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리코
 다른 뜻에 대해서는 예리코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예리코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예리코 أريحا | |
|---|---|
| 예리코 거리 | |
| 행정 | |
| 국가 |  팔레스타인 | 
| 지역 | 요르단강 서안 지구 | 
| 행정 구역 | 예리코주 | 
| 역사 | |
| 설립 | BC 9600년 경 | 
| 지리 | |
| 면적 | 45[1] | 
| 시간대 | UTC+02 | 
| 인문 | |
| 인구 | 17,000[2](2006년) | 
| 지역 부호 | |
| 웹사이트 | http://www.jericho-city.org | 
예리코(영어: Jericho, 아랍어: أريحا (/ʔaˈriːħaː/, 아리하)[*])는 요르단강 서안에 있는 BC 9600년경[3][4]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가운데 하나이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팔레스타인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 속하며 예리코주의 주도이기도 하다.
세부 사항
[편집]지역
[편집]성경 속 이름은 예리고(여리고)이며 현지 아랍인들은 아리하라고 부른다. 예루살렘 북동쪽 36km, 요르단강과 사해가 합류하는 북서쪽 15km 지점에 있으며 지중해 해면보다 250m나 낮다. 즉, 예루살렘은 해발 750m에 있고 여리고는 바다면보다 250m 낮은 지점에 위치해 있어 두 곳의 고저차는 1,000m나 된다. 따라서 예루살렘에서 출발해 여리고에 이르는 길은 내려만 가는 비탈길이다. 각종 과실수(특히 종려나무)가 우거진 오아시스로, 예로부터 종려나무 성이라 불러왔다. 본래 요르단 영토인 예리코는 1967년 6일 전쟁 때 이스라엘군이 점령한 후 줄곧 이스라엘이 장악하고 있다.
실제 역사와 성경 기록
[편집]
중기 청동기 시대의 예리코는 기원전 1500년경 즘에 지진 또는 이집트의 군사적 원정[5]이나 이집트에서 다시 가나안으로 이주한 힉소스인들에 의해 파괴되었을 것[6][7]으로 추정된다. 탄소 연대 측정 결과는 기원전 16세기를 파괴 시기로 제시하지만, 대부분의 고고학자들은 해당 파괴가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 아흐모세 1세(기원전 16세기) 또는 예리코 북서쪽의 묘지에서 스카라베가 발견된 투트모세 3세(기원전 15세기)의 군사 원정으로 인함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8] 참고로, 예리코의 북서쪽 묘지에서는 하트셉수트, 투트모세 3세, 아멘호테프 3세[9]의 스카라베가 발견되었다.[10]
2020년 로렌조 나이그로 박사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역사적으로 예리코는 이러한 파괴 이후에도 재점유되었다고 한다. 나이그로 박사에 따르면, 텔(tell)의 여러 부분에서 후기 청동기 시대 II 층(기원전 1400-1200년)을 발견했지만, 철기 시대(기원전 1200-586년)의 평탄화 작업으로 인해 최상층이 많이 절단되었다고 한다. 나이그로 박사는 이가 예리코의 이 시기의 유적과 흔적의 희소성을 설명한다고 한다.[11]
구약성경에 의하면 BC 15-14세기 또는 13세기경 여호수아가 이끄는 이스라엘군의 공격으로 예리코성이 함락되었다(여호수아 6장)고 한다.
