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사 데 구스만
루이사 데 구스만
| |
---|---|
![]() | |
포르투갈 왕비 | |
재위 | 1640년 12월 1일~1656년 11월 6일 |
전임 | 엘리자베트 드 프랑스 |
후임 | 마리아 프란체스카 디 사보이아 |
이름 | |
휘 | Luisa María Francisca de Guzmán y Sandoval |
신상정보 | |
출생일 | 1613년 10월 13일 |
출생지 | 스페인 우엘바 |
사망일 | 1666년 2월 27일 |
사망지 | 포르투갈 왕국 리스본 |
가문 | 브라간사가 |
부친 | 마누엘 데 구스만 이 실바 |
모친 | 루이사 데 구즈망 |
배우자 | 주앙 4세 |
자녀 | |
종교 | 로마 가톨릭 |
묘소 | 브라간사가 판테온 |
루이사 마리아 프란시스카 데 구스만 이 산도발(스페인어: Luisa María Francisca de Guzmán y Sandoval, 포르투갈어: Luísa Maria Francisca de Gusmão;[1] 1613년 10월 13일 – 1666년 2월 27일)은 스페인 귀족으로, 브라간사가의 초대 통치자인 주앙 4세의 아내로서 포르투갈의 왕비가 되었다. 그녀는 포르투갈의 두 왕 (아폰수 6세와 페드루 2세)과 잉글랜드 왕비(카타리나 드 브라간사)의 어머니였다.[2] 그녀는 1656년부터 1662년까지 포르투갈의 섭정으로 재임했다.[3]
생애
[편집]가문
[편집]1613년 10월 13일 우엘바에서 태어나 상페드로 교구에서 세례를 받은 루이사는 메디나 시도니아 공작가의 일원이었다. 그녀는 제8대 메디나 시도니아 공작 주앙 마누엘 페레스 드 구스망과 조아나 드 산도발 이 라세르다의 딸이다.[4] 루이사는 부계와 모계를 통해 모두 포르투갈 왕가의 후손이었다. 그녀의 부계 조모 아나는 포르투갈의 아폰수 1세의 후손이었고, 모계 조모 카타리나는 페르난두 1세의 서자 혈통이었다. 친조부 알폰소 드 구스망 이 소토마요르를 통해 페르난도 2세의 서자 혈통이었고, 모계 조부 프란시스코 고메스 드 산도발 이 로하스, 제1대 레르마 공작을 통해서는 다시 서자 혈통으로 성 프란시스코 데 보르하, 그리고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혈통을 이었다.[5] 그녀는 이베리아 연합 시기인 1633년에 고위 포르투갈인 귀족인 제8대 브라간사 공작 주앙과 결혼했다.[6][7]
왕정복고 전쟁
[편집]스페인 혈통에도 불구하고 루이사는 1640년 합스부르크 스페인에 대항한 포르투갈 혁명 동안 남편의 정책을 이끌었다.[8] 그녀는 남편이 포르투갈 왕위를 수락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력[2][7]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9][10]
섭정
[편집]
1656년, 그녀는 남편의 사망 후 그리고 아들 아폰수 6세의 미성년 기간 동안 왕국의 섭정으로 임명되었다.[11][12]
루이사는 정치적으로 능숙했으며[13] 잉글랜드와의 새로운 동맹에서 외교적 성공을 거둔 주된 책임자였다.[14][15] 그녀의 딸 카타리나는 찰스 2세와 결혼했다.[16]
아폰수는 통치에 정신적으로 부적합하다고 여겨졌다.[17] 지능이 부족했을 뿐만 아니라, 그는 거칠고 파괴적인 행동을 보였다.[11][18] 1662년, 왕이 총애하는 이들과 함께 밤에 리스본을 공포에 떨게 한 후,[19][20] 루이사와 그녀의 의회는 습격과 관련된 왕의 일부 동료들을 추방하는 것으로 대응했다.[20] 분노한 아폰수는 카스텔루-멜호르 제3대 백작 루이스 데 바스콘셀루스 에 소자의 도움으로 권력을 장악했고 루이사의 섭정은 끝났다.[21][22] 그녀는 그 후 수도원으로 은퇴했고,[23][1] 1666년에 그곳에서 사망했다.[24]
자녀
[편집]
- 브라질의 왕자 테오도시우 (1634년 2월 8일 – 1653년 5월 13일) 미혼으로 사망했다.
- 아나 드 브라간사 (1635년 1월 21일) 태어나자마자 사망했다.
