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왕 전투
| 십왕 전투 | |||||||||
|---|---|---|---|---|---|---|---|---|---|
| |||||||||
| 교전국 | |||||||||
| 바라타-트리추 연합 |
1단계: 2단계: | ||||||||
| 지휘관 | |||||||||
|
수다스(왕) 바시슈타(참모) |
1단계: 2단계: | ||||||||
| 병력 | |||||||||
| 불명 | |||||||||
십왕 전투(산스크리트어: दाशराज्ञयुद्धम्, IAST: Dāśarājñá yuddhá)는 리그베다 제7권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바라타족의 라자인 수다스와 부족 연합군 사이에 벌어졌다. 이 전투는 바라타족의 결정적인 승리로 끝났고, 이후 쿠루 왕국이 형성되었다. 리그베다에 언급된 십왕 전투는 마하바라타의 쿠루크셰트라 전쟁 이야기의 '핵심'을 형성했을 수 있다.[6]
전투
[편집]리그베다 제3권은 바라타족이 베아스강과 수틀레지강을 건너 (미래의) 쿠루크셰트라 지역으로 이동했으며, 그곳에서 초기 (그리고 일시적인) 부족 간 연합[7]과 마주쳤다고 언급한다. 이 연합은 제7권 18번째 찬가(5-21절)에 묘사된 전투에서 맞섰다. 정확한 동기는 불분명하다. 마이클 비첼은 부족 내 불만이나 쫓겨난 사제의 음모의 결과일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a] 란비르 차크라바르티는 전투가 아마도 관개의 생명선이었던 강을 통제하기 위해 벌어졌을 것이라고 주장한다.[7][8][9][2] 찬가들은 또한 연합 부족들이 바라타족으로부터 소를 훔치려 했다고 언급한다.[2]
비첼이 찬가 중 가장 "상세하고 독창적인 재해석"을 했다고 평가하는 한스-페터 슈미트는 리그베다 전체에서 풍부하게 사용된 냉소적인 암시, 비유, 말장난을 통해 부족 연합을 조롱하는 독특한 시적 순간을 발견한다.[7][9][10] 이러한 암시 중 일부는 맥락에 따라 매우 특수하며 (여전히) 인식되지 않고 있다. 사용된 수사법 및 기타 시적 장치에 비추어 특정 단어의 해석에 상당한 논란이 존재한다.[9][2]
1단계
[편집]전투의 1단계는 쿠루크셰트라 서쪽의 마누사 마을 근처 라비강(당시 파루스니강) 강둑에서 벌어졌다.[7][11] 리그베다에는 바라타족 왕과 그들의 사제가 각각 수다스 파이자바나와 바시스타로 언급되지만, 사마베다와 야주르베다 삼히타에서는 이름이 바뀐다.[7] 주된 적대자는 불분명하며,[b] 참여 부족들의 이름은 음운 변형 때문에 복원하기 어렵다.[7][9][2] 부족 연합의 그럴듯한 교전국에는 (순서대로) 푸루족(바라타족의 이전 지배 부족), 야두족(아마도 투르바사에 의해 지휘됨), 야크수족(비교적 중요하지 않거나 야두족의 말장난), 마츠야 왕국, 드루휴족, 파크타족, 발라나족, 알리나족, 비샤닌족, 시바족, 바이카르나족, 그리고 아누족이 포함된다.[7][9]
수적으로는 불균형한 전투였지만 (이 점은 찬가에서 여러 번 강조된다), 수다스는 강둑의 둑을 전략적으로 터뜨려 대부분의 (?) 적들을 익사시킴으로써 부족 연합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7][10] 이러한 급작스러운 전세 역전은 바라타족의 수호신인 인드라의 자비와 전략에 기인하며, 인드라의 축복은 바시슈타의 시로 확보되었다.[7][2]
2단계
[편집]그 후 전투지는 (아마도) 야무나강 강둑으로 옮겨졌으며, 그곳에서 현지 족장 비다는 아자족, 시그라족, 야크수족의 세 부족과 함께 패배했다.[7][2]
여파
[편집]십왕 전투로 인해 바라타족은 서부 펀자브(당시 판차나다)의 사라스바티강을 중심으로 한 푸루족의 전 영토를 점령하고 동쪽으로의 이주를 완료했다.[7] 수다스는 북쪽, 동쪽, 서쪽의 적들로부터 자유로운 영역을 기념하기 위해 아슈바메다 의식으로 승리를 축하했다. 그는 남쪽의 칸다바 숲에 여전히 적들이 있었는데, 이곳은 경멸받는 (인도-아리아인인지 비인도-아리아인인지 불분명한) 키카타족이 거주하고 있었다.[7]
