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러시아 우주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러시아 우주주의에서 넘어옴)
콘스탄틴 치올콥스키의 교육용 SF 소설 달에서 (1893) 삽화

러시아 우주론(Russian cosmism, 러시아어: Русский космизм) 또는 간단히 우주론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러시아에서 발생한 철학적문화 운동으로, 과학, 종교, 형이상학을 통합된 세계관으로 묶었다.[1] 이 운동은 인류의 우주적 운명, 영생의 가능성, 그리고 자연을 통제하고 우주를 탐사하기 위한 과학 및 기술 발전의 사용에 대한 믿음을 특징으로 한다.[2]

20세기 초에는 쥘 베른H. G. 웰스와 같은 소설가들에 의해 행성 간 여행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이는 러시아 우주론과 같은 철학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이 운동은 또한 동방정교 사상, 러시아 철학, 그리고 자연 과학의 발전에 영향을 받았다. 러시아 우주론의 주요 인물로는 과학적 수단을 통해 죽음을 폐지하고 조상을 부활시키는 것을 옹호한 니콜라이 표도로프와 우주 비행 및 우주 여행 분야에서 현대 우주비행학의 기초를 다진 콘스탄틴 치올콥스키가 있다. 블라디미르 베르나츠키알렉산더 치제프스키와 같은 다른 주목할 만한 사상가들은 정신권, 생물권, 그리고 인간 생활에 대한 우주적 영향에 대한 아이디어를 기여했다.

소련 시대에 억압되었지만, 우주론은 소련 우주 탐사, 트랜스휴머니즘, 그리고 이후의 철학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21세기에는 우주 이민, 기술적 불멸성, 그리고 우주에서 인류의 역할에 대한 논의에서 러시아 우주론이 다시금 관심을 얻고 있다.

이론

[편집]

우주론은 종교윤리학의 요소를 우주인류기원, 진화, 그리고 미래 존재에 대한 역사와 철학을 결합한 광범위한 자연철학 이론을 수반했다. 이는 동양서양 철학 전통뿐만 아니라 러시아 정교회의 요소도 결합했다.[3]

건강 문화는 영적 인류에 대한 기초 과학이다. 그것은 태양계 영역으로 빛의 상태의 의식적인 창조자로서 영적 인간과 영적 민족의 조화로운 발전의 관점을 연구한다

우주론은 프롤레트쿨트에 영향을 미쳤으며, 10월 혁명 이후 이 용어는 "...미하일 게라시모프블라디미르 키릴로프와 같은 작가들의 시...: 육체 노동, 기계, 그리고 산업 노동자 집단에 대한 감정적인 찬가... 행성을 정복하기 위해 지구에서 나아가는 보편적 '프롤레타리아'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조직된 것"에 적용되었다.[6] 이러한 형태의 우주론은 니콜라이 표도로프의 저작과 함께 안드레이 플라토노프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4]

러시아 코스미스트들의 많은 아이디어는 나중에 트랜스휴머니스트 운동에 의해 발전되었다.[4] 빅토르 스쿠민건강 문화태양계에서 인간의 영적 사회를 창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7][8]

분파

[편집]

러시아 우주론은 과학적 우주론과 철학적 우주론의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9] 과학적 분파는 자연주의적인 반면, 철학적 분파는 신비주의적이고 형이상학적이지만, 두 분파 모두 본질적으로 영적이다. 이는 니콜라이 표도로프솔로비요프와 같은 영적 사상가들의 발자취를 따른 초기 러시아 코스미스트들 사이에서 특히 분명하다. 보다 미묘한 분류를 위해 학자들은 종종 세 번째 범주인 예술적 분파를 언급한다.[10]

철학적 분파

[편집]

니콜라이 표도로프(1828–1903)는 러시아 우주론의 아버지이자 가장 대표적인 인물로 여겨진다. 표도로프와 관련된 주요 아이디어는 인류의 공동 과업 철학으로, 이는 "자연의 힘을 조절하고, 죽음을 물리치며, 조상들을 부활시켜 그들 또한 보편적인 부활에 참여하게 하는 것"을 의미했다.[11]

이 아이디어는 그의 철학에서 너무나 중요하여 "그가 어떤 주제에 대해 썼든, 표도로프는 그의 주요 아이디어인 공동 과업을 끌어들였다. 즉, 보편적인 형제애를 달성하고, 자연의 풍요를 단순히 착취하는 대신 합리화하며, 죽음을 극복하고, 조상들을 부활시키고, 우주를 다스릴 가치 있는 통합된 인류를 창조하는 방법"을 의미했다.[12] 공동 과업을 위해 단결해야 한다는 긴급성은 모든 러시아 코스미스트들의 작품에 어떤 형태로든 존재하는 주제이다.

