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독

중독(poisoning)은 독에 의한 이상 증상을 일컬으며 유독한 물질이 체내에 유입될 때 발생하는 해로운 영향이다.[1] "중독"이라는 용어는 독에서 파생된 것으로, 섭취 시 살아있는 유기체에 해를 입히거나 죽일 수 있는 모든 화학 물질을 설명하는 용어이다.[2] 중독은 독소를 삼키거나, 흡입하거나, 주사하거나, 피부를 통해 흡수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독물학은 중독과 관련된 징후 및 증상, 메커니즘, 진단 및 치료를 실천하고 연구하는 학문이다.[3]
노출 수준
[편집]살아있는 유기체가 독에 노출되면, 성공적인 접촉 후 나타나는 징후 및 증상은 노출 정도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발전한다.[4]
급성 노출
[편집]급성 독성/중독은 살아있는 유기체가 짧은 기간 동안 한 번 이상 독에 해롭게 노출되어, 투여 후 14일 이내에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5]
만성 노출
[편집]만성 독성/중독은 살아있는 유기체가 장기간에 걸쳐 여러 번 독소에 노출되는 것을 말하며, 증상은 점진적으로 나타나거나 장기간의 잠복기 후에 나타난다.[6] 만성 중독은 수은, 가돌리늄, 납과 같이 생체 축적되거나 생물농축되는 독에 노출된 후에 가장 흔히 발생한다.[7]
중독의 방식
[편집]우발적 중독
[편집]
2020년, 미국의 독극물 관리 센터의 NPDS(국가 독극물 데이터 시스템) 보고서에 따르면 기록된 독소 노출의 76.9%가 우발적이었으며, 나머지는 의도적이거나 예상치 못한 경우였다.[9] 이러한 우발적인 사건의 대부분은 잘못된 약을 복용하거나 실수로 복용량을 두 배로 늘리는 바람에 발생했다.[9]
산업 및 전쟁
[편집]
신경가스는 살아있는 유기체에 해를 입히도록 특별히 고안된 산업 또는 전쟁에서 사용되는 합성 물질이다.[10] 이것은 사람을 몇 초 만에 마비시키거나 장기 기능을 멈춰서 빠르게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다. 그것들은 생물학적으로 파생된 신경독으로 간주되는데, 신경독은 신경계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독성 물질의 한 종류이다. 흡입 또는 섭취된 사이안화물 (또는 치클론 B)은 가스실에서 처형 방법으로 사용되었다.[11] 이 중독 방법은 미토콘드리아에서 ATP를 생산하는 효소를 억제하여 몸의 에너지를 즉시 고갈시켰다.[12] 미국 일부 지역에서 수감자들을 처형하는 데 사용되는 것과 같이, 비정상적으로 고농도의 염화 칼륨을 정맥 주사하면 근수축에 필요한 세포 전위를 제거하여 심장을 빠르게 멈춘다.[13]
농약 노출
[편집]농약을 포함한 대부분의 살생물제는 표적 유기체에 독으로 작용하도록 만들어진다. 그러나 살생물제를 살포하는 사람과 다른 유익한 유기체를 포함한 비표적 유기체에서도 급성 또는 덜 관찰되는 만성 중독(2차 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14] 예를 들어, 제초제 2,4-D는 식물 호르몬의 작용을 모방하여 식물에 특이적인 치명적인 독성을 나타낸다. 실제로 2,4-D는 독이 아니라 유해 물질로 분류된다.[15]
독성화
[편집]독으로 간주되는 많은 물질은 독성화를 통해 간접적으로만 독성을 띤다. 예를 들어, "목재 알코올" 또는 메탄올은 그 자체로는 독성이 없지만 간에 도달하면 독성 있는 폼알데하이드와 폼산으로 화학적으로 전환된다.[16] 많은 의약품 분자는 간에서 독성을 띠며, 특정 간 효소의 유전적 변이는 많은 화합물의 독성을 사람마다 다르게 만든다.