- 베이라 공주 조아나 (1635년 9월 18일 – 1653년 11월 17일) 미혼으로 사망했다.
- 카타리나 드 브라간사 (1638년 11월 25일 – 1705년 12월 31일) 찰스 2세와 결혼했지만 살아남은 자녀는 없었다.
- 마누엘 드 포르투갈 (1640년 9월 6일) 태어나자마자 사망했다.
- 아폰수 6세 (1643년 8월 21일 – 1683년 9월 12일) 사보이아의 마리아 프란시스카와 결혼했다.
- 페드루 2세 (1648년 4월 26일 – 1706년 12월 9일) 첫 번째로 사보이아의 마리아 프란시스카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 두 번째로 노이부르크의 마리아 소피아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
가계도
[편집]8. 후안 카를로스, 니에블라 제9대 백작 | ||||||||||||||||
4. 알론소 페레스 데 구스만 이 소토마요르 | ||||||||||||||||
9. 레오노르 데 소토마요르 이 수니가 | ||||||||||||||||
2. 마누엘 페레스 데 구스만 이 실바 | ||||||||||||||||
10. 루이 고메스 데 실바 | ||||||||||||||||
5. 아나 데 실바 이 멘도사 | ||||||||||||||||
11. 아나 데 멘도사 이 데 실바 | ||||||||||||||||
1. 루이사 데 구스만 | ||||||||||||||||
12. 프란시스코, 데니아 제4대 후작 | ||||||||||||||||
6. 프란시스코 고메스 데 산도발 이 로하스 | ||||||||||||||||
13. 이사벨 데 보르하 이 카스트로 | ||||||||||||||||
3. 후아나 고메스 데 산도발 이 데 라 세르다 | ||||||||||||||||
14. 후안 데 라 세르다 이 실바 | ||||||||||||||||
7. 카탈리나 데 라 세르다 이 포르투갈 | ||||||||||||||||
15. 조아나 데 노론하 | ||||||||||||||||
각주
[편집]- ↑ 가 나 〈Luísa Gusmão〉 (포르투갈어),《Dicionário》 [Dictionary], Arq net.
- ↑ 가 나 Livermore 1969, 173쪽.
- ↑ Ames 2000, 18쪽.
- ↑ Portugal - Dicionário Histórico, Corográfico, Heráldico, Biográfico, Bibliográfico, Numismático e Artístico, vol. IV, pp 577-578. Luísa Francisca de Gusmão
- ↑ Williams 2004, 70쪽.
- ↑ Stephens 1891, 304쪽.
- ↑ 가 나 McMurdo 1889, 363쪽.
- ↑ Stephens 1891, 305쪽.
- ↑ Stephens 1891, 306쪽.
- ↑ McMurdo 1889, 367쪽.
- ↑ 가 나 McMurdo 1889, 408쪽.
- ↑ Dyer 1877, 340쪽.
- ↑ Davidson 1908, 14쪽.
- ↑ Dyer 1877, 341쪽.
- ↑ Ames 2000, 29쪽.
- ↑ Davidson 1908, 96쪽.
- ↑ Marques 1976, 331쪽.
- ↑ Livermore 1969, 185쪽.
- ↑ McMurdo 1889, 414쪽.
- ↑ 가 나 Livermore 1969, 189쪽.
- ↑ Marques 1976, 332쪽.
- ↑ Stephens 1891, 331쪽.
- ↑ McMurdo 1889, 417쪽.
- ↑ Ames 2000, 30쪽.
출처
[편집]- Ames, Glenn Joseph (2000). 《Renascent Empire?: The House of Braganza and the Quest for Stability in Portuguese Monsoon Asia, ca. 1640–1683》.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Press. ISBN 9053563822.
- Davidson, Lillias Campbell (1908). 《Catherine of Bragança, infanta of Portugal, & queen-consort of England》.
- Dyer, Thomas Henry (1877). 《Modern Europe Vol III》.
- Livermore, H.V. (1969). 《A New History of Portug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095716.
- Marques, Antonio Henrique R. de Oliveira (1976). 《History of Portugal》. ISBN 978-0-231-08353-9.
- McMurdo, Edward (1889). 《The history of Portugal, from the Commencement of the Monarchy to the Reign of Alfonso III》. London: Sampson Low, Marston, Searle, & Rivington. 2023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Stephens, H. Morse (1891). 《The Story of Portugal》. New York: G. P. Putnam's Sons. 2023년 10월 2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