러시아 코스미스트로서의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예술적 분파

[편집]

당시 러시아 코스미스트 사상에 영감을 받은 알렉산드르 스크랴빈은 표도로프처럼 인류를 공동의 과업을 위해 단결시키려 했다. 그는 러시아 우주론의 예술적 분파에서 가장 대표적인 인물로 간주될 수 있다.[13] 스크랴빈의 비전은 예술적 수단을 사용하여 우주론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었다. 철학과 영성에 기반을 둔 그의 예술적 비전은 그의 프로젝트 미스테리움에서 가장 명확하게 관찰될 수 있다.

과학적 분파

[편집]

1881년에 러시아 혁명가이자 로켓 개척자인 니콜라이 키발치치는 폭발물 연소를 통한 펄스 로켓 추진 아이디어를 제안했는데,[14] 이는 오리온 계획의 초기 전신이었다.[15][16]

콘스탄틴 치올콥스키(1857–1935)는 이론적인 우주 탐사우주비행학의 개척자 중 한 명이었다. 1903년에 치올콥스키는 우주 여행에 관한 첫 번째 진지한 과학 논문을 발표했다. 그의 작업은 러시아 제국 밖에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국내에서는 추가 연구, 실험 및 행성 간 우주 비행 연구 협회 결성에 영감을 주었다.[17] 치올콥스키는 "우주의 의지; 알려지지 않은 지적 힘"이라는 책을 썼는데, 여기서 그는 범심론 철학을 주장했다. 그는 인간이 결국 우리 은하를 식민지화할 것이라고 믿었다. 그의 사상은 우주 시대보다 수십 년 앞섰으며, 그가 상상했던 것 중 일부는 그가 죽은 후 현실이 되었다. 치올콥스키는 전통적인 종교적 우주론을 믿지 않고, 대신 인간을 다스리는 우주적 존재를 믿었다.[18]

다른 코스미스트

[편집]

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1873–1928)는 러시아인이자 나중에 소비에트 의사, 철학자, SF 작가, 볼셰비키 혁명가였다. 그의 광범위한 과학 및 의학적 관심은 보편 시스템 이론부터 수혈을 통한 인간 회춘 가능성에 이르렀다. 그는 이종 혈액 수혈을 세대 간의 연대 동맹으로 보았는데, 나이든 사람들은 젊은 피의 회춘 효과를 얻고, 젊은 사람들은 연장자들의 피로부터 면역력을 얻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는 용혈성 수혈 반응으로 사망했다. 그의 후계자들은 러시아를 중앙 집중식 국가 수혈 서비스 개발의 선두에 놓았다.[19]

다른 코스미스트로는 정신권 개념을 개발한 블라디미르 베르나츠키(1863–1945)와 "헬리오바이올로지"(태양이 생물학에 미치는 영향 연구)의 개척자인 알렉산더 치제프스키(1897–1964)가 있었다.[20][21][22] 1978년 소련의 천문학자 니콜라이 스테파노비치 체르니흐가 발견한 소행성체 3113 Chizhevskij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3]

러시아 고생물학자이자 SF 작가인 이반 예프레모프는 우주론의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공산주의가 우주에서 살아남으려는 미래 사회에 필요한 구조라고 결론지었다. 이반 예프레모프의 전통을 계승한 사람은 지질학자이자 SF 작가인 알렉산드르 샬리모프였다. 천체물리학자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코지레프는 달 지각 활동(1959)의 발견자이자 인과 역학/시간 이론의 저자였다.

