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자 래스킨
아자 래스킨 | |
|---|---|
![]() 2019년의 아자 래스킨 | |
| 출생 | 1984년 2월 1일(41세) 캘리포니아주, 미국 |
| 성별 | 남성 |
| 경력 | 무한 스크롤 개발 |
| 직업 | 인터페이스 디자이너, 기업가, 작가 |
| 소속 | Center for Humane Technology |
| 부모 |
|
아자 래스킨(Aza Raskin, 1984년 2월 1일 ~)은 Center for Humane Technology[1]와 어스 스피시즈 프로젝트(Earth Species Project)의 공동 설립자이다.[2] 그는 또한 작가, 기업가, 발명가이자 인터페이스 디자이너이다.[3][4][5] 그는 애플의 매킨토시 프로젝트로 알려진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전문가 제프 래스킨의 아들이다.
래스킨은 기술의 윤리적 사용을 옹호하며, 현대 기술이 일상생활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해왔다.[6] 팟캐스트 Your Undivided Attention에서 래스킨은 트리스탄 해리스와 함께 정보 기술의 힘과 그것이 현대 사회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에 대해 폭넓게 이야기했다.[7][8]
래스킨은 르네 디레스타와 함께 쓴 기사의 제목이기도 한 "표현의 자유는 도달의 자유가 아니다(freedom of speech is not freedom of reach)"라는 문구를 만들었다.[9][10][11] 이 문구는 이제 플랫폼 증폭과 표현의 자유가 미치는 대규모 영향을 언급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코미디언 사샤 배런 코언이 공개적으로 인용했으며, 전 트위터 CEO 잭 도시는 트위터의 정치 광고 금지 이유를 설명하는 데 사용했다.[12][13]
래스킨은 아버지의 아키 프로젝트 작업을 계속했고, 모질라 랩스의 사용자 경험 책임자와 파이어폭스의 수석 디자이너로 일했으며, 여러 회사를 설립했다. 최근에는 가상 현실 프로젝트[14]와 주밍 사용자 인터페이스(ZUI)에서 협력했다.[15]
경력
[편집]개인 프로젝트
[편집]아자 래스킨은 10세 때 샌프란시스코 컴퓨터-인간 상호작용 특별 관심 그룹(SIGCHI) 지부 회의에서 아버지인 제프 래스킨과 함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강연에 참여했다.[16] 그는 시카고 대학교에서 수학과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17]
2004년에 그는 아버지와 함께 래스킨 인간적 인터페이스 센터(Raskin Center for Humane Interfaces)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러다임인 아키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일했다.[18] 2005년 아버지의 사망 후, 그는 휴머나이즈드(Humanized)를 설립하여 아키 패러다임을 계속 연구하고 언어 기반의 서비스 지향 소프트웨어인 엔소(Enso)를 만들었다.[19]
래스킨은 활발한 피싱 연구자로,[20] 사용자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열린 브라우저 탭을 이용하여 피싱 사이트를 실행하는 탭내빙[21] 공격을 발견한[22][23]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또한 형식 문법에서 미술을 생성하는 Algorithm Ink (Context Free 기반)와 같은 여러 작은 프로젝트를 가지고 있다.[24][25]
와이어드 UK 매거진의 '영국 재부팅' 시리즈에서 래스킨은 반복적인 거버넌스를 옹호했으며, 잡지 표지에 실렸다.[26] 그는 또한 새로운 인간 중심 컴퓨팅 방향에 대해 TED 강연을 했다.[27]
모질라
[편집]2008년 래스킨을 포함한 Humanized 직원들은 고용 이전을 통해 모질라 코퍼레이션에 합류했다.[28] 래스킨은 모질라 랩스(Mozilla Labs)의 사용자 경험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2010년 래스킨은 파이어폭스의 크리에이티브 리드(Creative Lead)로 임명되었다.[29][17] 그는 유비쿼티[30]와 모바일용 파이어폭스[31]를 포함한 여러 랩 프로젝트에서 일했으며, 지오로케이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의 원래 사양을 작성했다.[32]
