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맘루크 술탄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맘루크 왕조에서 넘어옴)
튀르크국
دولة الأتراك (아랍어)
Dawlat al-Atrāk

체르케스국
دولة الجراكسة (아랍어)
Dawlat al-Jarākisa
1250년~1517년
카탈루냐 지도(카탈란 아틀라스)에 따른 국기,
1375년경

메시아 드 빌라스테스의 지도에 등장하는 맘루크 술탄의 문장,
1413년경.
술탄 앗 나시르 무함마드 재위 당시 맘루크 술탄국의 최대 강역
술탄 앗 나시르 무함마드 재위 당시 맘루크 술탄국의 최대 강역
수도카이로
정치
정치체제의례적인 칼리파국 산하의 술탄국
칼리파
1261년 ~ 1262년
1262년 ~ 1302년
1406년 ~ 1414년
1508년 ~ 1517년

알무스탄시르 2세 (초대)
알하킴 1세
알무스타인
알무타왁킬 3세 (말대)
술탄
1250년
1250년 ~ 1257년
1260년 ~ 1277년
1516년 ~ 1517년

샤쟈르 알두르 (초대)
무이즈 아이바크
바이바르스
투만바이 2세 (말대)
왕조
1250년 ~ 1382년
1382년 ~ 1517년

바흐리 왕조
부르지 왕조
역사
 • 알 무아잠 투란샤 피살1250년 5월 2일
 • 아인잘루트 전투1260년 9월 3일
 • 부르지 왕조 개창1382년 11월
 • 카이로 함락1517년 1월 22일
인문
공용어아랍어
맘루크-킵차크어[1]
체르케스어[2]
오구즈어[3]
콥트어
데모님맘루크
민족튀르크인
아랍인
유대인
콥트인
종교
국교수니파 이슬람
기타 종교시아파 이슬람
알라위파
기독교
유대교
이전 국가
다음 국가
아바스 칼리파국
아이유브 술탄국
예루살렘 왕국
안티오키아 공국
트리폴리 백국
마쿠리아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
타히르 왕조 (예멘)
오스만 제국

맘루크 치하 이집트, 맘루크 왕조, 맘루크 제국으로도 알려져있는 맘루크 술탄국(아랍어: سلطنة المماليك 살타나트 알마말리크[*])는 13세기 중반부터 16세기 초까지 이집트, 레반트, 헤자즈 지역에 걸쳐 있던 국가로, 1250년 아이유브 술탄국을 무너뜨리면서 건국되었다. 맘루크 술탄국의 역사는 특이하게도 튀르크바흐리 왕조(1250~1382년)과 체르케스부르지 왕조(1382~1517년)으로 나뉘는데, 이것은 각 시대별로 정권을 잡았던 맘루크들의 출신 민족, 또는 군단의 이름을 따서 구분한다.[4][5][6][7]

맘루크들은 본래 아이유브 술탄 앗 살리흐(1240~1249)가 양성했던 군사 집단이었지만, 그의 사후 아이유브 왕조로부터 정권을 탈취하고 새로운 국가를 건국했다. 술탄 쿠투즈바이바르스가 이끄는 맘루크 군대는 1260년 몽골 군대를 아인잘루트에서 물리침으로써 그들의 팽창을 저지했다. 13세기 말엽에 술탄 칼라운(1279~1290), 알 아쉬라프 칼릴(1290~1293)의 통치 하에 맘루크 술탄국은 십자군 국가를 정복하고 마쿠리아(누비아), 키레나이카, 헤자즈, 아나톨리아 남부로 광범위하게 팽창해 나갔으며, 알 나시르 무함마드의 재위 기간(1293~1294/1299~1309/1310~1341) 동안 오랜 안정과 번영을 누렸다. 하지만 그 뒤부터는 고위 아미르들이 실권을 장악하고 내분이 빈번해지면서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아미르들 중 한 명인 바르쿠크는 1382~1390년 사이에 기존의 바흐리 왕조를 전복시킨 후 새롭게 부르지 왕조를 개창했다. 맘루크 술탄국은 일부 유능한 통치자들 치하에서 중흥기를 누렸다. 특히 술탄 바르스베이는 유럽 국가들과의 중개 무역을 독점하고 낙후된 지역을 개발하려 노력했으며 술탄 카이트베이는 여러 공공사업을 실시하면서도 대내외적으로 안정적인 통치를 이어갔다. 그렇지만 이들 사후에 맘루크 술탄국은 외세의 침략, 빈번해지는 내분과 반란, 그리고 거듭되는 자연재해로 다시금 쇠퇴했으며 결국에는 1517년 셀림 1세 치하의 오스만 제국에게 정복되었다.