예방 조치
[편집]![]() | |
---|---|
![]() | |
중독 위험 기호 (그림문자) | |
진료과 | 독물학 |

GHS에 따라 전 세계의 다양한 안전 지향적 정부 기관은 독성 물질을 라벨링할 때 그림문자 사용을 의무화했다.[17][18] 물질을 독성으로 분류하는 위험물 표식은 사람의 두개골이 두 개의 뼈가 교차하는 모습 뒤에 있는 이미지를 묘사한다.[19]
사용자에게 주의를 기울이거나 물질의 잠재적으로 위험한 특징을 인지하도록 조언하는 GHS 예방 조치 선언문은 합법적인 독성 물질의 라벨링에 추가된다.[20] 독성 물질은 또한 제품을 다루는 방법, 제품과 혼합해서는 안 되는 화합물, 그리고 제품과 접촉하여 중독 위험에 처한 피해자를 치료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21]
다양한 독극물 관리 센터도 중독 사건의 진단, 관리 및 예방을 돕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22] 많은 센터는 전화 통화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치료
[편집]누군가 독극물에 노출되거나 섭취한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 주로 인근 독극물 관리 센터에서 의료 도움을 받는 것이 강력히 권장된다.[23][24] 의료진에게 중독 정보, 환자의 나이, 체중, 복용 중인 다른 약물, 그리고 증상을 제공하는 것이 권장된다. 섭취된 물질, 양, 노출된 지 얼마나 되었는지 파악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가능하면 약병, 약물 포장 또는 기타 의심되는 용기를 준비해 두는 것이 좋다.[25]
치료는 환자가 노출된 물질에 따라 달라진다. 중독 유형에 따라 일부 응급 처치 조치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치료에는 활성탄, 구토 유도 및 독극물 희석 또는 중화가 포함된다.[26]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Poisoning”. 《medlineplus.gov》. 2021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Cammack, Richard; Atwood, Teresa; Campbell, Peter; Parish, Howard; Smith, Anthony; Vella, Frank; Stirling, John, 편집. (2006년 1월 1일). 《Oxford Dictionary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영어) 2판.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acref/9780198529170.001.0001. ISBN 978-0-19-852917-0.
- ↑ “Toxicolog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영어). 2022년 12월 5일에 확인함.
- ↑ Calabrese, E.J. (2014), 〈Dose–Response Relationship〉, 《Encyclopedia of Toxicology》, Elsevier, 224–226쪽, doi:10.1016/b978-0-12-386454-3.00991-x, ISBN 978-0-12-386455-0, 2024년 4월 9일에 확인함
- ↑ Gold, Victor, 편집. (2019). 《The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The Gold Book》 (영어) 4판. Research Triangle Park, NC: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IUPAC). doi:10.1351/goldbook.at06800.
- ↑ Elhag, Ibtihag Yahya (2023), “Role of AI in ADME/Tox toward formulation optimization and delivery”, 《A Handbook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Drug Delivery》 (Elsevier), 301–345쪽, doi:10.1016/b978-0-323-89925-3.00011-3, ISBN 978-0-323-89925-3, 2024년 4월 15일에 확인함
- ↑ Chojnacka, K.; Mikulewicz, M. (2014), 〈Bioaccumulation〉, 《Encyclopedia of Toxicology》, Elsevier, 456–460쪽, doi:10.1016/b978-0-12-386454-3.01039-3, ISBN 978-0-12-386455-0, 2024년 4월 15일에 확인함
- ↑ “Death rate from unintentional poisoning”. 《Our World in Data》. 2020년 3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Gummin, David D.; Mowry, James B.; Beuhler, Michael C.; Spyker, Daniel A.; Bronstein, Alvin C.; Rivers, Laura J.; Pham, Nathaniel P. T.; Weber, Julie (2021년 12월 2일). 《2020 Annual Report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oison Control Centers' National Poison Data System (NPDS): 38th Annual Report》. 《Clinical Toxicology》 (영어) 59. 1282–1501쪽. doi:10.1080/15563650.2021.1989785. ISSN 1556-3650. PMID 34890263.
- ↑ Patton, James. “Gas in The Great War”. 《www.kumc.edu》 (미국 영어). Mail Stop 1025 3901 Rainbow Blvd. Kansas City, KS 66160: History and Philosophy of Medicine. 2024년 4월 15일에 확인함.
