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모스크바 대공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모스크바 대공국
Великое княжество Московское

 

1263년~1547년[a]
이반 3세의 인장에 새겨진 쌍두수리
이반 3세의 인장에 새겨진 쌍두수리
alt=   1300년의 공국   1389년의 대공국   1505년의 대공국   1533년 대공국
  1300년의 공국
  1389년의 대공국
  1505년의 대공국
  1533년 대공국
수도모스크바
정치
정치체제전제군주제
벨리키 크냐지
1283년 ~ 1303년
1303년 ~ 1325년
1325년 ~ 1340년
1462년 ~ 1505년
1505년 ~ 1533년
1533년 ~ 1547년

다닐(초대)
유리 3세
이반 1세
이반 3세
바실리 3세
이반 4세(말대)
왕조류리크 왕조
입법부보야르 두마
역사
시대 구분중세 후기
지리
1505년 어림 면적2,500,000[5]
인문
공용어러시아어
교회 슬라브어1
공통어고대 동슬라브어
데모님모스크바인
민족루스인, 핀우그리아인
경제
통화루블
종교
국교동방 정교회
종교러시아 정교회
기타
1: 전례문어

모스크바 대공국[6][7] 또는 모스크바 공국[8][9](러시아어: Великое княжество Московское, 로마자: Velikoye knyazhestvo Moskovskoye)은 중세 말기 모스크바를 중심으로 한 공국이었다. 때로 이 나라는 간단하게 모스크바(영어: Muscovy, 라틴어 Moscovia에서 유래)라고 불리기도 한다.[10][9] 모스크바 대공국은 근세러시아 제국으로 발전하였다. 모스크바 대공국의 대공들은 "다니엘로비치"라고 불리며, 첫 번째 왕자인 다닐 알렉산드로비치의 후손이자 류리크 왕조의 한 갈래로 현대 역사학에서는 설명된다.[11]

1263년에 다니엘은 그의 아버지인 블라디미르-수즈달의 공작 알렉산드르 넵스키로부터 영지를 상속받았으나, 1282년이 되어서야 다닐이 모스크바의 독립한 공자로 언급되었다.[12] 처음에 모스크바는 킵차크 칸국봉신국으로, 칸들에게 경의를 표하고 공물을 바쳤다.[13] 모스크바는 결국 모국인 블라디미르-수즈달 공국과 다른 독립 러시아 공국들을 압도하고 병합하였다.[14] 1480년 우그라강의 위대한 대치 러시아에 대한 타타르의 명목적 지배가 끝났음을 상징했으나,[15][13] 여러 번의 봉기와 함께 드미트리 돈스코이가 1380년 쿨리코보 전투에서 킵차크 칸국의 통치자 마마이에 맞서 이끈 봉기 등 몽골에 맞선 성공적인 군사 작전들이 있었다.[16]

이반 3세("대제")는 43년 동안의 통치 기간 동안 모스크바 대공국의 지배를 더욱 공고하게 하였으며, 주요 경쟁 세력인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전쟁을 벌여 1503년까지 모스크바 대공국의 영토를 세 배로 확장하였다. 이반의 후계자 바실리 3세도 군사적으로 성공을 거두어, 1512년에 리투아니아로부터 스몰렌스크를 획득하고 모스크바의 국경을 드네프르강까지 확장했다. 바실리의 아들 이반 4세("뇌제")는 1547년에 차르로 즉위하였다.[17]

각주

[편집]
  1. Bushkovitch 2011, 37쪽, "만약 우리가 모스크바 공국에서 러시아가 탄생할 순간을 선택해야 한다면, 그것은 1478년 노브고로드의 최종 합병이다. 이 행위로 이반은 중세 러시아의 두 주요 정치 및 교회 중심지를 하나의 통치자 아래, 그리고 그 안에서 통합했다. 다음 세대에 그와 그의 아들 바실리 3세 (1505-1533)는 나머지 영토를 추가했다.".
  2. Kuchkin 2013, 310쪽.
  3. Vodoff 2000, 747쪽, "이반은 모스크바의 대공국을 '중앙 집중된 러시아 국가'로 변화시켰다고 오늘날의 주장이 있습니다. 역사 용어...".
  4. Sashalmi 2022, 62쪽.
  5. Taagepera, Rein (September 1997). “거대 정치권의 확장과 축소 패턴: 러시아의 맥락” (PDF).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41 (3): 498. doi:10.1111/0020-8833.00053. JSTOR 2600793. 2020년 7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1일에 확인함. 
  6. 《A Short History of the USSR》 (영어). Progress Publishers. 1965. 
  7. Florinsky, Michael T. (1965). 《Russia: a History and an Interpretation》 (영어). 
  8. Martin 2007, 208, 222, 228, 231쪽.
  9. Halperin 1987, 217쪽.
  10. Introduction into the Latin epigraphy (Введение в латинскую эпиграфику) 보관됨 2021-03-10 - 웨이백 머신.
  11. Martin 2007, 487쪽.
  12. Kuchkin, Vladímir Andreevich (1995). 《Первый московский князь Дани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The first Moscow prince, Danil Aleksandrovich]. Russian History 1. Nauka. 94–107쪽. ISSN 0869-5687. 
  13. Spielvogel, Jackson J. (2015). 《Western civilization》 Nin판. Stamford, CT. 361쪽. ISBN 978-1285436401. 
  14. Duiker, William J. (2016). 《World history》 Eigh, Advantage판. Boston, MA. 446쪽. ISBN 978-1305091726. 
  15. Thompson, John M. (2019). 《Russia and the Soviet Union: an historical introduction second edition.》. Routledge. 73쪽. ISBN 9781000310566. 
  16. Davies, B. Warfare, State and Society on the Black Sea Steppe, 1500–1700. Routledge, 2014, p. 5
  17. Madariaga, Isabel de (2005). 《Ivan the Terrible : first tsar of Russia》.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50–51쪽. ISBN 9780300119732. 
  1. 일부 역사가들은 대공국이 중앙집권적 러시아 국가로 변모한 시기를 1478년에 노브고로드의 공식 합병으로 추정하며, 그 후 이반 3세모든 러시아의 대군이라는 칭호를 얻었다.[1][2][3] 대군 칭호는 1547년에 공식적으로 이반 4세로 즉위할 때까지 계속 사용되었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