국호

[편집]

맘루크 술탄국이라는 이름은 단지 현대 역사학자들이 붙인 명칭일 뿐이다.[8][9] 바흐리 왕조 시대의 아랍어 사료들에 따르면, 이 국가는 '튀르크국(아랍어: Dawlat al-Atrak 다울라트 알 아트라크[*], 아랍어: Dawlat al-Turk 다울라트 알 튀르크[*])' 또는 '튀르크인의 국가(아랍어: al-Dawla al-Turkiyya 앗 다울라 알 튀르키야[*])'라고 불렸다.[10][11][8] 이후 부르지 왕조가 개창된 뒤에는 '체르케스국(아랍어: Dawlat al-Jarakisa 다울라트 알 자라키사[*])'라고도 불렸다.[8] 이러한 이름들은 통치자였던 맘루크들의 출신 민족을 강조한 것이며, 당대 맘루크 치하의 역사학자들은 부르지 시대의 몇몇을 제외하고는 맘루크들의 노예로서의 지위를 명시적으로 드러내지는 않았다.[8]

역사

[편집]

기원

[편집]

맘루크는 무술, 궁정 예법, 과학 등을 철저하게 훈련받은 노예를 의미한다.[12] 다만 8~9세기 이후로는 사실상 이슬람으로 개종한 훈련받은 노예 군인들을 지칭하는 용어가 되었다. 이들은 최소한 9세기부터 레반트와 이집트 등지에서 영향력을 확대하였으며, 툴룬 왕조이흐시드 왕조의 지배층을 형성하기도 하였다.[13] 이후 12~13세기의 파티마 왕조아이유브 왕조에서 맘루크는 완벽하게 핵심 군사 집단으로 변모하였다. 특히 후자의 경우, 첫번째 술탄이었던 살라흐 앗 딘(1174~1193)이 기존의 누비아계 흑인 군대를 맘루크로 대체한 이래로[14] 아이유브조 군주들과 고위 지배층들은 가각 사병으로서 맘루크를 거느렸다.[15] 이 시기의 맘루크들은 대부분 캅카스와 중앙아시아, 흑해 일대에서 포로로 잡히거나 납치된 킵차크계 튀르크인들이었다.

이집트, 혹은 시리아의 맘루크를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세밀화. 1330년경에 그려진 것이다.[16]

아이유브 왕조 시기에 이집트에서 맘루크의 권력은 매우 커졌다. 일례로 아이유브조 제6대 술탄 알 카밀의 아들이었던 앗 살리흐 아이유브는 시리아, 이집트, 아라비아로부터 약 1,000명 가까이 되는 맘루크들을 모집해 거느렸다. 그뒤 1240년에 그가 제7대 술탄으로 즉위한 직후, 앗 살리흐는 부친 시대에 고위직을 역임했던 아미르들로부터 영지(이크타)를 몰수하여 맘루크들에게 나누어주었으며 선대 맘루크들을 전원 자신이 모집한 맘루크들로 교체하였다.