예리코는 기원전 26-25세기에도 파괴를 경험했으며, 이를 여호수아의 정복 전쟁과 연관시키는 학자들도 존재한다. 이들은 수정연대기[12]를 사용하여 고왕국 시대를 기원전 15세기까지 낮추거나 출애굽부터 성전의 건립일까지의 기간이 480년이 아니라 1480년[13]이나 그 이상으로 보아 출애굽을 기원전 26-25세기 무렵, 즉, 고왕국 시대의 사건으로 보고 있으며,[14] 해당 설에서는 예리코와 아이(Et Tell)가 기원전 26-25세기에 파괴를 경험했다는 것,[15][16] 하솔이 기원전 2500년 무렵부터 기원전 2300-2200년까지 버려져 있었다는 것,[17] 그리고 MacGregor plaque, 제1왕조의 파라오 카아의 Abydos ivory tablet를 통해 고왕국 시대 이전부터 셈족 유목민들이 이집트로 노예나 포로로 끌려왔었다는 것 등이 근거로써 작용한다. 베냐민 부족(Binu-Jamina)이 이집트 제11-12왕조 시절인 고바빌로니아 왕국 시절(기원전 2000-1595년) 초기의 기록에서 메소포타미아를 위협하는 강렵한 유목민 부족으로 등장하고 심지어 우루크의 왕인 신카시드 왕(기원전 1801년 ~ 기원전 1771년)이 해당 부족 출신으로 기록된다는 것[18]은 적어도 출애굽이 기원전 2000년대 무렵보다는 이전에 발생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들은 요셉은 제3왕조의 파라오 조세르의 재상이자 최초의 피라미드를 세운 임호텝과 동일시한다. 참고로, 아랍 전통에서는 출애굽 당시 바로의 신하의 이름을 하만으로 언급하며, 그는 주로 기원전 26세기의 파라오인 제4왕조의 쿠푸의 신하이자 기자의 대피라미드를 세운 건축가 헤몬/헤미우누(Hemon/Hemiunu)로 식별되곤 하는데, 이를 바탕으로 보면, 출애굽은 쿠푸의 치세 동안 발생한 사건으로 볼 수 있다.[19] 또한, 제3왕조와 제4왕조 모두 아직 이집트에 전차나 말이 없었던 시절이지만, 성서 속 전차, 병서, 말 등에 대한 언급은 중세나 르네상스 시대의 성서 명화에서 성서 속 인물들이 유럽인의 복장이나 아랍인의 복장 등 당시의 복장과 물건들과 함께 등장하는 것과 비슷한 경우로 볼 수 있다. 구전되던 전승이 사본에 적히게 되거나 이전부터 전해 내려오던 사본이 새로운 사본으로 옮겨지던 과정에서 시대에 맞춰 독자들과 청자들을 위해 기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신약시대의 예리코는 구약시대의 예리코보다 남쪽 6km쯤에 있는 툴룰·아브엘 알라이크라고 부르는 폐허이다. 이 곳은 헤로데 대왕의 겨울궁전이 있던 곳이며, 세리장 자캐오의 회심과 구원(루가 19장)이 이루어진 곳이라고 한다.
유적
[편집]현재의 예리코는 비잔틴 시대의 터 위에 재건되었으며, 옛 예리코는 텔 에스술탄으로 20세기 초에 발굴되었다고 한다.
생활 방식
[편집]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에 의해 BC 9000년경으로 측정된 먼 옛날에 중석기의 수렵민들이 찾아왔으며, 그들의 후손이 오랜 기간에 걸쳐 정착한 흔적들이 발견되었다. BC 8000년경에는 주민들이 마을 주위에 거대한 돌로 벽을 두르거나, 적어도 어느 한 곳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거대한 돌탑을 세울 수 있을 정도의 조직된 공동체로 발전해 있었다.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던 마을은 도시라는 용어에 걸맞게 규모가 컸으며, 주민은 약 2,000~3,000명에 이른 듯하다. 이 1,000년 동안에 생활방식은 수렵생활에서 완전한 정착생활로 발전되어 있었다. 이러한 사실들로 농업이 발달했으리라고 짐작할 수 있으며, 재배종의 밀과 보리의 낱알들이 발견됨으로써 농업 발달의 증거를 제공하는 장소의 하나가 되었다. 충분한 경작지를 마련하기 위해서 반드시 관개시설을 고안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팔레스타인 최초의 신석기 문화는 순전히 독자적으로 발전한 토착 문화였다고 한다.
