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이드배니아

메트로이드배니아(영어: Metroidvania)는 비선형 탐험과 주요 아이템으로 구역을 제한하여 진행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션 어드벤처 게임의 하위장르이다. 비디오 게임 시리즈 《메트로이드》와 《캐슬배니아》에서 유래한 혼성어로, 특히 《메트로이드》(1986), 《캐슬바니아 II: 사이먼의 원정》(1987), 《슈퍼 메트로이드》(1994), 《캐슬바니아: 밤의 교향곡》(1997)의 틀을 기반으로 한다.
메트로이드배니아 게임은 플레이어가 탐험할 수 있는 넓고 서로 연결된 세계를 배경으로 하며 이들 공간은 플레이어가 특별한 아이템, 도구, 무기, 능력이나 지식을 얻으면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개선사항을 획득하는 것은 플레이어가 더 어려운 적을 물리치고 지름길이나 숨겨진 지역을 찾도록 도울 수 있으며, 때때로 진행한 길을 되돌아가는 것을 포함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메트로이드배니아 게임은 이야기와 레벨 디자인 간의 긴밀한 통합, 탐험과 실험을 독려하는 레벨과 캐릭터 조종의 설계 등을 달성한다. 메트로이드배니아는 2차원의 사이드스크롤링 플랫포머로 시작하였으나 그 이후로 탑다운이나 3차원 그래픽 게임에도 적용되었다.
1986년에 발매된 《메트로이드》가 처음 확립한 비선형 플래포머는 1994년 《슈퍼 메트로이드》를 포함하여 여러 번의 반복을 거치며 정제되었다. 1997년에 발매된 《캐슬바니아: 밤의 교향곡》은 《젤다의 전설》 시리즈의 롤플레잉 요소를 《캐슬배니아》 시리즈에 포함시키며 메트로이드배니아 게임을 정의하였으며, 《캐슬바니아: 밤의 교향곡》의 부기획자인 이가라시 코지는 해당 게임과 그 이후의 《캐슬배니아》 게임들을 통해 메트로이드배니아의 주요 원칙들을 정립한 인물로 여겨진다. 메트로이드배니아는 2010년대에 들어 호평을 받은 여러 독립 개발 게임을 통해 다시 부상했다.
역사
[편집]닌텐도가 1986년 패미컴 디스크 시스템으로 처음 출시한 《메트로이드》는 장르 최초의 게임은 아니나, 비선형 구조의 게임플레이를 명확하게 제시한 게임으로 꼽힌다.[1]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Nutt, Christian (February 13, 2015). “The undying allure of the Metroidvania”. Gamasutra. 2018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February 13, 2015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영어) 메트로이드배니아 닷컴 보관됨 2018-12-19 - 웨이백 머신 - 메트로이드배니아 목록
- (영어) 메트로이드배니아스 닷컴 보관됨 2019-03-29 - 웨이백 머신 - 다른 메트로이드배니아 목록
![]() |
이 글은 비디오 게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