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영국 음반 다운로드 차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06년 4월, 영국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 엠브레이스 (사진은 무대 위)가 그들의 음반인 《This New Day》로 영국 음반 다운로드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한 최초의 아티스트가 되었다.

영국 음반 다운로드 차트(UK Album Downloads Chart)는 영국 음악 산업을 대표하여 오피셜 차트 컴퍼니에 의해 집계된다. 2015년 7월부터 차트 주간은 금요일부터 목요일까지이며, 차트 날짜는 다음 목요일로 표시된다.[1] 이 차트는 OCC가 영국 음반 차트에 음반 다운로드 판매량을 포함하기로 결정한 시점에 맞춰 2006년 4월에 도입되었다.[2] 다운로드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한 첫 음반은 엠브레이스의 《This New Day》였다.[3]

이 차트는 《뮤직 위크》, UKChartsPlus 및 OC의 공식 웹사이트에 발행되며, 뮤직 위크는 상위 75개 다운로드를, 나머지 두 곳은 상위 100개를 다룬다. 이 차트는 영구적인 디지털 다운로드, 즉 구독 기반이 아닌 온라인 음악 상점에서 판매된 음반 다운로드만을 집계한다.

역사

[편집]

다운로드 차트 개설 전에는 CD, 바이닐, 콤팩트 카세트와 같은 실물 형식의 판매량만이 영국 음반 차트의 순위에 기여했다. 2004년, 싱글 음반의 실물 판매량 감소에 대응하여 오피셜 차트 컴퍼니(OCC)는 다운로드 전용 싱글 차트를 도입했다. 이듬해에는 다운로드 판매량이 영국 싱글 차트에 포함되었다.

2006년 첫 3개월 동안 825,000개 이상의 음반이 합법적으로 다운로드되었으며, 이는 2005년 전체 다운로드의 거의 절반에 달하는 수치였다.[2] 이에 대응하여 2006년 4월, OCC가 일반 차트에 다운로드를 포함하기로 결정함과 함께 디지털 음반 차트가 출시되었다.[2] 2006년 4월 9일, 영국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 엠브레이스는 그들의 다섯 번째 정규 음반인 《This New Day》가 약 1,200장의 디지털 판매량을 기록하며 최초의 영국 음반 다운로드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3]

포함 기준

[편집]
  • 음반은 3곡 이상이거나 길이가 20분 이상이어야 하며, 저가 음반으로 분류되지 않아야 한다. 저가 음반은 £0.50에서 £3.75 사이의 가격이다.
  • 실물 구성 요소가 없는 음반 번들은 출시 시점부터 공식 음반 다운로드 차트에 자체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 또한 모든 형식이 차트 규칙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해당된다.[4]

연도별 최다 다운로드 음반

[편집]
연도 음반 아티스트 레코드 레이블 각주
2006 Eyes Open 스노 패트롤 유니버설 [5]
2007 Back to Black 에이미 와인하우스 유니버설 [6]
2008 Viva la Vida or Death and All His Friends 콜드플레이 EMI [5]
2009 The Fame 레이디 가가 유니버설 [5]
2010 Sigh No More 멈퍼드 & 선스 유니버설 [5]
2011 21 아델 베거스 [5]
2012 알 수 없음 알 수 없음 알 수 없음
2013 Bad Blood 바스틸 유니버설 [7]
2014 X 에드 시런 워너 [8]
2015 25 아델 베거스 [9]
2016 25 아델 베거스 [10]
2017 알 수 없음 알 수 없음 알 수 없음
2018 The Greatest Showman Motion Picture Cast Recording 워너 [11]
2019 알 수 없음 알 수 없음 알 수 없음
2020 알 수 없음 알 수 없음 알 수 없음
2021 알 수 없음 알 수 없음 알 수 없음
2022 알 수 없음 알 수 없음 알 수 없음
2023 Trustfall 핑크 소니 [12]
2024 Moon Music 콜드플레이 워너 [13]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Official Album Downloads Chart Top 100”. Official Charts Company. 2015년 7월 14일에 확인함. 
  2. West, Dave (2006년 4월 9일). “Album chart allows downloads from Sunday”. 《디지털 스파이》. Hearst Magazines UK. 2015년 7월 18일에 확인함. 
  3. Brandle, Lars (2006년 4월 22일). “Billboard - 22 April 2006 - Page 8”. 《빌보드. 2016년 1월 18일에 확인함. 
  4. “Rules for Chart Eligibility : Albums” (PDF). March 2015. 2022년 3월 14일에 확인함. 
  5. “Adele and Ed Sheeran push digital albums sales over the 100 million milestone”. London: Official Charts Company. 2012년 8월 3일. 2012년 8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3일에 확인함. 
  6. Cleland, Gary (2007년 12월 12일). “Amy Winehouse tops year end iTunes chart”. 《데일리 텔레그래프》 (런던). ISSN 0307-1235. OCLC 6412514. 2012년 4월 12일에 확인함. 
  7. “The Official Top 40 Biggest Artist Albums of 2013”. Official Charts Company. 
  8. “The Official Top 40 Biggest Selling Artist Albums of 2014”. Official Charts Company. 2015년 1월 1일. 2015년 1월 12일에 확인함. 
  9. “The Official Top 40 Biggest Selling Artist Albums of 2015”. Official Charts Company. 2016년 1월 4일. 2016년 2월 27일에 확인함. 
  10. “The Official Top 40 Biggest Selling Artist Albums of 2016”. Official Charts Company. 2017년 5월 28일. 2017년 5월 28일에 확인함. 
  11. "The Official Top 40 biggest albums of 2018". Official Charts Company.
  12. Griffiths, George (2024년 1월 3일). “The Official Top 40 Biggest Albums of 2023”. Official Charts Company. 2024년 12월 25일에 확인함. 
  13. Ainsley, Helen (2024년 12월 31일). “The Official biggest albums of 2024”. Official Charts Company. 2024년 12월 3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