엘리사의 샘
[편집]수량이 풍부한 샘이이며, 물이 귀한 이스라엘에서 큰 샘 중의 하나다. 분당 4,000l 이상의 물이 솟아나는 샘이다. 구약시대 예언자였던 엘리사가 이 샘의 수질을 좋게 변화시켰다는 전승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기후
[편집]| Jericho의 기후 |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19.0 (66.2) | 20.6 (69.1) | 24.4 (75.9) | 29.5 (85.1) | 34.4 (93.9) | 37.0 (98.6) | 38.6 (101.5) | 37.9 (100.2) | 35.8 (96.4) | 32.7 (90.9) | 28.1 (82.6) | 21.4 (70.5) | 30.0 (86.0) | 
| 일일 평균 기온 °C (°F) | 10.7 (51.3) | 12.6 (54.7) | 16.3 (61.3) | 22.4 (72.3) | 26.6 (79.9) | 30.4 (86.7) | 30.9 (87.6) | 30.4 (86.7) | 28.6 (83.5) | 25.8 (78.4) | 22.8 (73.0) | 16.9 (62.4) | 22.9 (73.2) |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4.4 (39.9) | 5.9 (42.6) | 9.6 (49.3) | 13.6 (56.5) | 18.2 (64.8) | 20.2 (68.4) | 21.9 (71.4) | 21.1 (70.0) | 20.5 (68.9) | 17.6 (63.7) | 16.6 (61.9) | 11.6 (52.9) | 15.1 (59.2) |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59 (2.3) | 44 (1.7) | 20 (0.8) | 4 (0.2) | 1 (0.0) | 0 (0) | 0 (0) | 1 (0.0) | 2 (0.1) | 3 (0.1) | 5 (0.2) | 65 (2.6) | 204 (8.0) | 
| 평균 상대 습도 (%) | 77 | 81 | 74 | 62 | 49 | 50 | 51 | 57 | 52 | 56 | 54 | 74 | 61 |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189.1 | 186.5 | 244.9 | 288.0 | 362.7 | 393.0 | 418.5 | 396.8 | 336.0 | 294.5 | 249.0 | 207.7 | 3,566.7 | 
| 평균 일일 일조시간 | 6.1 | 6.6 | 7.9 | 9.6 | 11.7 | 13.1 | 13.5 | 12.8 | 11.2 | 9.5 | 8.3 | 6.7 | 9.8 | 
| 출처: Arab Meteorology Book[20] |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보관된 사본”. 2013년 4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13일에 확인함.
- ↑ 25,000명(주변 마을과 난민 캠프 인구를 더할 경우)
- ↑ “Ancient Jericho: Tell es-Sultan”. UNESCO. 2016년 3월 22일에 확인함.
- ↑ “Prehistoric Cultures”. Museum of Ancient and Modern Art. 2010. 2018년 8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5일에 확인함.
- ↑ Dever, William G. (2006). Who Were the Early Israelites and Where Did They Come From?. Eerdmans. ISBN 978-0802844163. pp. 45–46.
- ↑ Kenyon, "Jericho," AOTS, p. 272; "Palestine in the Time of the Eighteenth Dynasty," CAH3, p. 528.
- ↑ Kenyon, "Palestine in the Middle Bronze Age," in CAH3, pp. 92-93; "Jericho," EAEHL, p. 563.
- ↑ Nigro, Lorenzo (2020). "The Italian-Palestinian Expedition to Tell es-Sultan, Ancient Jericho (1997–2015)". In Sparks, Rachel T.; Finlayson, Bill; Wagemakers, Bart; SJ, Josef Mario Briffa (eds.). Digging Up Jericho: Past, Present and Future. Archaeopress Publishing Ltd. ISBN 978-1789693522. p. 201.
- ↑ Nigro 2020, p. 202.
- ↑ Garstang, John. 1948. The Story of Jericho. London: Marshall, Morgan & Scott. p. 126.
- ↑ Nigro 2020, pp. 202–204.