2010년 래스킨은 모질라 파이어폭스 팀에서 그가 진행한 작업의 결과물인 탭 캔디(Tab Candy)를 선보였다. 탭 캔디는 탭을 공간적으로 정리하여 사용자가 "모든 탭을 한눈에 보고 현재 작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33]
Computerworld는 탭 캔디의 초기 디자인과 알파 릴리스를 "탭이 발명된 이래 최고의 새 브라우저 기능"이라고 불렀다.[34] 탭 캔디는 파이어폭스 파노라마(Firefox Panorama)로 이름이 바뀌어 초기 파이어폭스 4 릴리스에 (숨겨진 기본값으로) 포함되었지만, 나중에 기본 파이어폭스 패키지에서 제거되어 추가 기능으로 전환되었다.[35]
스타트업
[편집]래스킨은 Humanized 외에 음악 메타 검색 도구인 송자(Songza)와 골판지로 만든 가구를 판매하는 블록시스(Bloxes)라는 두 개의 회사를 더 설립했다.[36] 송자는 2008년 말 아마존의 지원을 받는 회사인 아미 스트리트(Amie Street)에 인수되었다.[37] 송자는 결국 구글에 인수되어 현재 구글 플레이의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송자는 또한 분위기 및 활동 기반 재생 목록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했다.[38][39]
2010년 말, 래스킨은 모질라를 떠나[40] 매시브 헬스(Massive Health)라는 스타트업을 공동 설립했다. 그의 목표는 건강 유지 목표에 디자인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었다.[41][42] 2011년, 패스트 컴퍼니(Fast Company)는 이 작업으로 그에게 디자인 마스터(Master of Design) 상을 수여했다.[43] 2012년 4월 16일, 매시브 헬스는 래스킨이 “최고 비전 책임자”로 회사를 이끌 것이라고 발표했다.[44] 2013년, 매시브 헬스는 조본(Jawbone)에 인수되었다.[45]
2017년, 래스킨은 어스 스피시즈 프로젝트(Earth Species Project)를 설립했다.[46][47] 이 프로젝트는 AI를 사용하여 비인간 커뮤니케이션, 특히 인간-동물 커뮤니케이션을 해독하는 데 중점을 둔 비영리 단체이다. 이 프로젝트는 2020년 NPR 인비지빌리아(Invisibilia) 팟캐스트 에피소드의 주제였다.[48][49]
미디어 및 기타 활동
[편집]2018년, 래스킨은 오프 스크린 매거진(Off Screen Magazine)의 표지에 실렸다.[50] 2019년에는 아르스 일렉트로니카의 40주년 기념 전시회에 초청 큐레이터로 선정되었고,[51] 남북한에 대한 전시회에서 자신의 작품을 선보였다.[52]
래스킨은 포브스 30 언더 30에 선정되었고,[53] 패스트 컴퍼니(Fast Company)의 “가장 창의적인 인물” 목록에 포함되었다.[54]
기술 사용에 대한 견해
[편집]Center for Humane Technology의 공동 설립자 중 한 명으로서,[1] 래스킨은 기술의 윤리적 사용을 옹호하며, 현대 기술이 일상생활과 사회에 미치는 광범위하고 종종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비판적이다.[6] 그는 이 주제에 대해 와이어드 매거진,[55] The Wall Street Journal,[56] 비츠 앤 프레첼스(Bits & Pretzels),[57] 슬러시(Slush),[58] 휴매니티 2.0(Humanity 2.0),[59] 그리고 로리 세골(Laurie Segall)을 위한 강연을 했다.[60]
저서
[편집]저술
[편집]- Raskin, Aza (2007년 7월 13일). 《Never Use A Warning When You Mean Undo》. 《A List Apart》. 2009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Raskin, Aza (2006년 10월 24일). 《Death of the Desktop》. The Ajax Experience. 2009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Raskin, Aza (2006년 6월 30일). “Collaboration Made Simple with Bracket Notation”. Humanized. 2009년 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Raskin, Aza (January–February 2008). 《The Linguistic Command Line》. 《Interactions》 15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19–22쪽. doi:10.1145/1330526.1330535. S2CID 7819664.
