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 윌리엄슨
| 작가 정보 | |
|---|---|
| 출생명 | 존 스튜어트 윌리엄슨 |
| 직업 | 작가, 영어 교수 |
| 필명 | 윌 스튜어트 닐스 O. 손더룬드 |
| 활동기간 | 1928–2006[1] |
| 장르 | SF (장르) |
존 스튜어트 윌리엄슨(John Stewart Williamson, 1908년 4월 29일 – 2006년 11월 10일)은 미국의 SF 작가로, "SF의 대부"라고 불리는 여러 작가 중 한 명이다.[2] 그는 또한 유전공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작가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3] 경력 초반에는 윌 스튜어트와 닐스 O. 손더룬드라는 가명을 사용하기도 했다.[1]
어린 시절
[편집]윌리엄슨은 1908년 4월 29일 비즈비, 애리조나 준주에서 태어났다. 그의 자서전에 따르면, 그의 생애 첫 3년은 시에라마드레 산맥 정상의 야키 강 상류, 멕시코 소노라주의 목장에서 보냈다. 나머지 어린 시절 대부분은 서부 텍사스에서 보냈다. 더 좋은 목초지를 찾아 그의 가족은 1915년에 말 두 마리가 끄는 덮개 마차를 타고 뉴멕시코주의 시골로 이주했다.[4] 그곳에서의 농사는 어려웠고, 가족은 목축업으로 전환하여 오늘날까지 펩 근처에서 이어지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육군 항공대에서 기상 예보관으로 복무했다.
작가 경력
[편집]








윌리엄슨은 어렸을 때 남동생과 두 여동생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을 즐겼다. 젊은 시절, 그는 한 무료 잡지 광고를 보고 휴고 건스백이 1926년에 창간한 잡지 어메이징 스토리스를 발견했다. 직접 소설을 쓰려고 노력했고, 20세에 건스백에게 첫 작품을 팔았다. "금속 인간"은 1928년 12월 어메이징 호에 출판되었다.[1] 그 다음 해에 건스백은 그의 이야기 세 편을 새로운 펄프 잡지인 사이언스 원더 스토리스와 에어 원더 스토리스에 출판했고, 마일스 J. 브루어와 윌리엄슨의 "화성에서 온 소녀"를 사이언스 픽션 시리즈 #1로 따로 출판했다.[1] 이 초기 시대 그의 작품은 A. 메릿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5] 그는 금속 괴물 (1920)과 다른 판타지 연재 소설의 작가였다. 메릿의 영향을 언급하며, 앨기스 버드리스는 "금속 인간"을 "기억에 남는 이미지로 가득 찬 이야기"라고 묘사했다.[6]
초기에 윌리엄슨은 마일스 J. 브루어의 작품에 감명을 받아 그와 서신을 주고받기 시작했다. 여가 시간에 SF를 쓴 의사 브루어는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었고, 윌리엄슨을 꿈 같은 환상에서 벗어나 보다 엄격한 플롯과 강력한 서사로 이끌었다. 브루어의 지도 아래 윌리엄슨은 브루어에게 검토를 위한 개요와 초고를 보냈다.[4] 그들의 첫 공동 작업은 소설 "신 공화국의 탄생"이었는데, 여기서는 달 식민지들이 미국 독립 혁명과 같은 과정을 겪는다는 내용으로, 이는 나중에 많은 다른 SF 작가들, 특히 로버트 A. 하인라인의 달은 무자비한 밤의 여왕에서 다뤄진 주제였다.
정서적 혼란에 시달리고 자신의 많은 신체적 질병이 심인성이라고 믿었던 윌리엄슨은 1933년 토피카, 캔자스주의 메닝어 클리닉에서 정신과 평가를 받았고, 그곳에서 이성과 감정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기 시작했다.[4] 이 시기부터 그의 이야기는 더 거칠고 현실적인 어조를 띠게 되었다.