이는 그가 후계자 시절에 중앙아시아와 페르시아를 휩쓸었던 몽골의 침입을 직접 보았기에, 이에 경각심을 느끼고 군대를 양성하기로 마음먹었기 때문이었다. 그가 모집한 맘루크는 살리히야[17] 혹은 바흐리야라고 불렸는데, 전자는 '살리흐의 사람(군대)들'라는 뜻이었고 후자는 '바다 사람들'이라는 뜻이었다. 후자가 왜 이렇게 불렸는지는 여러 가설이 있지만 대체로 이들을 양성하는 훈련소가 나일강 한가운데 있는 섬에 있었기 때문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앗 살리흐 시기 맘루크 군부의 권력은 지나치게 비대해졌다. 그는 향신료 무역과 중개 무역으로 벌어들인 수입 대부분을 맘루크를 양성하는 데 썼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그의 치세 말기에 이르면 맘루크들은 군사를 넘어 정치에도 개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사학자 스티븐 험프리스(Stephen Humphreys)는 동시대 사람들이 "이집트가 맘루크(살리히야)에게 지배받고 있다"고 여겼다고 한다. 또 다른 학자인 클리포드(Clifford) 역시 그의 이러한 주장에 동감하였다.[18]

권력으로의 부상

[편집]

맘루크 쿠데타

[편집]

1249년 무렵, 프랑스 왕국루이 9세가 이끄는 제7차 십자군다미에타를 점령하며 십자군과 아이유브 왕조 사이의 긴장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었다. 당시 중병을 앓고 잇었던 앗 살리흐는 그해 11월 22일에 사망했는데, 그의 임종을 지켜본 왕비 샤자르 앗 두르는 군사령관 파크르 앗딘 유수프와 논의하여 술탄의 사망을 숨기기로 하고, 메소포타미아에서 군대를 이끌고 있던 후계자 알 무아잠 투란샤를[19] 극비리에 불러들었다. 아이유브군은 이듬해 2월 11일 알 만수라 전투에서 십자군을 물리치고, 나아가 4월 6일에 파리스쿠르 전투에서 십자군 전력을 격파한 뒤 루이 9세와 고위 귀족들을 포로로 잡았다. 이로서 제7차 십자군이 종식되었다.[20]

그러나 그 과정에서 맘루크들이 활약하며 이들의 정치적 권력이 매우 강력해졌다. 앗 살리흐 사후 맘루크를 견제할 수 있던 유일한 인물인 파크르 앗딘이[21] 알 만수라 전투에서 전사하며 맘루크의 득세를 제어할 사람이 없어진 것도 큰 요인이었다. 이에 술탄으로 즉위한 알 무아잠 투란샤는 맘루크들의 득세에 위협을 느껴, 자지라 출신의 쿠르드족과 자신의 맘루크들('무아자미야') 그리고 누비아계 흑인들을 주요 요직에 배치하여 이들을 견제하고자 했다.[22]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 불만을 품은 살라히야 맘루크들은 1250년 5월 2일[19]에 그를 무참하게 살해하고 정권을 장악하기에 이르렀다.[23]

이후 살라히야들은 다마스쿠스의 앗 나시르 유수프와 카라크의 알 무기스 우마르 가운데 한명을 알 무아잠 투란샤의 후계자로 세우기로 하고 샤자르 앗 두르의 중재를 요청하였다. 그러나 샤자르 앗 두르는 두 방안을 모두 거절하고, 대신 아이유브조 제5대 술탄 알 카밀의 손자인 알 아슈라프 무사를 허수아비 술탄으로 내세운 뒤 실권은 맘루크들에게 나누어주었다. 이로서 맘루크들 사이에서 그녀의 권력이 강력해졌다.

초기 역사

[편집]

아이유브 술탄국의 술탄인 살리흐가 죽자 그의 아내 샤자르 알두르가 통치하였다. 그는 아랍 역사상 유일무이한 여성 통치자로, 당시 맘루크 총사령관 아이박과 재혼하여 이집트 일대를 함께 통치하여 맘루크 술탄국을 시작하였다.

