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애니메이션 음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애니송에서 넘어옴)

애니메이션 음악(일본어: アニメソング)은 J-pop 음악에서 유래한 음악 장르이다. 애니메이션 음악은 애니메이션, 만화, 비디오 게임, 오디오 드라마 CD 시리즈의 테마, 삽입, 캐릭터송 등으로 구성되며, 일본 성우의 음악을 포함하여 주로 애니메이션 시장을 위해 발매된 모든 노래를 포함한다.

애니메이션 음악 장르는 1970년대에 처음으로 음악 카테고리로 정의되었다. 이후 주류 아티스트들이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타이인 곡을 발매하기 시작하면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는 회사들이 자신들의 시리즈와 아티스트들을 위해 독점적으로 애니메이션 음악을 제작하는 레코드 레이블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별도의 장르로 재정의되었다. 2000년대 중반부터 성우의 증가로 인해 이 장르에 대한 시장 관심이 커졌다. 2020년대 초부터 애니메이션 음악은 국제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으며[1] 스포티파이, 크런치롤, 워너 뮤직 재팬, NBC유니버설 엔터테인먼트 재팬과 같은 회사들이 애니메이션 관련 음악에 투자하고 있다.[2][3]

역사

[편집]

1930~1970: 초기 영향

[편집]

고우치 준이치무딘 칼은 일본에서 현존하는 가장 초기의 애니메이션 영화로 평가된다. 오후지 노부로의 검은 고양이는 음악을 포함한 최초의 일본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이 영화에는 미리 녹음된 노래에 맞춰 춤을 추는 캐릭터가 등장하며, 이는 회고적으로 애니메이션 음악의 원형으로 간주된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엔터테인먼트와 문화 발전이 부흥하였다.[4] 1963년, 철완 아톰이 방영되었고, 그 후 테마곡 "철완 아톰 테마"는 다카다노바바역에서 출발곡으로 사용되어 일본 대중에게 잘 알려지게 되었다.[4] 이 노래는 시인 다니카와 슌타로가 작사를 맡았다는 점에서도 주목하였다.[4]

1970~1980: 애니메이션 음악의 인기 증가

[편집]

1970년대 일본의 경제 성장은 더 많은 문화 발전으로 이어졌고, 애니메이션 주제가만을 부르는 사람들은 애니메이션 음악 가수로 알려지게 되었다.[4] 가수들의 대중 노출이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마징가 Z, 우주전함 야마토, 캔디 캔디 시리즈의 주제가는 시청자 팬들뿐만 아니라 일본 대중에게도 널리 알려졌다.[4] 동시에 기동전사 건담의 성우인 후루카와 토시오후루야 토루는 쇼의 주제가를 부르기 위해 성우들로 구성된 보컬 유닛 슬랩스틱을 통해 많은 여성 팬덤을 얻었다.[5][6] 애니메이션 주제가는 원래 자신이 기반을 둔 시리즈의 이름과 설정을 사용했지만, 이는 애니메이션 음악 가사가 캐릭터의 생각과 감정에 중점을 두어 더 보편적인 매력을 제공하고 원래 애니메이션 작품의 맥락 밖에서도 통용될 수 있게 했다.[4]

1980~1990: 주류 인정

[편집]

일본의 버블 경제 절정기인 1980년대에는 애니메이션 산업 외부의 음악가들이 애니메이션 주제가를 부르기 시작했다.[4] 1984년, 마크로스를 위해 링 밍메이 캐릭터의 이름으로 발매된 싱글 사랑 기억하고 있습니까오리콘 주간 싱글 차트에서 7위를 기록했다.[4][7] 또한, 캣츠 아이 (1983)는 애니메이션 산업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가수 안리가 주제가를 불렀다는 이유로 광범위한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4] 마찬가지로 애니메이션 산업 외부에서 활동하던 밴드인 TM NETWORK는 1987년 곡 Get Wild가 시티헌터의 엔딩곡으로 발매되면서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4] 이 노래의 인기로 인해 TM NETWORK는 제72회 홍백가합전에 초청되어 이 곡을 불렀다.[4] 그 이후로 주류 아티스트들이 애니메이션을 위한 타이인 곡을 발매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4]

1990~2000: 자체 제작 및 현대화

[편집]