- Jakobsson, Markus; Myers, Steven 편집 (2006). 《Phishing and Counter-Measures: Understanding the Increasing Problem of Electronic Identity Theft》. Wiley. 800쪽. ISBN 0-471-78245-9. (기여자)
- Raskin, Aza (2020년 5월 7일). “Growth Teams Have the Tools to Be Coronavirus Anti-Growth Teams”. Wired.
강연
[편집]- Raskin, Aza (2007년 5월 4일). 《Away with Applications: The Death of the Desktop》. Google Tech Talk. YouTube. 2024년 7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Raskin, Aza (2008년 4월 2일). 《Don't Make Me Click》. Google Tech Talk. YouTube. 2021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Raskin, Aza (2018년 12월 7일). 《How to Create Human Protective Technology by Aza Raskin》. Slush. 2020년 1월 14일에 확인함.
- Raskin, Aza (2019년 6월 28일). 《Rebalancing Our Relationship With Tech》. Wired magazine. 2020년 1월 14일에 확인함.
- Raskin, Aza (2018년 7월 2일). 《Silicon Valley Renegades Take On Tech Obsession》. 《The Wall Street Journal》. 2020년 1월 14일에 확인함.
- Raskin, Aza (2019년 7월 2일). 《Aza Raskin from the Center for Humane Technology on the impact of technology on the human condition》. Humanity 2.0. 2020년 1월 14일에 확인함.
- Raskin, Aza (2019년 11월 28일). 《Aza Raskin (Center for Humane Technology): The digital attention crisis》. Bits & Pretzels. 2020년 1월 14일에 확인함.
- Raskin, Aza (2019년 12월 9일). 《Tech's Next Threat: The Weaponization of Loneliness》. 《First Contact with Laurie Segall》 (iHeart Radio). 2020년 1월 14일에 확인함.
개인 생활
[편집]아자 래스킨은 2015년 8월 웬델렌 리(Wendellen Li)와 결혼했다.[61]
각주
[편집]인용
[편집]- ↑ 가 나 “Center for Humane Technology team members”. 2019년 2월 10일에 확인함.
- ↑ Jepsen, Mary Lou; Ryan, John (2019년 12월 29일). “Artificial intelligence is helping us talk to animals (yes, really)”. Wired. 2020년 7월 3일에 확인함.
- ↑ Campofiorito, Matteo (2008년 9월 1일). “Interview with Aza Raskin, Head of User Experience for Mozilla Labs”. 《oneopensource》. 201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 “Mozilla warns of new phishing scam”. 《Infosecurity Magazine》. 2010년 5월 27일.
- ↑ Shankland, Stephen (2009년 3월 8일). “Firefox, too, revamping new-tab behavior”. 《CNET News》. 2009년 3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Dodds, Laurence (2019년 5월 10일). “'We lost control of our creations': The Silicon Valley heretic on a mission to make Big Tech repent”. 《Telegraph》.
- ↑ “Your Undivided Attention Podcast”. 《Humane Tech》.
- ↑ Anon (2018). ““It’s as if they’re taking behavioural cocaine and just sprinkling it all over your interface””. London: BBC.
- ↑ “Design Principle for consideration: Introducing the Active Audience”. Humane Tech. April 2019.
- ↑ Newton, Casey (2020년 6월 4일). “What other social networks can learn from Snapchat's rebuke of Trump”. The Verge. 2020년 7월 3일에 확인함.
- ↑ “Free Speech Is Not the Same As Free Reach”. Wired. 2018.
- ↑ “Free Speech Is Not the Same As Free Reach”. TechCrunch. 2019년 11월 22일.
- ↑ Jack Dorsey (2019년 10월 31일). “Twitter”.
- ↑ Pierce, David (2016년 9월 22일). “VR Headset Makes All Your iPhone Videos 3-D”. 《Wired》.