- ↑ Stewart, Ken. “Zyklon-B | Description, Manufacturer, & Facts | Britannica”. 《www.britannica.com》 (영어). 2024년 4월 15일에 확인함.
- ↑ Jethava, Durga; Gupta, Priyamvada; Kothari, Sandeep; Rijhwani, Puneet; Kumar, Ankit (2014). 《Acute cyanide Intoxication: A rare case of survival》. 《Indian Journal of Anaesthesia》 (영어) 58. 312–314쪽. doi:10.4103/0019-5049.135045. ISSN 0019-5049. PMC 4090999. PMID 25024476.
- ↑ Simon, Gábor (2023년 4월 4일). 《Detection of Fatal Potassium Overdose: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Diagnostics》 (영어) 13. 1339쪽. doi:10.3390/diagnostics13071339. ISSN 2075-4418. PMC 10093193
|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37046560. - ↑ Kapeleka, Jones A.; Sauli, Elingarami; Ndakidemi, Patrick A. (2021년 10월 3일). 《Pesticide exposure and genotoxic effects as measured by DNA damage and human monitoring biomark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영어) 31. 805–822쪽. Bibcode:2021IJEHR..31..805K. doi:10.1080/09603123.2019.1690132. ISSN 0960-3123. PMID 31736325.
- ↑ Carvalho, Laíse M.; Soares-Filho, Antônio F.; Lima, Maciel S.; Cruz-Filho, João F.; Dantas, Taisa C. M.; Luz, Geraldo E. (February 2021).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photodegradation on WO3-TiO2-SBA-15 nanostructured composite》.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영어) 28. 7774–7785쪽. Bibcode:2021ESPR...28.7774C. doi:10.1007/s11356-020-11085-4. ISSN 0944-1344. PMID 33037546.
- ↑ Jones, A W (2021). 《Clinical and forensic toxicology of methanol》. 《Forensic Sci Rev》 33 (Central Police University). 117–143쪽. PMID 34247144.
- ↑ Boelhouwer, Eric; Davis, Jerry; Franco-Watkins, Ana; Dorris, Nathan; Lungu, Claudiu (September 2013). 《Comprehension of hazard communication: Effects of pictograms on safety data sheets and labels》. 《Journal of Safety Research》 46. 145–155쪽. doi:10.1016/j.jsr.2013.06.001. ISSN 0022-4375. PMID 23932696.
- ↑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www.canada.ca》. 2023년 3월 21일. 2024년 4월 15일에 확인함.
- ↑ “Know Your Hazard Symbols (Pictograms)”. 《Office of Environmental Health and Safety》 (영어). 2024년 4월 15일에 확인함.
- ↑ Vereinte Nationen, 편집. (2007).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GHS》 2 revis판. New York: United Nations. ISBN 978-92-1-116957-7.
- ↑ Vereinte Nationen, 편집. (2011).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GHS》. United Nations 4 revis판. New York: United Nations. ISBN 978-92-1-117042-9.
- ↑ “Poison control center - PAHO/WHO | Pan American Health Organization”. 《www.paho.org》 (영어). 2021년 1월 14일. 2024년 4월 15일에 확인함.
- ↑ “Poisoning Prevention | Child Safety and Injury Prevention| CDC Injury Center”. 《www.cdc.gov》 (미국 영어). 2020년 7월 2일. 2020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 Yadav, Sharad; Shah, Gautam Kumar; Verma, Dharmesh; Yadav, Prakash Chand (2022년 7월 22일). 《Study of profile, pattern and outcomes of oral poisoning cases admitted in emergency department of Janakpur provincial hospital, Nepal》. doi:10.5281/zenodo.6879818.
- ↑ “Poisoning: First aid - Mayo Clinic”. 《www.mayoclinic.org》. 2021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Avau, Bert; Borra, Vere; Vanhove, Anne-Catherine; Vandekerckhove, Philippe; De Paepe, Peter; De Buck, Emmy (December 2018). 《First aid interventions by laypeople for acute oral poisoning》.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2. CD013230쪽. doi:10.1002/14651858.CD013230. ISSN 1469-493X. PMC 6438817. PMID 30565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