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비티니아 군주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티니아의 왕에서 넘어옴)

비티니아 군주 목록아나톨리아 북서부에 있던 고대 왕국 비티니아의 통치자를 다룬다.

지포이테스 1세가 기원전 297년에 바실레우스 (왕)이라는 그리스 칭호를 갖기 전,[1] 그 또는 그의 전임자들의 지위는 "대공",[2] "족장",[1] "지배자",[3] "왕" 등 다양하게 묘사되었다.[4] 비티니아 군주들에 대한 주요 사료 중 하나는 헤라클레이아의 멤논이 쓴 '헤라클레이아의 대하여'(고대 그리스어: Περί Ηρακλείας)이다.[3]

목록

[편집]
  • 도이달수스 (고대 그리스어: Δοιδαλσοῦ 또는 Δυδαλσοῦ). 헤라클레이아의 멤논은 그에 대해 이렇게 기록을 남겼다: "[아스타코스는] 두달소스가 비티니아인들의 통치권을 얻자, 위대한 영예와 힘을 얻었다." (고대 그리스어: Δυδαλσοῦ τηνικαῦτα τὴν Βιθυνῶν ἀρχὴν ἔχοντος·). 앤드루 스미스(2004)는 이를 "도이달수스가 비티니아인들의 통치자가 되던 때."로 해석했다.[3] 도이달수스에 대한 유일한 다른 언급은 스트라본의 '지리학' 12.4.2에서 발견되며,[5] 그의 이름은 ̇Δοιδαλσοῦ로 기재되었지만, 그가 비티니아인들의 왕과 동일시되지는 않으며, 오직 아스타코스 도시랑만 관련되어 있다.[5] Slavova (2015)는 그를 '비티니아의 왕'이라 칭했다.[5] Olmstead (2022)에 따르면, 그는 최초로 알려진 '반독립 상태의 비티니아 왕'이다.[4]
  • 보테이라스 (기원전 376년경 사망). 그는 두달소스의 후계자로 멤논에게서만 유일하게 언급됐다.[3]
  • 바스 (기원전 376년경–326년). 멤논은 "이 자 [바스]의 생애가 71년이 되었고, 이는 그가 왕[a]으로서 재위한 지 50년이었다." (고대 그리스어: Τούτου βίος μὲν ἐγεγόνει ἐτῶν αʹ καὶ οʹ, ὧν ἐβασίλευσε νʹ.. 스미스 (2004)는 이 문구를 "그는 71년을 살았고, 50년간 왕으로 있었다"로 해석했다."[3]
  • 지포이테스 1세 c. (기원전 326년–278년). 헤라클레이아의 멤논은 그를 '비티니아인들의 에파르콘 지포이테스'(고대 그리스어: Ζιποίτης δὲ ὁ Βιθυνῶν ἐπάρχων)라 하였다. 앤드루 스미스 (2004)는 '비티니아인들의 지배자, 지포이테스'로 해석했다.[3] Williams (1990)에 따르면, 지포이테스는 기원전 297년 ' 바실레우스'(왕)이라는 그리스 직위를 얻기 전 '족장'이었다고 한다.[1] 헤라클레이아의 멤논은 지포이테스의 전체 통치를 서술할 때 그러한 구분을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 자 [지포이테스]의 생애는 76년이었고, 그는 영토를 48년 다스렸다[b]." (고대 그리스어: Οὗτος βιοὺς μὲν ἔτη Ϛʹ καὶ οʹ, κρατήσας δὲ τῆς ἀρχῆς ηʹ καὶ μ,). 스미스(2004)는 이 문구를 "지포이테스는 76년을 살았고 48년 동안 왕국을 다스렸다."로 해석했다[3] Slavova (2015)는 그를 '비티니아의 왕'이라 불렀다.[5]
  • 지포이테스 2세 (기원전 278년–276년)
  • 니코메데스 1세 (기원전 278년–255년). 멤논은 그를 "...비티니아인들의 바실레우스 니코메데스..." (고대 그리스어: ...Βιθυνῶν, ὁ τούτων βασιλεὺς Νικομήδης...), "비티니아의 바실레우스 니코메데스" (고대 그리스어: ὁ τῆς Βιθυνίας βασιλεὺς Νικομήδης)이라 묘사했으며, 스미스(2004)는 바실레우스를 왕으로 번역했다.[3]
  • 에타제타 (섭정) (기원전 255년–254년)
  • 지아엘라스 (기원전 254년–228년)
  • 프루시아스 1세 콜로스 (기원전 228년–182년)
  • 프루시아스 2세 키네고스 (기원전 182년–149년)
  • 니코메데스 2세 에피파네스 (기원전 149년–127년)
  • 니코메데스 3세 에우에르게테스 (기원전 127년–94년)
  • 니코메데스 4세 필로파토르 (기원전 94년–74년)
  • 소크라테스 크레스투스 - 기원전 90년경 잠시 재위했다

비티니아 왕들의 주화는 초상을 담고 있으며, 대체로 매우 정교한 헬레니즘 양식으로 새겨져 있다.[6]

비티니아 왕의 가계도

[편집]
보테이라스
바스
비티니아의 왕
기원전 376년경–326년
지포이테스 1세
비티니아의 왕
기원전 326년경–276년
니코메데스 1세
비티니아의 왕
기원전 276년경–255년
지포이테스 2세
비티니아의 왕
기원전 279년경–276년
지아엘라스
비티니아의 왕
기원전 254년경–228년
필리포스 5세
마케도니아의 왕
아파마 3세
안티고노스 왕조
프루시아스 1세 콜로스
비티니아의 왕
기원전 228년경–182년

안티오코스 히에락스
셀레우코스 왕조
아파메 4세프루시아스 2세 키네고스
비티니아의 왕
기원전 182년경–149년
니코메데스 2세 에피파네스
비티니아의 왕
기원전 149년경–127년
아파마
∞ 디에길로스
트라키아의 코티스 4세의 아들
카파도키아의 니사
카파도키아의 아리아라테스 6세의 딸
니코메데스 3세 에우에르게테스
비티니아의 왕
기원전 127년경–94년
라오디케
폰토스의 미트리다테스 5세의 딸
니코메데스 4세 필로파토르
비티니아의 왕
기원전 94년경–74년
소크라테스 크레스투스
왕위주장자
비티니아의 니사

참조

[편집]
  1. ἐβασίλευσε ebasileuse. The verb βασιλεύω basiléō comes from the noun βασιλεύς basileús ("king"), and means "to be king" or "to reign as king".
  2. κρατήσας δὲ τῆς ἀρχῆς kratesas de tes arkhes.

각주

[편집]
  1. Williams 1990, 10쪽.
  2. The Penny Cyclopaedia of the Society for the Diffusion of Useful Knowledge: Bassantin - Bloemaart, Volume 4 Society for the Diffusion of Useful Knowledge Knight, 1835 p. 470
  3. Smith 2004, Chapters 1–21.
  4. Olmstead 2022, 344쪽.
  5. Slavova, Mirena (2015). “The Thracian Diphthong /oi/ Revisited”. 《Studia classica Serdicensia》: 144–145. 2023년 3월 14일에 확인함. 
  6. Asia Minor Coins - regal Bithynian coins

참조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