- ↑ makespace.fun
- ↑ Raskin, Jef; Aza Raskin (1994년 9월 13일). 《The Interface Paradox》. BayCHI Monthly Program. 2009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 가 나 Raskin, Aza. “aza's Thoughts - About me”. 2009년 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 McCarthy, Jack (2005년 2월 28일). “Mac creator Jef Raskin dies of cancer”. 《InfoWorld》. 2005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6일에 확인함.
- ↑ humanized.com/enso December 28, 2011
- ↑ Jakobsson, Markus; Myers, Steven 편집 (2006). 《Phishing and Counter-Measures: Understanding the Increasing Problem of Electronic Identity Theft》. Wiley. 800쪽. ISBN 0-471-78245-9.
- ↑ “Tabnapping Web Browser Attack Makes Phishing Easy”. 《eWEEK》. 2010년 5월 25일.
- ↑ “InformationWeek, serving the information needs of the Business Technology Community”. 《InformationWeek》. 2019년 6월 6일에 확인함.
- ↑ “Aza Raskin's original disclosure of Tabnabbing”. 2012년 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31일에 확인함.
- ↑ “Context Free Art”. 《www.contextfreeart.org》.
- ↑ “Algorithm Ink | Aza Raskin”. 《azarask.in》. 2008년 8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Raskin, Aza (2009년 11월 30일). “Rebooting Britain: Enact beta versions of new laws”. 《Wired UK》 – www.wired.co.uk 경유.
- ↑ “Aza Raskin at TEDGlobal 2009: Running notes from Session 3”. 2009년 7월 22일.
- ↑ Raskin, Aza (2008년 1월 16일). “Joining Mozilla”. Humanized. 2008년 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 Raskin, Aza (2010년 3월 30일). “Firefox Looks Inward For a Creative Boost”. Giga Om. 2010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5일에 확인함.
- ↑ Raskin, Aza (2008년 8월 26일). “Introducing Ubiquity”. 모질라 랩스. 2009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 Schonfeld, Erick (2008년 6월 11일). “Zoom, Pan, Throw: A Peek At What Firefox Mobile Could Be”. TechCrunch. 2009년 3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 Popescu, Andrei (2009년 7월 7일). “Geolocation API Specification”. W3C. 2009년 7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7월 7일에 확인함.
- ↑ Raskin, Aza. “Tab Candy: Making Firefox Tabs Sweet”. 2010년 8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Gralla, Preston (2010년 8월 26일). “Firefox 4 Beta 4 opens a new Panorama”. 《Computerworld》.
- ↑ “836758 - Convert Panorama into an add-on”. 《bugzilla.mozilla.org》. 2013년 8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6일에 확인함.
- ↑ Wenzel, Elsa (2008년 3월 7일). “Cardboard key to a 'green' office space”. 《CNET News》.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 “Interview with Amie Street: Why Keep Acquisition of Songza a Secret?”. 《Bub.licio.us》. 2011년 3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14일에 확인함.
- ↑ “This Is What It Feels Like When Google Buys Your Startup”. 《Business Insider》. 2014년 8월 3일.
- ↑ “A $50 device turns any video into a 3D experience — and is a terrifying way to watch 'Game of Thrones'”. 《Yahoo》. 2016년 10월 1일.
- ↑ Aza Raskin. “Leaving Mozilla, Starting Massive Health”. 2015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 Myers, Courtney Boyd (2010년 12월 14일). “Aza Raskin Leaves Mozilla to Start Massive Health”. 《The Next Web》.
- ↑ at 11:41, Kelly Fiveash December 15, 2010. “Firefox UI man quits Mozilla for new health-conscious venture”. 《www.theregister.co.uk》.
- ↑ “Fast Company Dedicates October Issue to "The United States of Design"”. 《www.fastcompany.com》. 2011년 9월 14일.
- ↑ “Massive Health CEO and Co-Founder Sutha Kamal departs company. Co-Founder Aza Raskin succeeds him”. 《thenextweb.com》. 2012년 4월 16일.
- ↑ Velazco, Chris (2013년 2월 4일). “Jawbone Acquires Mobile Health Startup Massive Health In Big Talent Acquisition”. 《TechCrunch》. 2016년 8월 18일에 확인함.