1930년대에 그는 확고한 장르 작가였고, 십대였던 아이작 아시모프는 자신이 우상화했던 윌리엄슨으로부터 첫 출판작을 축하하고 "작가 대열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라는 엽서를 받고 감격했다.[4][7] 윌리엄슨은 펄프 잡지에 꾸준히 기고했지만, 수년 후에야 작가로서 재정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그의 소설 시티 선에 대한 부정적인 평론은 그의 글이 "코믹 스트립 모험물보다 약간 나은 수준"이라고 말했으며, 이는 윌리엄슨을 새로운 코믹 스트립에 필요한 SF 작가를 찾고 있던 뉴욕 선데이 뉴스에 주목하게 만들었다.[8] 윌리엄슨은 이 신문이 모든 만화를 중단할 때까지 시티 선을 바탕으로 한 비욘드 마스 (1952–55)라는 스트립을 집필했다.
1954년부터 1990년대까지 윌리엄슨과 프레더릭 폴은 짐 에든, 스타차일드, 쿠쿠 시리즈를 포함하여 12개 이상의 SF 소설을 공동 집필했다.[1] 윌리엄슨은 아흔이 넘어서도 계속 글을 썼으며, 생애 마지막 10년 동안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모두 수상했는데, 이는 이 상들을 수상한 작가 중 가장 나이가 많다.[4][9]
말년에 그는 "진지한" SF를 쓰려는 시도들을 비판했다.[10]
아마도 제가 수년 동안 상업적인 SF를 써왔던 배경 때문에, 상업 작가들이 개발해야 하는 종류의 훌륭한 장인정신에 대해 많은 존경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상업적", "진지한 작가", "주류", "글쟁이", "뉴 웨이브", "실험적"과 같이 많이 듣는 레이블들은 대개 매우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제 분야에서는 에드 해밀턴과 행크 쿠트너, 그리고 최근에는 밥 실버버그 모두 경력 초기에 SF 장르에 대한 훌륭한 이해를 형성하고 나중에 이를 사용하여 더 의식적으로 "문학적"이며 따라서 비평가들에게 더 존경받는 작품을 만든 작가들입니다. 그러나 그들이 이전에 썼던 작품은 SF 팬덤 사이에서 당연히 인기가 있었고, 팬덤은 이 작품들이 읽을 가치가 있을 만큼 "진지하다"고 분명히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저는 모호함이나 인위적인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학적 기법에 반대합니다. 비록 그런 접근 방식에 대한 논거를 이해할 수 있지만 말입니다. 글쓰기 교사로서의 제 경험은 예술적 야망을 가진 신인 작가들이 단순히 옛 형식과 패턴을 해커 작업과 맹목적으로 연관시키기 때문에 너무 많은 것을 경멸하게 될 수 있다는 제 생각을 뒷받침합니다. 핵심은 이러한 패턴과 구조가 모든 SF 작가가 말해야 하는 기본 어휘를 형성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제가 실버버그와 칩 딜레이니 및 톰 디시와 같은 현대 작가들에게 완전히 공감하지 못하는 한 가지 이유입니다. 이들은 분명히 자신을 "진지한" 또는 주류 작가로 인정받으려 하고 있습니다.
학문적 경력
[편집]윌리엄슨은 1950년대에 포탈레스 (텍사스 팬핸들 근처)의 이스트 뉴멕시코 대학교 (ENMU)에서 영어학 인문사회 학사 및 인문사회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1960년 이 대학의 교직원이 되었다. 남은 생애 동안 이 학교와 관계를 유지했다. 1990년대 후반, 그는 ENMU의 문학 및 예술 저널인 엘 포르탈(El Portal)의 출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한 영구 신탁을 설립했다.[11] 1980년대에는 ENMU 도서관에 상당한 양의 책과 원고를 기증하여 특별 컬렉션 부서가 설립되었다. 현재 이 도서관은 ENMU 웹사이트에서 "세계 최고의 SF 컬렉션 중 하나"라고 설명하는 잭 윌리엄슨 SF 도서관의 본거지이다.[12] 또한 윌리엄슨은 명예 게스트 및 다른 저명한 작가들이 강연을 하고 작품을 낭독하며 다양한 주제에 대한 활발한 패널 토론에 참여하는 연례 강연회인 잭 윌리엄슨 강연 시리즈를 주최했다.[13] 이 강연회는 매년 ENMU에서 계속 기념되고 있다. 잭 윌리엄슨 인문학 건물에는 언어 및 문학, 수학 과학, 역사, 종교 및 사회 과학, 심리학 및 정치 과학 학과뿐만 아니라 인문 과학 대학 학장실이 있다.
