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리처드 롭슨 (화학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처드 롭슨 (화학자)
출생 1937년 6월 4일(1937-06-04)(88세)
영국 잉글랜드 글루스번
국적 잉글랜드인, 오스트레일리아인
주요 업적 배위 고분자
금속 유기 골격체
수상 노벨 화학상 (2025)
분야 무기화학
소속 멜버른 대학교

리처드 롭슨(Richard Robson, FAA FRS , 1937년 6월 4일 ~ )은 잉글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의 화학자이자 멜버른 대학교의 화학 교수이다.[1] 롭슨은 배위 고분자, 특히 금속 유기 골격체를 전문으로 한다.[2]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결정 공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3][4] 2025년, 금속 유기 골격체의 개발로 기타가와 스스무오마르 M. 야기와 함께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5][6]

어린 시절과 교육

[편집]

롭슨은 1937년 6월 4일 잉글랜드, 웨스트요크셔주 (현재 노스요크셔주)의 글루스번에서 태어났다.[7][8] 브레이스노스 칼리지, 옥스퍼드에서 화학을 전공했으며,[9] 1959년에 BA 학위를, 1962년에 DPhil 학위를 취득했다.[10][7] 다이슨 페린스 연구소에서 J.A. 바틀롭의 지도 아래 수행된 그의 박사 연구는 유기 분자의 광화학에 중점을 두었다.[11][12]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1962–64)와 스탠퍼드 대학교 (1964–65)에서 박사후 연구를 수행했으며, 1966년에 멜버른 대학교 화학 강사직을 수락하여 남은 경력을 보냈다.[10]

연구

[편집]

리처드 롭슨의 획기적인 연구는 배위 고분자, 특히 무한한 고분자 골격—나중에 금속 유기 골격체 (MOF)로 명명된—분야에서 기초 원리를 확립했다.[2][13] 이 분야에 대한 그의 관심은 1974년 1학년 화학 강의를 위해 결정 구조의 큰 나무 모델을 제작하면서 생겼다.[14]

1990년대에 롭슨은 현대 화학 분야 전체의 기반이 된 새로운 종류의 배위 고분자를 만들었다.[15] 그의 혁신적인 접근 방식은 사면체 기하학을 선호하는 구리(I)를 맞춤형으로 설계된 테트라니트릴 유기 링커와 조합하여 사용했다.[15] 이 방법은 다이아몬드와 같은 구조를 가지면서도 골격 내에 상당한, 공학적으로 설계된 빈 공간을 가진 결정질 스캐폴드를 생산했다.[15]

영예와 수상

[편집]

롭슨은 1998년 호주 왕립 화학 연구소 무기화학 부문에서 버로스 상을 수상했으며, 2000년에는 호주 과학 아카데미 펠로우로 선출되었다.[16] 2022년에는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7]

주요 출판물

[편집]

각주

[편집]
  1. “Robson, Richard – Biographical entry – Encyclopedia of Australian Science”. 
  2. Hoskins, Bernard F.; Robson, Richard (1989). 《Infinite polymeric frameworks consisting of three dimensionally linked rod-like segments》 (영어).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11. 5962–5964쪽. Bibcode:1989JAChS.111.5962H. doi:10.1021/ja00197a079. 
  3. Wise, Donald (1998년 3월 27일). 《Electrical and Optical Polymer Systems: Fundamentals: Methods, and Applications》. CRC Press. 872쪽. ISBN 978-0-8247-0118-5. 
  4. Stuart R. Batten; Suzanne M. Neville; David R. Turner (2009). 《Coordination Polymers: Design, Analysis and Application》. Royal Society of Chemistry. 19쪽. ISBN 978-0-85404-837-3. 
  5. “Nobel Prize in Chemistry 2025 Summary”. 《The Nobel Prize》. 2025년 10월 8일. 2025년 10월 8일에 확인함. 
  6. 2025년 노벨상 수상자 중 최고령자이다.
  7. “Press release”. 《NobelPrize.Org》. 2025년 10월 8일에 확인함. 
  8. “Nobel Prize in Chemistry 2025”. 《NobelPrize.org》. 2025년 10월 8일에 확인함. 
  9. “Professor Richard Robson – Nobel Prize Winner”. 《bnc.ox.ac.uk》. 2025년 10월 8일. 
  10. “Richard Robson FRS”. 《RoyalSociety.Org》. 2025년 10월 8일에 확인함. 
  11. Williams, R. J. P.; Rowlinson, John S.; Chapman, Allan (2008). 《Chemistry at Oxford: A History from 1600 To 2005》. Royal Society of Chemistry. 242쪽. ISBN 978-1-84755-885-5. 
  12. Barltrop, J.A.; Robson, R. (1963). 《The photochemistry of some charge-transfer complexes of cyclohexene》. 《Tetrahedron Letters》 4. 597–600쪽. doi:10.1016/S0040-4039(01)90680-X. 2025년 10월 8일에 확인함. 
  13. Bruin, Tyler (2023년 11월 24일). “Professor Richard Robson elected Fellow of the Royal Society” (영어). 《About us》. 2024년 11월 25일에 확인함. 
  14. Robson, Richard (2024).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Concepts Underlying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argeted Coordination Polymers/MOFs: A Personal Account》. 《The Chemical Letter》 24. doi:10.1002/tcr.202400038. PMID 38775251. 
  15. “The man who built a whole new field of chemistry” (영어). 《Pursuit》. 2024년 11월 25일에 확인함. 
  16. Sharma, Deepanshu (2025년 10월 8일). “Who is Richard Robson? Australian Chemist Who Won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25”. 《The Daily Guardian》. 2025년 10월 8일에 확인함. 
  17. “Outstanding Academy Fellows elected to Royal Society” (영어). 《Australian Academy of Science》. 2022년 5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