- ↑ “Earth Species Project”.
- ↑ Yoder, Kate (2020년 3월 25일). “Starved for human voices? Listen to a podcast about whale songs and climate change.”. Grist. 2020년 7월 3일에 확인함.
- ↑ “Two Heartbeats A Minute”. NPR. 2020년 4월 10일. 2020년 7월 3일에 확인함.
- ↑ Calma, Justine (2020년 3월 6일). “Go listen to this podcast about decoding the songs of whales”. The Verge. 2020년 7월 3일에 확인함.
- ↑ “Aza Raskin”. 《Off Screen magazine》. 20호. 2018.
- ↑ “Galler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eatures exhibition by art professor Jimin Lee”. 《UC Santa Cruz》. 2018년 7월 6일.
- ↑ Lee, Jimin (2019년 1월 15일). “Jimin Lee: To the Edge and Back”. 《Issuu》.
- ↑ “Aza Raskin, Co-founder, Massive Health, 27”. 《Forbes and Inc 30 under 30》. 2020년 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Aza Raskin”. 《Fast Company》.
- ↑ “Rebalancing Our Relationship With Tech”. Wired magazine. 2019년 6월 28일.
- ↑ “Silicon Valley Renegades Take On Tech Obsession”. 《The Wall Street Journal》. 2018년 7월 2일.
- ↑ “Aza Raskin (Center for Humane Technology): The digital attention crisis”. Bits & Pretzels. 2019년 11월 28일.
- ↑ “How to Create Human Protective Technology by Aza Raskin”. Slush. 2018년 12월 7일.
- ↑ “Aza Raskin from the Center for Humane Technology on the impact of technology on the human condition”. Humanity 2.0. 2019년 7월 2일.
- ↑ “Tech's Next Threat: The Weaponization of Loneliness”. 《First Contact with Laurie Segall》. iHeart. 2019년 12월 9일.
- ↑ The Georgian, January 2016.
참고 자료
[편집]- Mossberg, Walter S. (2007년 1월 25일). “For Those Nostalgic For Typed Commands, Enso Does a Nice Job”. 《The Wall Street Journal》. 2009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de Avila, Joseph (2008년 3월 2일). “Former DJ Tests Music Sites”. 《The Wall Street Journal》. 2009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Meyer, Ann (2007년 2월 12일). “A simpler approach to computers”. 《Chicago Tribune》. 2009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Blitstein, Ryan (2008년 2월 15일). “Software You Shouldn't Ever Notice”. 《비즈니스위크》. 2008년 10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Norman, Donald (May–June 2007). 《The next UI breakthrough: command lines》. 《Interactions》 14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44–45쪽. doi:10.1145/1242421.1242449. S2CID 34245709. 2009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Crafting a Revolution》. 《Ubiquity》 5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July 21–27, 2004. 2009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Archy - ny måde at bruge computeren på” (덴마크어). 《Harddisken》 (DR). 2005년 10월 22일. 2009년 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Interview: Ubiquity, Mozilla's magic mashup maker”. 《TechRadar》 (Future plc). 2008년 9월 10일. 2009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Schwan, Ben (2007년 3월 14일). “Heutige Computer halten uns doch nur von unserer Arbeit ab” (독일어). 《테크놀로지 리뷰 (German edition)》. 2007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Ha, Anthony (2008년 8월 27일). “Mozilla Labs' Aza Raskin talks about the big picture for Ubiquity”. 2009년 3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6일에 확인함.
- Exploratorium (2019). 〈Aza Raskin〉. 《The Art of Curiosity: 50 Visionary Artists, Scientists, Poets, Makers & Dreamers Who Are Changing the Way We See Our World》. Weldon Owen. ISBN 9781681889993.
- Bird, Matt (2020년 3월 24일). “Brendan Doherty, Aza Raskin, Rick Ridgeway, Greg Medcraft, Lynn Paine, and John Edelman Deliver Ethical Transformations in Business Panel at the Vatican”. Equities.
외부 링크
[편집]- 아자 래스킨 - 공식 웹사이트
- Earth Species Projec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