일본의 거품 경제 붕괴 이후, 애니메이션 음악만을 전담하는 레이블이 설립되었는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킹레코드의 스타차일드 레이블이었다.[4] 이는 부분적으로 Being Inc.의 이름을 딴 "Being Boom(일본어판)" 현상 때문이었다. 이 현상은 그들의 아티스트 ZARD오구로 마키가 대중들에게 잘 받아들여지는 노래를 발표한 후 팬덤을 얻었다.[4] 스타차일드 레이블 소속이었던 타카하시 요코신세기 에반게리온 (1995)의 주제가로 잔혹한 천사의 테제를 발표하였으며, 이 노래의 인기는 애니메이션 팬들 외의 대중들에게도 인지도를 얻게 했다.[4] 또한, 일본의 대중 음악이 가요쿄쿠에서 J-pop으로 전환되면서, 오쿠이 마사미와 같은 애니메이션 음악 가수들도 자신의 음악에 J-pop 사운드를 접목하기 시작했다.[4] 그 외에도 시이나 헤키루, 코우다 마리코, 하야시바라 메구미와 같은 성우들도 성우 활동 외에 노래 활동에도 활발히 참여했다.[5] 일부 성우들은 자신만의 그룹을 결성하여 TWO-MIX타카야마 미나미처럼 다른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주제가를 부르기도 하였다.[8]

2000~2019: 성우 붐

[편집]
미즈키 나나 (2018년 사진)는 2011년 가장 많이 팔린 여성 성우였다.[9]

2000년대에 심야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더 많이 제작되면서, 킹레코드와 계약한 호리에 유이, 타무라 유카리, 미즈키 나나는 음반 레이블에 의해 아이돌 가수 및 성우로 제작되고 마케팅되었다.[5][10] 2000년대 중반에는 성우 붐[4]과 더불어 아이돌 산업의 급성장으로 명명된 아이돌 전국 시대라는 현상이 있었다.[11] 미즈키 나나의 ETERNAL BLAZE는 2005년 오리콘 주간 싱글 차트 2위를 기록했으며, 그 직후 2006년 하레하레 유카이의 발매는 주로 쇼의 엔딩 애니메이션 댄스 시퀀스 때문에 "하루히 붐"으로 이어졌다.[4] 이후 몇 년 동안 애니메이션에 성우가 크게 증가했으며, 애니메이션 음악 전체가 일반 대중에게 더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4] 애니메이션 음악 산업은 "아이돌"의 존재감을 가질 수 있는 어린 소녀들을 영입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으며, 나카 리이사, 쿠스미 코하루, 히라노 아야가 그 예시로 언급된다.[10]

2010년, 시리즈 케이온!의 가상 밴드 호카고 티 타임은 두 싱글의 발매로 오리콘 주간 싱글 차트에서 동시에 1위와 2위를 기록한 최초의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되었다.[12] 이듬해에는 러브 라이브!, 아이돌마스터, 노래의☆왕자님♪과 같은 아이돌 테마의 멀티미디어 프로젝트가 인기를 얻었다.[13][14] 빌보드 재팬은 2010년 12월 1일 애니메이션 및 비디오 게임 음악 발매 전용 차트인 빌보드 재팬 핫 애니메이션 차트를 런칭했다.[15]

2020~: 글로벌 확장

[편집]

2020년대 이후, 애니메이션 음악은 스포티파이와 같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접근성이 확대되고 소셜 미디어에서 팬과 아티스트들의 홍보로 인해 전 세계적인 온라인 인기가 급증했다.[16][더 나은 출처 필요] 2020년, 애니메이션 영화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의 주제가인 "불꽃"은 빌보드 글로벌 200에서 8위로 상승하였다.[17] 2023년, 애니메이션 시리즈 【최애의 아이】의 오프닝 테마인 YOASOBI의 "아이돌"은 빌보드 글로벌 (미국 제외)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며, 일본어 곡이자 애니메이션 음악으로는 최초로 이를 달성하였다.[18] 또한 빌보드 글로벌 200에서 7위를 기록하며 일본 아티스트 중 최고 순위를 기록하였다.[19] 아이돌은 애플 뮤직유튜브 뮤직의 글로벌 차트에서도 1위를 차지하였다.[20][21] 같은 해, 요네즈 켄시KICK BACK, 체인소 맨의 오프닝 테마는 미국 음반 산업 협회 (RIAA)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은 최초의 일본어 가사 노래가 되었다.[22]