러시아 코스미스트 갤러리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Laruelle, Marlene (2018). 〈Cosmism: Russian messianism at a time of technological modernity 1〉 1판. 《Russian Nationalism: Imaginaries, Doctrines, and Political Battlefields》. New York: Routledge. 19–36쪽. doi:10.4324/9780429426773. ISBN 9780429426773. 
  2. Hagemeister M. Rosenthal, Bernice Glatzer (1997). 《Russian cosmism in the 1920s and today》. Cornell University Press. ISBN 9780801483318. 2019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Rosenthal B. G. (ed.) The occult in Russian and Soviet culture.— Cornell University Press, 1997.— 468 p.— p.185—202.— ISBN 0-8014-8331-X, ISBN 978-0-8014-8331-8. (Information and Interdisciplinary Subjects Series)
  3. Berdyaev, Nikolai. “The religion of resuscitative resurrection The "Philosophy of the Common Task" of N. F. Fedorov”. 《berdyaev》. berdyaev.com. 2018년 10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 《Art works by Russian cosmism painter XX – XXI ct. Catalogue of exhibition 2013》. Roerich museum. 2013. 3 February 2020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5. Kovaleva E. A. (2009). “Педагогический совет. Культура здоровья учащихся как фактор здоровьесберегающей среды школы. Слайд 7” [Pedagogical Council. Slide 7 of the presentation "culture of health" to the lessons of physical education on the theme the "Health"]. 900igr.net. 2021년 1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6. Thomas Seifrid, A Companion To Andrei Platonov's The Foundation Pit (Academic Studies Press, 2009: ISBN 1-934843-57-1), pp. 69-70.
  7. Skumin, V. A. (1995). Культура здоровья — фундаментальная наука о человеке. [A Culture of Health as a fundamental human science.] (러시아어). ISBN 5-88167-003-5. 2021년 6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8. “Концепция Учения” [The Concept Of Doctrine]. kult-zdor.ru. 2021년 6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9. Гачева, Анастасия. 2019. Русский Космизм в Идеях и Лицах. Москва: Академический проект, 3.
  10. Bezgodov, Aleksandr, and Konstantin Barezhev. 2019. The Origins of Planetary Ethics in the Philosophy of Russian Cosmism. Xlibris, p. 93.
  11. Elisabeth Koutaissoff and Marilyn Minto. "Introduction". In What Was Man Created For? The Philosophy of the Common Task. Lausanne: Honeyglen Publishing/L’Age d’Homme, p. 12.
  12. Elisabeth Koutaissoff and Marilyn Minto. "Introduction". In What Was Man Created For? The Philosophy of the Common Task. Lausanne: Honeyglen Publishing/L’Age d’Homme, p. 18.
  13. Yansori, Ali (2023년 12월 7일). 《Alexander Scriabin as a Russian Cosmist》 (영어). 《Studies in East European Thought》 76. 305–331쪽. doi:10.1007/s11212-023-09590-6. ISSN 1573-0948. 
  14. “Кибальчич Николай Иванович - История науки - Известные ученые” (러시아어). 《famous-scientists.ru》. 2023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3월 13일에 확인함. 
  15. Schmidt, George R; Bonometti, J.A.; Morton, P.J. (2000년 1월 1일). 《Nuclear Pulse Propulsion: Orion and Beyond》 (기술 보고서). NASA. 20000096503. 
  16. “ON A METHOD OF PROPULSION OF PROJECTILES BY MEANS OF EXTERNAL NUCLEAR EXPLOSIONS PART I” (PDF). 《apps.dtic.mil》. 2024년 3월 12일에 확인함. 
  17. Van Riper, A. Bowdoin (2007년 10월 29일). 《Rockets and Missiles: The Life Story of a Technology》. JHU Press. 26–28쪽. ISBN 978-0-8018-8792-5. 2018년 10월 13일에 확인함. 
  18. Tsiolkovsky, Konstantin Eduardovich (1928). 《The Will of the Universe; Unknown Intelligent Forces》 (러시아어). 칼루가. 23쪽. 2018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9. Huestis, Douglas. (2007). Alexander Bogdanov: The Forgotten Pioneer of Blood Transfusion. Transfusion medicine reviews. 21. 337-40. 10.1016/j.tmrv.2007.05.008.
  20. L. V. Golovanov, Alexander Chizhevsky entry in the 러시아 대백과사전, Moscow, 2001 edition. See Google.Translate version of the article from the Russian version of the Encyclopedia.
  21. Soiuz Pisatelei, Soviet literature, Issues 1-6, p 188,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982.
  22. James T. Andrews, “Red cosmos: K.E. Tsiolkovskii, grandfather of Soviet rocketry”, Issue 18 Centennial of Flight Series, p 114, Texas A&M University Press, 2009, ISBN 1-60344-168-9, ISBN 978-1-60344-168-1
  23. “3111 Misuzu 1977 - Google Search”. 《www.google.com》. 

더 읽어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영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