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론에서, 주어진 군의 교환자 부분군(交換子部分群, 영어: commutator subgroup)은 교환자들로 생성되는 부분군이다.
군
의 교환자 부분군
은 다음과 같은 꼴의 원소들로 구성되는 부분군이다.
![{\displaystyle [g_{1},h_{1}][g_{2},h_{2}][g_{3},h_{3}]\dots [g_{n},h_{n}]\in G^{(1)}\subset G}](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998abc16fe6302541bdb3f44d1eb1d60520ed213)

여기서
![{\displaystyle [g,h]=g^{-1}h^{-1}gh}](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e87495055902ee8caee67b2645802bd3192d68c5)
는 군의 교환자이다. 교환자 부분군은 항상 정규 부분군이다.
군
의 n차 유도 부분군(n次誘導部分群, 영어: nth derived subgroup)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즉, 교환자 부분군을 n번 취한 부분군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정규 부분군들의 열이 존재한다.

이를 유도열(誘導列, 영어: derived series)이라고 한다.
유도열을 임의의 순서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확장할 수 있다.

- 따름 순서수
에 대하여,

- 극한 순서수
에 대하여,

이를 초한 유도열(超限誘導列, 영어: transfinite derived series)이라고 한다.
유도열을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군들의 모임을 정의할 수 있다.
- 교환자 부분군이 자명군인 군을 아벨 군이라 한다.
- 교환자 부분군이 스스로인 군을 완전군이라고 한다.
- 어떤 자연수
에 대하여
인 군
를 가해군이라고 한다.
- 어떤 순서수
에 대하여
인 군
를 준 아벨 군(영어: hypo-Abelian group)이라고 한다.
정의에 따라
- 아벨 군 ⊊ 가해군 ⊊ 준 아벨 군
임을 알 수 있다.
군
가 주어졌을 때, 교환자 부분군
은 그 정규 부분군이며, 이에 대한 몫군

은 아벨 군을 이룬다. 이를 아벨화(Abel化, 영어: abelianization)라고 한다. 범주론적으로 이는 군과 군 준동형의 범주
에서 아벨 군과 군 준동형의 범주
로 가는 함자를 이룬다.

아벨 군은 군의 일종이므로, 포함 함자

가 존재한다. 아벨화 함자는 포함 함자의 왼쪽 수반 함자이다.

호몰로지 대수학에서, 군의 아벨화는 정수 계수의 1차 군 호몰로지

와 같다.
일부 군들의 교환자 부분군들은 다음과 같다.
G |
G(1)
|
대칭군  |
교대군
|
교대군  |
클라인 4원군
|
사원수군  |
|
크기 8의 정이면체군  |
|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경로 연결 공간
의 기본군
의 아벨화는 정수 계수 1차 특이 호몰로지
이다. 이는 후레비치 준동형의 특수한 경우이다. 즉, 기본군의 교환자 부분군은 1차 후레비치 준동형의 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