- ↑ 먼저, 제3중간기에 대해서는 이집트 학자 데이비드 롤의 수정 연대기가 존재하는데, 그는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달리 부바스티스의 22왕조와 테베의 23왕조만 서로 공존한 것이 아니라 피람세스의 20왕조와 타니스의 21왕조 모두 이들과 공존했다고 볼 수 있는 수정 연대기를 제시하였다. 가나안의 도시 유적에서 제20왕조의 쇼솅크 1세 보다 람세스 6세와 람세스9세의 유물들이 더 오래되었음이 확인되었지만 쇼솅크 1세가 이들의 통치 초기에 가나안으로 원정을 가 이들의 도시를 차지하였다고 본다면 이들과 공존했다고 볼 수 있게 되기는 하며, 제21왕조의 프수센네스 1세는 라암셋의 도시를 타니스로 통째로 뜯어 옮겼기에 피람세스가 수도였던 제20왕조와 공존했다고 보기 어렵겠지만 제21왕조의 그의 이전 왕들은 제20왕조의 다른 왕들과 공존했다고 볼 수 있기에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사실상 제20왕조가 먼저 등장한 것으로 보는 것이기에 기존의 역사적인 순서대로 보는 연대기이기는 하다. 롤은 또한, 제18왕조의 아마르나 문서의 라바야를 성서의 사울 왕으로 보고, 성서의 파라오 시삭을 제22왕조의 셰숑크 1세가 아니라 제19왕조의 람세스 2세로 식별함으로써 제18왕조와 제19왕조의 연대를 기원전 12-10세기까지 앞당겼다. 그의 주장은 람세스 2세의 치세의 기록으로 추정되는 베를린 비문(Berlin Pedestal Relief 또는 ÄM 21687)에서 이스라엘을 민족이 아니라 지명, 즉, 국가나 왕국으로 기록한다는 것, 셰숑크 1세의 기록에 이스라엘이 없다는 것, 이스라엘 핑켈슈타인과 같은 학자들이 아마르나 문서의 라바야와 성서의 사울의 유사성과 아마르나 문서 속 세겜과 예루살렘의 경쟁 구도가 이스라엘의 사울 왕조와 다윗 왕조의 경쟁 구도를 연상시킨다는 것에 주목한다는 것 등을 근거로 하였다. 다음으로, 제18왕조의 호렘헤브와 아멘호테프 2세의 통치 기간을 짧게 보는 학자들 역시 존재하기에 제18왕조의 존속 기간을 알려진 연대기보다 짧게 볼 수 있다. 제18왕조의 창건자 아흐모세 1세는 치세 말에 왕조를 창건한 것이었으며, 이전에는 제17왕조의 마지막 왕이자 제2중간기(중왕국 시대 후기, 제17왕조 후기)의 힉소스 왕조(제15왕조)의 아페피와 공존하였는데, 제2중간기는 파라오들의 통치 기간과 역사성 등이 명확하지 않으며, 힉소스 왕조 역시 아페피를 제외한 다른 파라오들의 통치 기간과 역사성이 명확하지 않다. 이를 고려해 롤의 연대기와는 달리 제2중간기를 짧게 볼 수 있다. 이 시기는 고바빌로니아 왕국에 상응하는 시기인데, 고바빌로니아의 경우, 함무라비의 치세 직후 정치적 혼란기에 돌입하였고, 왕들의 통치 기간이 아시리아의 왕들과 마찬가지로 후대의 기록에 의존하거나 정확하지 않기에 바빌로니아의 연대기 역시 이에 맞춰 짧게 볼 수 있다. 중왕국 시대 초기의 파라오들의 통치 기간은 명확하지 않기에 짧게 볼 수 있으며, 섭정 등을 고려하여 제11-12왕조를 기존의 연대기 보다 짧게 볼 수 있다. 왕조들이 공존했던 정치적 혼란기인 제2중간기와 제1중간기(제6왕조 후기, 중왕국 시대 초기)은 파라오들의 통치 기간과 역사성 등이 명확하지 않으며, 고대 이집트의 역사가 마네토가 70일에 걸친 70명의 파라오가 통치하였다고 기록하기도 하였기에 수백년이라는 기간 보다 더 짧게 볼 수 있다. 제5-6왕조는 제5왕조의 사후레가 30년 이상 통치를 안했어도 세드 축제(Sed Festival)을 기념하였다는 것과 가축 계수는 2년 단위가 아니라 더 자주했을 수도 있다는 것, 그리고 제5왕조까지의 파라오들의 연대기를 기록한 팔레르모 스톤(Palermo Stone)이 제5왕조보다 훨씬 후대의 기록물로 추정되기도 한다는 것 등을 근거로 기존의 연대기보다 더욱 더 짧게 볼 수 있다. 제4왕조의 카프레, 멘카우레 등의 파라오들의 통치 기간도 이와 비슷하게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간기가 아닌 시절에도 왕조들이 공존했다는 수정 연대기와 달리 역사적인 순서대로 왕조들이 존재했다고 볼 수 있다.