파생 장르

[편집]

애니메이션 음악 장르는 전파송모에 노래와 같은 장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8]

미디어

[편집]

레코드 레이블

[편집]

다음 레코드 레이블은 애니메이션 음악 전용이다:

콘서트

[편집]

아티스트

[편집]

공연자

[편집]

이 목록은 주로 애니메이션 음악을 연주하는 가수 및 밴드(미디어 믹스 애니메이션 프로젝트에서 생성된 그룹 포함)를 나열한다. 이 목록은 장르를 위한 부수적인 곡을 발표하는 가수나 밴드, 또는 성우가 출연하는 애니메이션의 주제가를 연주하기 위해 성우들이 사용하는 그룹 이름은 포함하지 않는다.

솔로이스트

[편집]

그룹

[편집]

작곡가

[편집]

이 목록은 주로 애니메이션 음악을 작곡하고 제작하는 작곡가들을 나열한다. 이 목록은 장르를 위해 부수적인 발매를 제작하는 작곡가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각주

[편집]
  1. “Global streams of anime music have soared 395% on Spotify since 2021”. 《Music Business Worldwide》. 2024년 8월 20일. 
  2. “Crunchyroll partners with Spotify to launch exclusive anime music playlists”. 《The Hindu》. 2024년 8월 21일. 
  3. “Warner Music Japan and NBCUniversal Entertainment Japan Form Strategic Partnership for Anime-Related Music”. 《web wire》. 2024년 12월 12일. 
  4. Ito, Taisei. “日本で最初のアニメが誕生した大正時代” (일본어). 《70 Seeds》. 2022년 4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1일에 확인함. 
  5. “「アイドル声優」のブームは継続中! その歴史は意外と深いって本当?” (일본어). 《Tokyo School of Anime》. 2019년 1월 4일. 2019년 3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21일에 확인함. 
  6. Anu; Katrin (2009년 3월 8일). “Toru Furuya at Desucon”. 《Japan Music Entertainment》. 2022년 4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1일에 확인함. 
  7. Eisenbeis, Richard (2012년 9월 7일). “The Fictional (Yet Amazingly Popular) Singers of Japan”. 《Kotaku》. 2021년 5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5월 10일에 확인함. 
  8. Murakami, Reina (2020년 2월 16일). “TWO-MIX、fripSide、GRANRODEO、Sir Vanity……声優が属する音楽ユニットの歴史を辿る” (일본어). 《Real Sound》. 2022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1일에 확인함. 
  9. Loo, Egan (2011년 12월 2일). “Top-Selling Voice Actresses/Actors: 2011”. 《애니메 뉴스 네트워크》. 2022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9월 28일에 확인함. 
  10. “角川とアップフロントがアイドル声優オーディション開催” (일본어). 《오리콘》. 2008년 7월 2일. 2018년 12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28일에 확인함. 
  11. Sevakis, Justin (2018년 9월 3일). “Why Isn't Idol Culture Bigger in America?”. 《애니메 뉴스 네트워크》. 2019년 3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22일에 확인함. 
  12. Loo, Egan (2010년 5월 3일). “K-On!! Puts 1st Anime Band at #1 on Weekly Singles Chart (Updated)”. 《애니메 뉴스 네트워크》. 2022년 3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1일에 확인함. 
  13. Tai, Hiroki (2015년 2월 15일). “最近よく聞く"2.5次元"、その定義とは?” (일본어). 《오리콘》. 2019년 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16일에 확인함. 
  14. Itabashi, Fujiko (2016년 9월 1일). “「うたプリ」「Bプロ」…女性ターゲットのアイドルアニメ大豊作! 新時代の覇者は生まれるか” (일본어). 《Real Sound》. 2019년 3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16일에 확인함. 
  15. “ビルボードジャパン新チャート提供開始のお知らせ” [Announcement regarding the beginning the Billboard Japan Charts] (일본어). 《교도 통신사》. 2010년 12월 1일. 2012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0월 31일에 확인함. 
  16. “What are Anisongs? How Music for Anime Became a Growing Global Sensation”. 《Chartmetric》. 2023년 6월 28일. 
