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퓨얼셀
| 형태 | 주식회사 |
|---|---|
| 창립 | 2019년 10월 |
| 시장 정보 | 한국: 336260 |
| 상장일 | 2019년 10월 18일 |
| 산업 분야 | 건설 · 인프라 |
| 본사 소재지 |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서동로 627 (팔봉동, 두산퓨얼셀익산공장) |
| 제품 | 연료전지 |
| 매출액 | |
영업이익 | |
| 주요 주주 | 두산에너빌리티㈜: 34.8% |
종업원 수 | 542명 |
| 모기업 | 두산그룹 |
| 웹사이트 | www |
두산퓨얼셀 주식회사는 수소연료전지 산업을 하는 두산그룹 계열의 대한민국의 기업이다.[1][2] 친환경 수소 버스에 연료전지를 공급한다.[3] 친환경 상용차를 생산하는 하이엑시움모터스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역사
[편집]2014년 7월, 두산은 주택용 연료전지 업체인 퓨얼셀파워와의 합병 추진을 결정한 후 미국의 건물용 연료전지 제조 업체인 클리어엣지파워의 자산과 영업부채를 3240만 달러에 인수하여 두산 퓨얼셀 아메리카를 출범시켰다. 퓨얼셀파워는 2001년 설립된 주택용 및 중소건물용 연료전지 제조사로 2013년 한국거래소 코넥스 시장에 상장되었던 기업이다.[4]
2018년 1월, 두산퓨얼셀과 한화에너지, 한국동서발전 등은 특수목적법인 대산그린에너지를 설립하고 세계 최초의 부생수소 발전소 대산 수소연료전지발전소를 충청남도 서산시에 건설하였다. 두산퓨얼셀은 이 발전소에 자사가 개발한 440kW 부생수소 연료전지 114대(총 용량 50MW)를 공급하였으며 유지 보수를 맡고 있다.[5][6]
2025년 한국전력기술, 금호기술, LS일렉트릭과 체결한 4,000억 원 규모의 연료전지 시스템 공급 계약을 착수지시서 장기 미발급에 따라 발주처와의 합의를 통해 해지했다.[7]
2025년 8월, 삼천리ES와 554억 원 규모의 연료전지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다.[8]
2025년, 600억원대의 회사채를 발행하였다.[9]
제품
[편집]두산퓨얼셀은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와 인산형연료전지(PAFC)를 포함한 연료전지를 생산하고 있다.[10]
2016년 2월 착공하여 2017년 1월부터 양산에 들어간 익산공장은 2022년 10월 증설하여 연간 최대 300메가와트(㎿), 680대의 PAFC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11] 2024년,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새만금 산업단지에 50㎿ 규모의 SOFC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준공하였다.[11]
사업장
[편집]- 본사: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석암로 7길 100
- 서울사무소: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로275 두산타워 17F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이정현, 두산퓨얼셀, 수소연료전지 발전 사업 반등 감지…목표가↓-SK”. 《이데일리》. 2023년 11월 24일.
- ↑ “"두산퓨얼셀, 3분기 시장 기대치 하회…목표가↓"”. 《아주경제》. 2023년 10월 17일.
- ↑ “항경상, 두산 수소버스 사업 본격화' 두산퓨얼셀 주가 상승”. 《국제뉴스》. 2023년 11월 23일.
- ↑ “두산, 퓨얼셀파워 합병…연료전지 주력사업으로”. 《한국경제》. 2014년 10월 10일.
- ↑ “충남 대산에 세계 최초·최대 부생수소 ‘연료전지발전소’ 준공”. 《한겨레》. 2020년 7월 28일.
- ↑ “세계 최초 부생수소 발전소 준공…"추가 오염물질 없는 친환경"”. 《연합뉴스》. 2020년 7월 28일.
- ↑ “두산퓨얼셀, 4000억원대 계약 해지 소식에 '52주 신저가'”. 《뉴스1》. 2025년 4월 1일.
- ↑ “두산퓨얼셀, 삼천리이에스와 554억 규모 연료전지 공급 계약”. 2025년 8월 22일.
- ↑ “[딜 리뷰] 두산퓨얼셀 회사채 이번엔 '완판'…적자보다 매출에 '주목'”. 《넘버스》. 2025년 8월 29일.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두산퓨얼셀, 전력 생산량 25% 높인 수소전지 신제품 하반기 양산”. 《한국경제》. 2024년 5월 8일.
- ↑ 가 나 “부품 99% 국산화, 국내 수소연료전지 1위 두산의 힘”. 《헤럴드경제》. 2024년 4월 1일.
외부 링크
[편집]- 두산퓨얼셀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