윌리엄슨은 볼더에 있는 콜로라도 대학교에서 H. G. 웰스의 초기 작품에 초점을 맞춰 영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는데, 웰스가 많은 사람들이 믿는 것처럼 순진한 낙천주의자가 아니었음을 입증했다.
신조어
[편집]윌리엄슨은 1942년 어스타운딩 사이언스 픽션에 발표된 SF 이야기에서 "테라포밍"이라는 단어를 만들어냈다.[14]
"사이오닉스"라는 단어는 윌리엄슨의 중편 소설 "가장 위대한 발명"에서 처음 인쇄되어 나타났는데,[15] 1951년 어스타운딩 잡지에 출판되었다.[16]
그는 또한 "유전공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작가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17]
말년
[편집]미국 SF 및 판타지 작가 협회는 1976년에 로버트 하인라인에 이어 윌리엄슨을 두 번째 SF 그랜드 마스터로 선정했다.[18][19]
1977년 대학의 재정 위기 동안 ENMU에서 해고된 후, 윌리엄슨은 잠시 글쓰기에 집중했지만, ENMU로부터 명예 교수로 임명된 후 "창작 글쓰기"와 "판타지 및 SF" 두 야간 수업을 공동으로 가르치기 위해 다시 돌아왔다 (그는 전임 교수 시절 ENMU에서 후자를 개척했다). 윌리엄슨은 21세기까지 이 두 수업을 계속 공동으로 가르쳤다. 그가 개인 소장품에서 상당한 양의 원고와 희귀 서적을 ENMU 도서관에 기증한 후, 이를 소장하기 위한 특별 컬렉션 공간이 만들어졌고 "잭 윌리엄슨 특별 컬렉션"으로 명명되었다.
1994년 윌리엄슨은 평생 공로로 세계 판타지 상을 수상했다.[18][20]
SF 및 판타지 명예의 전당은 1996년 첫 입회식에서 고인 두 명과 생존자 두 명을 포함하여 윌리엄슨을 헌액했다.[18][21]
공포 작가 협회는 1998년 브램 스토커 상 평생 공로상을 수여했으며[22] 2004년 월드 호러 컨벤션은 그를 그랜드 마스터로 선정했다.[18]
2006년 11월, 윌리엄슨은 98세의 나이로 포탈레스, 뉴멕시코에 있는 자택에서 사망했다.[23] 나이에도 불구하고 그는 2006년 봄 잭 윌리엄슨 강연회에 참석했고, 2005년에는 320페이지 분량의 소설 "스톤헨지 문"을 출판했다.
소행성 5516 자윌리엄슨과 235281 잭윌리엄슨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4][25]
우주 군단 시리즈
[편집]고전 읽기 수업을 듣던 중, 윌리엄슨은 헨리크 시엔키에비치가 알렉상드르 뒤마의 삼총사를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존 팔스타프와 짝지어 자신의 작품 중 하나를 만들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윌리엄슨은 이 아이디어를 "우주 군단"으로 SF에 도입했다.
