
| 제1대 | 윤후정 | 1998년 3월 6일 | 1999년 3월 17일 | 김대중 정부 |
| 제2대 | 강기문 | 1999년 3월 18일 | 2000년 5월 8일 | |
| 제3대 | 백경남 | 2000년 5월 9일 | 2001년 1월 28일 |
역대 여성부 장관(2001~2005)
[편집]| 대수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정부 |
|---|---|---|---|---|
| 제1대 | 한명숙 | 2001년 1월 29일 | 2003년 2월 26일 | 김대중 정부 |
| 제2대 | 지은희 | 2003년 2월 27일 | 2005년 1월 4일 | 노무현 정부 |
| 제3대 | 장하진 | 2005년 1월 5일 | 2005년 6월 22일 |
역대 여성가족부 장관(2005~2008)
[편집]| 대수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정부 |
|---|---|---|---|---|
| 제1대 | 장하진 | 2005년 6월 23일 | 2008년 2월 29일 | 노무현 정부 |
역대 여성부 장관(2008~2010)
[편집]| 대수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정부 |
|---|---|---|---|---|
| 제1대 | 변도윤 | 2008년 3월 13일 | 2009년 9월 29일 | 이명박 정부 |
| 제2대 | 백희영 | 2009년 9월 30일 | 2010년 3월 18일 |
역대 여성가족부 장관(2010~2025)
[편집]| 대수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정부 |
|---|---|---|---|---|
| 제1대 | 백희영 | 2010년 3월 19일 | 2011년 9월 15일 | 이명박 정부 |
| 제2대 | 김금래 | 2011년 9월 17일 | 2013년 3월 10일 | |
| 제3대 | 조윤선 | 2013년 3월 11일 | 2014년 6월 13일 | 박근혜 정부 |
| 제4대 | 김희정 | 2014년 7월 16일 | 2016년 1월 12일 | |
| 제5대 | 강은희 | 2016년 1월 13일 | 2017년 7월 6일 | |
| 제6대 | 정현백 | 2017년 7월 7일 | 2018년 9월 20일 | 문재인 정부 |
| 제7대 | 진선미 | 2018년 9월 21일 | 2019년 9월 8일 | |
| 제8대 | 이정옥 | 2019년 9월 9일 | 2020년 12월 28일 | |
| 제9대 | 정영애 | 2020년 12월 29일 | 2022년 5월 16일 | |
| 제10대 | 김현숙 | 2022년 5월 17일 | 2024년 2월 21일 | 윤석열 정부 |
| 제11대 | 원민경 | 2025년 9월 10일 | 2025년 9월 30일 | 이재명 정부 |
역대 성평등가족부 장관(2025~)
[편집]| 대수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정부 |
|---|---|---|---|---|
| 제1대 | 원민경 | 2025년 10월 1일 | 이재명 정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