- ↑ Aardsma, Gerald E. The Exodus Happened 2450 B.C. Aardsma Research & Publishing, 2008. ISBN 0-9647665-6-6.
- ↑ Anati, Emmanuel (2016). Esodo. Tra mito e storia (in Italian). Atelier. ISBN 978-88-98284-24-5.
- ↑ Nigro, Lorenzo (2020). "The Italian-Palestinian Expedition to Tell es-Sultan, Ancient Jericho (1997–2015)". In Sparks, Rachel T.; Finlayson, Bill; Wagemakers, Bart; SJ, Josef Mario Briffa (eds.). Digging Up Jericho: Past, Present and Future. Archaeopress Publishing Ltd. ISBN 978-1789693522. p. 190.
- ↑ 두 도시 모두 여러 시대에 파괴를 경험했는데, 아이의 경우, 기원전 24세기의 파괴가 마지막이었으며, 이후 기원전 12세기까지 폐허로 있었다.
- ↑ Lev, Ron; Bechar, Shlomit; Boaretto, Elisabetta (2021). "Hazor Eb III City Abandonment and Iba People Return: Radiocarbon Chronology and ITS Implications". Radiocarbon. 63 (5): 1453. Bibcode:2021Radcb..63.1453L. doi:10.1017/RDC.2021.76.
- ↑ Dietz Otto Edzard: Die Nomaden in der altbabylonischen Zeit In: Elena Cassin, Jean Bottéro, Jean Vercoutter: Die Altorientalischen Reiche I - Vom Paläolithikum bis zur Mitte des 2. Jahrtausends v. Chr. -, Fischer, Frankfurt am Main 1965 (gleichnamige limitierte Sonderausgabe 2003), S. 170.
- ↑ 요셉이 제3왕조의 첫 파라오 조세르의 재상 임호텝이기에 출애굽이 제4왕조의 파라오 쿠푸의 치세 동안의 사건이라면, 연대기적으로 문제가 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사마리아 오경과 마소라 사본보다 9세기 이전의 사본인 70인역 사본에 따르면 이스라엘 자손이 애굽에 430년 동안 거주한 것이 아니라 애굽과 가나안에 430년 동안 거주했다고 나와있다. 갈라디아서 3:17에서 바울은 아브라함이 언약을 맺은 때로부터 출애굽까지의 기간을 430년이라 기록했으며, 사해문서와 외경인 희년서는 아브라함이 창세기 15장의 언약을 맺은 때로부터 출애굽까지의 기간이 430년이라 기록하고, 현대의 유대인들 역시 이를 430년이라 믿는데, 이는 그들의 달력에서도 확인된다. 아브라함이 언약을 맺은 때로부터 야곱이 애굽에 들어간 때까지 약 215년이 지났기에 이로부터 출애굽까지의 기간은 215년이 된다. 만약 430년을 거주했다고 본다면, 제3왕조부터 제4왕조의 쿠푸의 치세까지의 파라오들의 통치 기간을 기존의 연대기보다 훨씬 길게 보아 요셉을 임호텝으로 식별하고 출애굽을 쿠푸의 치세 동안의 사건으로 보는 설과 조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Appendix I: Meteorological Data” (PDF). Springer.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2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예리코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예리코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