5대 술탄 바이바르스는 실질적인 맘루크 술탄국의 전설기를 이끌었다. 그는 아바스 칼리파국의 마지막 칼리파의 친척을 카이로에서 보호하며 칼리파로 추대하였다. 이로 인해 "카이로의 아바스 왕조" 시대가 시작되어 1517년 맘루크 술탄국이 멸망할 때까지 함께 명맥을 이어갔다. 이로써 "허수아비 칼리파조" 시대가 시작되었다. 맘루크는 노예였고 노예를 해방시켜주는 권리는 칼리파에게만 부여되어 있었다. 그래서 칼리파는 술탄 권력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자로 전락하였다.

정치

[편집]

초기에는 바흐리 왕조가 맘루크 술탄국을 통치(1250년-1390년)하였는데, 이들은 투르크 및 몽골족 출신의 맘루크들이다. 후기에는 부르지 왕조가 맘루크 술탄국을 통치(1382년-1517년)하였는데, 이들은 카프카스 지방 출신의 맘루크들이다.

멸망

[편집]

맘루크 술탄국이 쇠망한 이유로는 크게 세 가지를 꼽을 수 있는데, 지나친 사치, 흑사병, 지리적 이점의 상실 등이 있다.

맘루크 술탄국 말기, 무능한 술탄들이 즉위해 사치에 빠져들게 된다. 이로 인해 맘루크 술탄국의 국민들에게 지나치게 무거운 세금을 물리고 토지를 강제로 빼앗아, 민심 이반을 불러오고 만다.

한편 치명적인 흑사병이 맘루크 술탄국을 덮쳤는데, 맘루크 술탄국의 수도 카이로에서만 하루에 1만 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으며 원래 이집트 출신이 아니었던 맘루크들은 토착 이집트인보다 병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졌다.

맘루크 술탄국이 번영할 수 있었던 이유 가운데 하나는, 지리적 이점에 있었다. 홍해를 남하해 아라비아 반도를 우회하면, 인도와 교역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1498년에 포르투갈바스코 다 가마인도캘리컷에 상륙한 것을 시작으로, 맘루크 술탄국이 누려 온 지리적 이점은 사라지고 만다.

결국 맘루크 술탄국은 1517년에 오스만 제국파디샤셀림 1세의 공격을 받아 멸망한다.

역대 술탄

[편집]

바흐리 왕조

[편집]
  1. 샤쟈르 알두르(여성군주)(재위:1250년)
  2. 무이즈 아이바크(재위:1250년 - 1257년)
  3. 만수르 알리(재위:1257년 - 1259년)
  4. 무자파르 쿠투즈(재위:1259년 - 1260년)
  5. 자히르 바이바르스(재위:1260년 - 1277년)
  6. 사이드 바라카한(재위:1277년 - 1279년)
  7. 아딜 사라미슈(재위:1279년)
  8. 만수르 카라운(재위:1279년 - 1290년)
  9. 아쉬라프 하릴(재위:1290년 - 1293년)
  10. 나스르 무하마드(재위:1293년 - 1294년)
  11. 아딜 키트브가(재위:1294년 - 1296년)
  12. 만수르 라진(재위:1296년 - 1299년)
  13. 나스르 무하마드(복위)(재위:1299년 - 1309년)
  14. 무자파르 바이바르스(재위:1309년 - 1310년)
  15. 나스르 무하마드(복위)(재위:1310년 - 1341년)
  16. 만스르 아브 바쿠르(재위:1341년)
  17. 아쉬라프 쿠주크(재위:1341년 - 1342년)
  18. 나스르 아흐마드(재위:1342년)
  19. 사리프 이스마일(재위:1342년 - 1345년)
  20. 카밀 샤반(재위:1345년 - 1346년)
  21. 무자파르 하지(재위:1346년 - 1347년)
  22. 나스르 하산(재위:1347년 - 1351년)
  23. 사리프(재위:1351년 - 1354년)
  24. 나스르 하산(복위)(재위:1354년 - 1361년)
  25. 만수르 무하마드(재위:1361년 - 1363년)
  26. 아쉬라프 샤반(재위:1363년 - 1377년)
  27. 만수르 알리(재위:1377년 - 1381년)
  28. 사리프 하지(재위:1381년 - 1382년)
  29. 자힐 바르크크(재위:1382년 - 1389년)
  30. 사리프 하지(재위:1389년 - 1390년)