  17. “LiSA、「炎」が米ビルボード・グローバル・チャートTOP10入り” (일본어). 《빌보드 재팬》. 2020년 10월 27일. 2024년 5월 26일에 확인함. 
  18. Trust, Gary (2023년 6월 5일). “YOASOBI's 'Idol' Surges to No. 1 on Billboard Global Excl. U.S. Chart”. 《빌보드. 2023년 6월 6일에 확인함. 
  19. “【推しの子】: YOASOBI「アイドル」 米ビルボード「Global 200」日本のアーティスト歴代最高7位に” (일본어). 《Mantanweb》. 2023년 6월 28일. 2023년 6월 28일에 확인함. 
  20. Harding, Daryl (2023년 6월 21일). “YOASOBI's Oshi no Ko Anime Theme Song 'Idol' Tops Apple's Global Music Charts”. 《크런치롤. 2023년 7월 10일에 확인함. 
  21. Ryō, Jozuka (2023년 7월 12일). “YOASOBI「アイドル」世界1位 YouTube楽曲ランキング” (일본어). 《아사히 신문. 2023년 7월 12일에 확인함. 
  22. Shiba, Tomonori (2023년 10월 28일). “米津玄師「KICK BACK」、米レコード協会ゴールド認定が持つ歴史的意味 本人コメントも踏まえて考察” (일본어). 《Real Sound》. 2024년 6월 19일에 확인함. 
  23. “人気"アニソンレーベル"6社の個性を徹底比較! 今後の注目アーティストは?” (일본어). 《Pia (company)(일본어판)》. 2018년 4월 27일. 2022년 5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1일에 확인함.  |work=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149) (도움말)
  24. “寒さも吹き飛ばす大熱狂のアニソンのパワー「ANIMAX MUSIX 2021」Part2ライブレポート” (일본어). 《Spice》. 2021년 11월 24일. 2022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4일에 확인함. 
  25. “『KING SUPER LIVE』オンラインで30日開催 過去ライブ映像使用しセットリスト組む” (일본어). 《오리콘》. 2020년 5월 26일. 2022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26. “2019年、アニソンアプリ「アニュータ」で最も再生されたのは誰だ!? 年間ランキング大賞「ANiUTa AWARD」発表” [Who was replayed the most on the anime song app AniUta in 2019?! Announcement of the yearly ranking award Aniuta Award] (일본어). 《Anime! Anime!》. 2019년 12월 20일. 2022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27. Oda, Junji (2021년 11월 3일). “水樹奈々、上坂すみれ、内田真礼……貫禄の歌声とクリエイターの手腕味わえる女性声優の最新作” [Nana Mizuki, Sumire Uesaka, Maaya Uchida... the latest works where you can taste the voice actresses' dignified singing and the creative skills] (일본어). 《Real Sound》. 2022년 3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28. “和田光司” [Kōji Wada]. Solid Vox. April 14,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April 8, 2016에 확인함. 
  29. “アニサマ2021:i☆Ris 幹葉、犬寄しのぶ(高木美佑)とコラボ 「こどちゃ」OP「ウルトラ リラックス」披露 テンション爆上げ!” (일본어). 《Mantan Web》. 2021년 8월 27일. 2022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30. “アニソン界のパイオニア JAM Project、待望の有観客ライブ映像リリース「120%の力で臨んだ」” (일본어). 《오리콘》. 2022년 1월 28일. 2022년 5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31. “Mia REGINA×Arte Refact 桑原 聖&本多友紀が考える、"アニソン"の定義と2010年代の展開” (일본어). 《Real Sound》. 2017년 1월 3일. 2022년 3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32. “声優ユニットTrefle、デビュー作で「チェンクロ」とコラボ” [Voice actor unit Trefle collaborates with Chain Chronicle for their debut work] (일본어). 《나탈리》. 2013년 10월 22일. 2022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19일에 확인함. 
  33. “田中秀和さん ジャンルを超える!アニソンシーンを驚かせた作編曲とは?” (일본어). 《NHK》. 2020년 12월 18일. 2022년 5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34. “アニクラ文化を世界へ届けたい!Elements Garden上松範康・竹田祐介とD4DJ Peaky P-keyが企む世界征服への道のりとは!?” (일본어). 《Spice》. 2021년 4월 14일. 2022년 7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