돈이 절실했던 그는 빠른 수입원을 찾았다. 당시 대부분의 펄프 잡지는 지불이 느렸지만, 최근 재창간된 어스타운딩은 예외였다. 그러나 그들은 장편 소설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윌리엄슨은 세 편의 단편 소설과 한 편의 중편 소설을 제출했다. 그들이 연재를 위한 장편 소설도 받고 있다는 것을 알고, 그는 "우주 군단"을 보냈고, 이 작품은 여섯 부분으로 앤솔러지로 출판되었다. 이 작품은 빠르게 장르 팬들의 사랑을 받았고, 곧 하드커버로 묶여 출판되었다.
이 이야기는 인류가 태양계를 식민지화했지만 더 멀리 가지 못하는 시대에 일어난다. 왜냐하면 바너드별로 떠난 첫 번째 외계 항성 탐사가 실패했고, 생존자들은 횡설수설하는 기괴하고 병든 미치광이가 되어 돌아왔기 때문이다. 그들은 사나운 동물들과 사악한 "메두사"의 유일한 도시가 남아 있는 거대한 행성에 대해 이야기했다. 메두사는 해파리와 막연히 닮았지만 실제로는 코끼리 크기의 네 눈을 가진 날아다니는 존재로 수백 개의 촉수를 가지고 있다. 메두사는 말을 할 수 없으며 마이크로파 코드를 통해 서로 소통한다.
팔스타프 캐릭터의 이름은 자일스 하비불라이다. 한때 범죄자였고, 만들어진 어떤 자물쇠든 열 수 있다. 젊은 시절 그는 유령 자일스라고 불렸다. 제이 칼람 (군단의 사령관)과 할 삼두는 다른 두 전사의 이름이다. 이 이야기에서 이 30세기 전사들은 바너드별의 외로운 행성에서 온 외계 종족인 메두사와 싸운다. 군단 자체는 한때 모든 인류를 지배했던 퍼플 홀이라는 제국이 전복된 후 태양계의 군사 및 경찰력이다.
이 소설에서 반란을 일으킨 퍼플 가문의 자칭 황족들은 제국을 되찾기 위한 수단으로 메두사와 동맹을 맺는다. 그러나 모든 면에서 인간과 전혀 다른 메두사는 퍼플 가문을 배신하고 모든 인간을 파괴하고 태양계로 이동하려고 하는데, 이는 그들 자신의 행성이 지구보다 훨씬 오래되어 마침내 바너드별로 다시 빨려 들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퍼플 가문의 존 울나르는 처음부터 군단을 지지했으며, 그는 네 번째 위대한 전사이다. 그의 적은 메두사를 처음 찾아내 다음 태양의 황제가 되려 했던 퍼플 가문의 자칭 황족인 에릭 울나르이다.
메두사는 달을 정복하고 그곳에 기지를 건설했으며, 태양계를 정복하려 시도했다. 메두사는 수천 년 동안 붉은색의 인공 온실 기체를 사용하여 죽어가는 행성이 얼어붙는 것을 막았다. 메두사는 그들의 행성을 방문한 첫 인간 탐사대에게 그 기체가 인간의 살을 부패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메두사는 이를 강력한 화학 무기로 사용하여 달에서 발사된 발사체로 생태학적 파괴를 시도했다. 그들의 거대한 우주선은 또한 로뮬런들이 공포의 균형이라는 스타 트렉 에피소드에서 가졌던 것과 매우 유사한 매우 효과적인 플라스마 무기를 가지고 있다.
군단 작품에는 AKKA라는 역장도 등장하는데, 이 역장은 별이나 행성 등 어떤 크기든, 어디에 있든 우주에서 어떤 물질이라도 지울 수 있다. AKKA는 대량 살상 무기였으며 그 비밀은 일련의 여성들에게 맡겨졌다. AKKA는 과거에 퍼플 가문의 폭정을 전복하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메두사의 대부분을 제거하는 데도 사용되었지만, 그들은 그 비밀을 훔치려 했다. 그들이 제거되었을 때, 그들이 기지를 건설했던 달은 존재 자체가 지워졌다. 이야기의 마지막에 존 울나르는 AKKA의 관리자인 알라더리 안타르와 사랑에 빠져 그녀와 결혼한다. 알라더리 안타르는 윤기 나는 갈색 머리와 회색 눈을 가진 젊은 여성으로, 여신처럼 아름답다고 묘사된다.
