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치 포

농구에서 스트레치 포(Stretch four, 스트레치 빅이라고도 함)는 일반적인 파워 포워드보다 골대에서 멀리서 슛할 수 있는 파워 포워드 포지션의 선수이다. "스트레치"는 그러한 선수가 상대 수비에 미치는 효과를 설명하며, 파워 포워드 포지션은 "포"(four)라고도 알려져 있으므로 "스트레치 포"이다. 스트레치 포는 NBA에서 비교적 최근에 생긴 혁신이며 (1999-2000 시즌 이후 선수들의 "폭발"[1]과 함께),[2] 오늘날의 경기에서 점점 더 흔해지고 있다. 많은 NBA 감독들이 이제 "스몰 볼" 라인업/전술을 사용하기 때문이다.[3]
플레이 스타일
[편집]파워 포워드(PF)는 전통적으로 골대 가까이에서 플레이하며, 자신의 크기와 힘을 사용하여 골밑 수비, 포스트업 (골대 근처에서 득점), 리바운드를 한다.[4] 스트레치 포는 파워 포워드 사이즈를 가지고 있지만 뛰어난 슈팅 기술(특히 3점슛)을 갖춘 선수로, 골대에서 더 멀리서 시간을 보낸다.[5] 공격에서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는 동안에도 선수는 상대 파워 포워드를 수비하는 능력을 유지한다.
스트레치 포는 상대 수비를 "늘리기" 위해 이러한 전술로 사용된다. 먼 거리에서 높은 성공률의 캐치앤슛 3점슛을 성공시키는 능력 (스트레치 포의 뚜렷한 특징)[6]은 다른 팀에게 수비 문제를 야기한다. 상대 파워 포워드 수비수를 로우 포스트 지역 밖으로 끌어내어 팀 동료들이 활용할 드라이브 인 공간을 열어주기 때문이다 (이는 달리는 공간이나 패스 공간이 될 수 있다).[7] 일부 전통적인 느릿느릿한 파워 포워드와 달리, 스트레치 포는 외곽에서 슛할 수 있는 상대편을 수비할 수 있어야 한다.[8] 그들은 또한 더 작은 외곽 선수들을 수비해야 할 수도 있다.[9]
스트레치 포와 같은 플레이 스타일을 가지지만 센터 포지션을 뛰는 선수는 스트레치 파이브라고 불린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Hayes, Patrick (2013년 3월 13일). “The 'Stretch 4s' of the '90s speak on today's perimeter-oriented big men”. 《sbnation.com》. VOX Media. 2014년 11월 5일에 확인함.
- ↑ “Player Season Finder”. 《basketball-reference.com》. Sports Reference LLC. 2014년 11월 5일에 확인함.
- ↑ Harper, Zach (2013년 10월 15일). “Stretch-4s in the NBA: The balance between stretching and defense”. 《CBS Sport》. CBS. 2014년 11월 5일에 확인함.
- ↑ Goldsberry, Kirk (2019). 《Sprawlball: A Visual Tour of the New Era of the NBA》. Houghton Mifflin Harcourt. 162, 173쪽. ISBN 9780358329756.
- ↑ Goldsberry 2019, p. 170.
- ↑ Wasserman, Jonathan (2012년 8월 8일). “The Evolution and Anatomy of the Combo-Forward”. 《NBADraft.net》. 2017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5일에 확인함.
- ↑ Goldsberry 2019, p. 15.
- ↑ Goldsberry 2019, p. 33.
- ↑ McMillin, Eric. “All Basketball Positions Explained”. 《Sports365》. 2025년 3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