푸루족과 바라타족 사이에 정치적 재편이 곧 뒤따랐을 것이며, 이는 부족 연합의 다른 파벌들도 포함했을 수 있다. 이는 리그베다의 핵심 수집물이 양측의 씨족 찬가를 두드러지게 특징으로 한다는 점에서 드러난다.[13][7]
이 영토는 결국 리그베다 시대 이후 쿠루족 치하에서 최초의 인도 아대륙 "국가"가 되었다. 이곳은 브라만 문화와 순수성의 중심지가 되었고, 이는 결국 인도 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변형시키며 지역 전통과 합쳐져 브라만교로 발전했다.[7][13] 푸루족은 펀자브에서 미미한 세력으로 살아남았다. 비첼과 일부 다른 학자들은 포로스(기원전 300년대 초)가 같은 부족 출신의 왕이라고 믿는다.[7][13]
역사성
[편집]카를 프리드리히 겔트너를 포함한 1800년대 이후의 수많은 번역가들은 구절의 서술적 특징을 바탕으로 이 전투를 역사적 사건으로 간주해 왔다.[9] 비첼은 이 전투를 약 기원전 1450년에서 1300년 사이로 추정하며, 관련 찬가들을 후기 삽입물로 간주한다.[14] 스테파니 W. 제이미슨은 전투에 대한 묘사가 "모호하기 짝이 없기" 때문에 이를 역사를 재구성하는 주요 자료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경고한다.[2][11]
비첼과 제이미슨 모두 바로 다음 찬가(7.19, 3절)에서 인드라가 수다스와 땅을 얻은 푸루족을 돕는 충성심의 놀라운 변화를 보여준다고 본다.[7][2]
스테파니 W. 제이미슨은 리그베다에서 가장 유명한 역사적 갈등으로, 바라타족이 베다 부족들에 대한 우위를 확보한 것이라고 언급하며, 비첼도 마찬가지다.[2][10]
쿠루크셰트라 전쟁의 원형일 가능성
[편집]비첼은 이 전투가 마하바라타에 서술된 쿠루크셰트라 전쟁의 유력한 원형/프로토타입이라고 언급한다.[15] 존 브록킹턴도 비슷한 접근 방식을 취한다.[16] S. S. N. 머시(S. S. N. Murthy)는 이 전투를 쿠루크셰트라 전쟁의 "핵심"으로 제안하기까지 하며, 발터 루벤도 비슷한 입장을 취한다.[6][17] 그러나 비첼은 마하바라타의 핵심 텍스트가 후기 베다 시대의 어떤 사건에 대한 묘사라고 주장한다. 이는 수세기 동안 전승되고 재창조되면서 (아마도) 십왕 전투를 반영하도록 재형성(및 확장)되었다.[7] 알프 힐테바이트엘은 비첼과 브록킹턴의 주장을 "당황스러운 상상"이라며 반박하고, 이 전투를 마하바라타의 "형제 살해 투쟁"과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이 완전히 없다고 지적한다.[18][16]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설명주
[편집]- ↑ 제3권은 바라타족의 사제 비슈바미트라가 저술했으며 전투에 대한 언급이 없다. 제7권은 비슈바미트라를 대신한 바시스타가 저술했다. 그러나 제이미슨은 리그베다에 바시스타-비슈바미트라의 불화에 대한 증거가 없다고 부정한다.[2]
- ↑ 카를 프리드리히 겔트너는 베다로 잘못 판단했다. 비첼은 트라사다스유를 제안한다. 팔리하와다나는 트라사다스유의 아버지인 푸루쿠트사를 제안한다.[12]
참조주
[편집]- ↑ Witzel, Michael (2020). 〈4. Early Indian history: Linguistic and textual parametres〉. 《The Indo-Aryans of Ancient South Asia》. 85–125쪽. doi:10.1515/9783110816433-009. ISBN 978-3-11-081643-3. 2021년 8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Brereton, Joel P.; Jamison, Stephanie W. 편집 (2014). 《The Rigveda: The Earliest Religious Poetry of India》 I. Oxford University Press. 880, 902–905, 923–925, 1015–1016쪽. ISBN 9780199370184.