윌리엄슨은 다음으로 "혜성 인간"을 썼는데, 이 작품은 "우주 군단" 이후 20년이 지난 시점에서 같은 등장인물들이 다른 기원을 가진 외계 종족과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두 번째 이야기에서 그들은 "혜성 인간"과 싸우는데, 이들은 노예들이 거주하는 행성 무리를 포함하는 거대한 역장인 "혜성"을 통제하는 에너지 존재들이다. 노예 종족들은 살과 피를 가지고 있지만, 인간과 전혀 유사하지 않다. "혜성 인간"은 AKKA로 파괴될 수 없는데, 그들은 우주의 관점에서 비물질적이며 대부분 다른 현실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지배하는 "혜성 인간"들은 노예들을 먹고 말 그대로 그들의 영혼을 흡수하여 역겹고 죽어가는 잔해를 남긴다. 그들은 한때 다양한 종의 육체적 존재였기 때문에 그렇게 한다고 한다. 따라서 지배하는 "혜성 인간"들은 다른 지능적인 존재들을 노예와 "가축"으로 삼는다. 그러나 그들은 AKKA를 두려워하는데, 그것이 그들의 모든 소유물을 지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자일스 하비불라의 기술로 패배한다. 자일스는 비물질적인 "혜성 인간"들이 뚫을 수 없는 복잡한 자물쇠와 역장으로 보호되는 비밀 방에 침입했다. 그곳에는 "혜성 인간"의 지배자가 자신의 대량 살상 무기를 보관하고 있었는데, 이 무기는 "혜성 인간"들을 분해시킬 수 있었다. 지배하는 "혜성 인간"은 이 무기를 사용하여 자신의 동족들을 지배했다. "혜성 인간"들이 파괴되자, 군단은 노예들에게 혜성을 가지고 태양계를 떠나 다시는 돌아오지 말라고 명령했다.
또 다른 소설 "군단에 맞서"는 지구에서 70광년 이상 떨어진 행성에 로봇 기지를 세우고 훔친 물질 순간이동 기술을 통해 태양계를 정복하려는 퍼플 가문의 자칭 황족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에서는 듄에서처럼 로봇이 불법이다. 이 이야기에는 또한 제이 칼람이 등장하는데, 그는 많은 사람들이 떠나는 행성 무리를 영원히 제거하기 위해 AKKA를 사용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가운데, 신 혜성 인간들이 평화롭게 태양계를 떠나도록 로비하는 역할을 한다.
1983년, 윌리엄슨은 마지막 군단 소설 "군단의 여왕"을 출판했다. 이 마지막 소설에서는 자일스 하비불라가 다시 등장하며, 군단이 해산된 이후를 배경으로 한다.
작품
[편집]시리즈
[편집]- 우주 군단 (1947; 어스타운딩에 6부작으로 연재, 1934)
- 혜성 인간 (1950; 어스타운딩에 4부작으로 연재, 1936, 또한 군단에 맞서, 어스타운딩에 3부작으로 연재, 1939)
- 군단에 맞서 (1967; 어스타운딩에 3부작으로 연재, 1939, 또한 "어디에도 없음")
- 군단에서 온 세 사람 (1980; 세 소설과 "어디에도 없음"의 옴니버스)
- 군단의 여왕 (1983)
- 휴머노이드 시리즈
- "접은 손으로" (1947; 어스타운딩에 수록)
- 휴머노이드 (1949; "...그리고 탐색하는 정신"이라는 제목으로 어스타운딩에 3부작으로 연재, 1949)
- 휴머노이드 터치 (1980)
- 휴머노이드 / 접은 손으로 (1996; 옴니버스)
한 편집자가 윌리엄슨에게 반트르테렌 물질 (반물질)과 소행성 채굴의 아이디어를 결합할 것을 제안했고, 이는 윌 스튜어트라는 이름으로 쓴 시티 (C-T) 단편 시리즈에 영감을 주었다.