부르지 왕조

[편집]
  1. 자힐 바르크크(재위:1390년 - 1399년)
  2. 나스르 파라즈(재위:1399년 - 1405년)
  3. 만수르 아브드 아르아즈즈(재위:1405년)
  4. 나스르 파라즈(복위)(재위:1405년 - 1412년)
  5. 무아이야드 사이프(재위:1412년 - 1421년)
  6. 무자파르 아흐마드(재위:1421년)
  7. 자히르 타타르(재위:1421년)
  8. 사리프 무하마드(재위:1421년 - 1422년)
  9. 아쉬라프 바르스바이(재위:1422년 - 1438년)
  10. 자히르 쟈크마크(재위:1438년 - 1448년)
  11. 아지즈 유스프(재위:1448년)
  12. 자히르 쟈크마크(복위)(재위:1448년 - 1453년)
  13. 만수르 우스만(재위:1453년)
  14. 아쉬라프 이날(재위:1453년 - 1460년)
  15. 무아이야드 아흐마드(재위:1460년 - 1461년)
  16. 자히르 후스카담(재위:1461년 - 1467년)
  17. 자히르 야르바이(재위:1467년 - 1468년)
  18. 자히르 티무르부가(재위:1468년)
  19. 아쉬라프 카이트바이(재위:1468년 - 1495년)
  20. 나스르 무하마드(재위:1495년 - 1498년)
  21. 자히르 칸스프(재위:1498년 - 1499년)
  22. 아쉬라프 쟈바라트(재위:1499년 - 1501년)
  23. 아딜 트만바이(재위:1501년)
  24. 아쉬라프 칸스프 가우리(재위:1501년 - 1516년)
  25. 아쉬라프 트만바이(재위:1516년 - 1517년)

각주

[편집]
  1. Rabbat 2001, 69쪽.
  2. Fischel 1967, 72쪽.
  3. Turan, Fikret; Boeschoten, Hendrik; Stein, Heidi (2007). “The Mamluks and Their Acceptance of Oghuz Turkish as Literary Language: Political Maneuver or Cultural Aspiration?”. 《Turcologica》 (영어) (Harrassowitz). 
  4. “Mamluk | Islamic dynasty”.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년 11월 13일에 확인함. 
  5. Setton, Kenneth M. (1969). 《The Later Crusades, 1189–1311》. Wisconsin, USA: Univ of Wisconsin Press. 757쪽. ISBN 978-0-299-04844-0. 
  6. Levanoni 1995, p. 17.
  7. Hillenbrand, Carole (2007). 《Turkish Myth and Muslim Symbol: The Battle of Manzikert》. Edinburg: Edinburgh University Press. 164–165쪽. ISBN 978-0-7486-2572-7. 
  8. Yosef 2013, 8쪽.
  9. Petry 2022, 53쪽.
  10. Nicolle 2014, 4쪽.
  11. Northrup 1998b, 250쪽.
  12. Rodenbeck 1999, 57쪽.
  13. Clifford 2013, 65쪽.
  14. Cummins 2011, 94쪽.
  15. Ayalon 1960, 944쪽.
  16. “Frontispiece, folio from a manuscript of The Prescription for Pleasure (Sulwan al-Muta' fi 'Udwan al-Atba') of Ibn Zafar al-Siqili, AKM12, The Aga Khan Museum”. 《Aga Khan Museum》 (영어). 
  17. Clifford 2013, 67쪽.
  18. Clifford 2013, 67–68쪽.
  19. Irwin 1986, 19–21쪽.
  20. Joinville 1807.
  21. Clifford 2013, 69쪽.
  22. Clifford 2013, 70쪽.
  23. Clifford 2013, 71쪽.

참고 문헌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

[편집]
중동의 역사
이전 시대 맘루크 술탄국
1250년~1517년
다음 시대
아이유브 술탄국 오스만 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