- ↑ Witzel, Michael (2000). "The Languages of Harappa". In Kenoyer, J..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n the Indus civilization.
- ↑ Witzel, Michael (1997). 《The Development of the Vedic Canon and its Schools: The Social and Political Milieu》 (PDF). 《Harvard Oriental Series, Opera Minora》 2. 264쪽.
- ↑ Witzel, Michael (2020). 〈4. Early Indian history: Linguistic and textual parametres〉. 《The Indo-Aryans of Ancient South Asia》. 85–125쪽. doi:10.1515/9783110816433-009. ISBN 978-3-11-081643-3. 2021년 8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Murthy, S. S. N. (2016년 9월 8일). 《The Questionable Historicity of the Mahabharata》.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10. 1–15쪽. doi:10.11588/ejvs.2003.5.782. ISSN 1084-7561. 2019년 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Witzel, Michael (1995). 〈4. Early Indian history: Linguistic and textual parametres〉 (영어). Erdosy, George (편집). 《The Indo-Aryans of Ancient South Asia: Language, Material Culture and Ethnicity》. Indian Philology and South Asian Studies. De Gruyter. 85–125쪽. doi:10.1515/9783110816433-009. ISBN 978-3-11-081643-3. S2CID 238465491. 2021년 8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2일에 확인함.
- ↑ Sinha, Kanad (2015). 《PROFESSOR V.K. THAKUR MEMORIAL PRIZED PAPER: WHEN THE BHŪPATI SOUGHT THE GOPATI'S WEALTH: LOCATING THE "MAHĀBHĀRATA ECONOMY》. 《Proceedings of the Indian History Congress》 76. 67–68쪽. ISSN 2249-1937. JSTOR 44156566. 2021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Schmidt, Hans-Peter (March 1980). 《Notes on Rgveda 7.18.5–10》. 《Indica》 17. 41–47쪽. ISSN 0019-686X.
- ↑ 가 나 다 Stuhrmann, Rainer (2016년 10월 11일). 《Die Zehnkönigsschlacht am Ravifluß》 (독일어).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23. 1–61쪽. doi:10.11588/ejvs.2016.1.933. ISSN 1084-7561. 2021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5일에 확인함.
- ↑ 가 나 Brereton, Joel P.; Jamison, Stephanie W. 편집 (2020). 《The Rigveda: A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34쪽. ISBN 9780190633363.
- ↑ Palihawadana, Mahinda (2017). Mumm, Peter-Arnold; West, Tina (편집). 《The Indra Cult as Ideology A Clue to Power Struggle in an Ancient Society》.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24. 51쪽.
- ↑ 가 나 다 Witzel, Michael (1997). 《The development of the Vedic canon and its schools: the social and political milieu》. 《crossasia-repository.ub.uni-heidelberg.de》. 263, 267, 320쪽. doi:10.11588/xarep.00000110. 2021년 8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5일에 확인함.
- ↑ Witzel, Michael (2000). 《The Languages of Harappa: Early Linguistic Data and the Indus civilization》. 37쪽. doi:10.11588/xarep.00000120. 2022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2일에 확인함.
- ↑ Witzel, Michael (1997). 〈Early Sanskritization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Kuru State〉. Kölver, Bernhard (편집). 《Recht, Staat und Verwaltung im klassischen Indien / The State, the Law, and Administration in Classical India》. Schriften des Historischen Kollegs. Oldenbourg Wissenschaftsverlag. doi:10.1524/9783486594355. ISBN 978-3-486-59435-5. 2021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Hiltebeitel, Alf (2001년 10월 30일). 〈Introduction〉 (영어). 《Rethinking the Mahabharata: A Reader's Guide to the Education of the Dharma K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쪽. ISBN 978-0-226-34054-8.
- ↑ Ruben, Walter (1977). 《KṚṢṆA, PARIS, AND SEVEN SIMILAR HEROES》. 《Annals of the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58/59. 299쪽. ISSN 0378-1143. JSTOR 41691699. 2021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2일에 확인함.
- ↑ Hiltebeitel, Alf (2000년 6월 1일). 《John Brockington, The Sanskrit Epics》 (영어). 《Indo-Iranian Journal》 43. 162쪽. doi:10.1163/000000000124993958. ISSN 1572-8536. S2CID 189772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