- "충돌 궤도" (단편 소설, 윌 스튜어트 작; 어스타운딩에서, 1942)
- 시티 쇼크 (1949; 윌 스튜어트 작; 어스타운딩에서, 1949)
- 시티 선 (1951; 윌 스튜어트 작; 이전 출판된 이야기들에서, 1942–3)
- 시티 선/시티 쇼크 (1971, 두 작품의 옴니버스).
- 해저 삼부작 (프레더릭 폴과 공동)
- 쿠쿠의 이야기 (프레더릭 폴과 공동)
- 스타차일드 삼부작 (프레더릭 폴과 공동)
- 우주의 암초 (1964)
- 스타차일드 (1965)
- 로그 스타 (1969)
- 스타차일드 삼부작 (1977; 옴니버스)
장편 소설
[편집]- 화성에서 온 소녀 (1930, 마일스 J. 브루어와 공동)
- 녹색 소녀 (1930)
- 우주 왕자 (1931)
- 황금 피 (1933)
- 잔둘루 (1934)
- 파란 점 (1935)
- 태양의 섬들 (1935)
- 마법의 지배 (1940) (그리스 신화의 테세우스 이야기에 느슨하게 기반함)
- 생각보다 어두운 (1948)
- 용의 섬 (1951; 다른 제목은 낫-멘)
- 별다리 (1955, 제임스 E. 건과 공동)
- 미국을 둘러싼 돔 (1955; 다른 제목은 파라다이스로 가는 문)
- 테라의 시련 (1962; 이전에 출판된 네 이야기에서, 1951–1962)
- 밝은 새 우주 (1967)
- 우주에 갇히다 (1968)
- 달 아이들 (1972)
- 어둠의 힘 (1975)
- 악마의 형제, 신의 형제 (1979; 이전에 출판된 다섯 이야기에서, 1977–78)
- 맨시드 (1982)
- 생명 폭발 (1984)
- 파이어차일드 (1986)
- 랜드스 엔드 (1988, 프레더릭 폴과 공동)
- 미로 (1990)
- 시간의 가수들 (1991, 프레더릭 폴과 공동)
- 해변 상륙 (1992)
- 악마의 달 (1994)
- 검은 태양 (1997)
- 유토피아 요새 (1998; 원래 스타틀링 스토리스에, 1939)
- 실리콘 단검 (1999)
- 녹색 별에서 온 돌 (1999; 원래 어메이징 스토리스에, 1931)
- 테라포밍 지구 (2001; 2002년 존 W. 캠벨 기념상 공동 수상작)
- 스톤헨지 문 (2005)
컬렉션
[편집]- 시간의 군단, 그리고 세상의 끝 이후 (1952)
- 판도라 효과 (1969)
- 사람들 기계 (1971)
- 초창기 윌리엄슨, 1975
- 잭 윌리엄슨 베스트 (1978)
- 외계 지성 (1980)
- 수백만 개의 태양 (1988)
- 80년대 속으로 (1990)
- 우주 왕자/화성에서 온 소녀 (1998; TGFM은 마일스 J. 브루어와 공동 저술)
- 잭 윌리엄슨 단편선, 제1권, 금속 인간 외 (1999)
- 잭 윌리엄슨 단편선, 제2권, 어둠의 늑대들 (1999)
- 파란 점, 그리고 역전된 엔트로피 (해방된 엔트로피) (2000; 둘 다 어스타운딩에서, 1937)
- 잭 윌리엄슨 단편선, 제3권, 마법사의 섬 (2000)
- 용의 섬과 다른 이야기들 (2002; 장편 소설과 단편 두 편)
- 잭 윌리엄슨 단편선, 제4권, 거미 섬 (2002)
- 칠십오: SF 개척자의 다이아몬드 기념일, 스티븐 해프너 & 리처드 A. 하우프트만 편 (2004)
- 잭 윌리엄슨 단편선, 제5권, 권력의 도가니 (2006)
- 원더스 차일드 추모, 스티븐 해프너 편 (2007)
- 잭 윌리엄슨의 세계: 백주년 기념 (1908–2008), 스티븐 해프너 편 (2008)
- 잭 윌리엄슨 단편선, 제6권, 파라다이스로 가는 문 (2008)
- 접은 손으로… 그리고 탐색하는 정신, 잭 윌리엄슨 단편선, 제7권 (2010)
- 인간의 한계에서, 잭 윌리엄슨 단편선, 제8권 (2011)
단편 소설
[편집]
- 금속 인간 (1928)[26]
- 외계 지성 (1929)
- 두 번째 껍데기 (1929)
- 우주 특급 (1930)
- 녹색 소녀 (1930)
- 우주 왕자 (1931)
- 유성 소녀 (1931)[27]
- 빛의 호수 (1931)[28]
- 행성 4에서 온 운명 (1931)[29]
- 달 시대 (1931, 1932); 별도 중편 소설로도 출판
- 피그미 행성 (1932; 1932년 2월 어스타운딩 스토리스 표지 기사)[30]
- 우주 salvage (1933) 표지 이야기[31]
- 태양에서 태어나다 (1934)
- 스타 브라이트 (1939)
- 세상의 끝 이후 (1939)
- 지옥에서 온 천사 (1939; 마블 테일즈에, 닐스 O. 손더룬드라는 필명으로)
- 후회 (1940)
- 충돌 궤도 (1942; 윌 스튜어트라는 필명으로; 시티 선으로 편입)
- 마이너스 부호 (1942; 윌 스튜어트라는 필명으로; 시티 선으로 편입)
- 반대편—반응하다! (1943; 윌 스튜어트라는 필명으로; 시티 선으로 편입)
- 접은 손으로... (1947, 2018년 프로메테우스 명예의 전당 수상)
- 외부에서 온 남자 (1951)
- 콩 (1958)
- 약탈을 위한 행성 (1962)
- 가면 세계 (1963)[32]
- 잼버리 (1969)
- 가장 높은 다이빙 (1976)
- 휴머노이드 우주 (1980)
- 반딧불 나무 (1997)
- 애완 바위 미스터리 (1998)
- 에덴 별 (2000)
- 궁극의 지구 (2000; 2001년 휴고상 최우수 중편 소설 수상)
| 제목 | 년도 | 첫 출판 | 재판 |
|---|---|---|---|
| 내세 | 2002 | F&SF | 올해 최고의 SF 8 |
기타
[편집]- 아카데미가 SF를 죽일 것인가, 아시모프스 초이스 혜성 & 컴퓨터 (데일 북스, 1978, ISBN 0-89559-022-0)
자서전
[편집]- 원더스 차일드: SF 속 나의 삶. 블루제이 북스, 뉴욕, 1984. (하드커버)[9]
- 원더스 차일드: SF 속 나의 삶. 벤벨라 북스, 댈러스, 2005. (페이퍼백, 새로운 사진과 에필로그로 업데이트됨)
참고 문헌
[편집]- 잭 윌리엄슨 작품집: 주석 달린 참고 문헌 및 가이드, 리처드 A. 하우프트만 (NESFA 프레스, 1997)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영어) 잭 윌리엄슨 - 인터넷 사변물 데이터베이스 (ISFDB). 2013년 3월 24일 검색.
- ↑ Isaac Asimov's Science Fiction Magazine, November 1979, editorial "The Dean of Science Fiction" by Isaac Asimov, page 6.
- ↑ "Jack Williamson, Greg Bear: Two SFWA pillars honored with 2006 Heinlein Award" 보관됨 2006-09-24 - 웨이백 머신. SFWA Pressbook. Retrieved 2007.
- ↑ 가 나 다 라 마 Williamson, Jack. Wonder's Child: My Life in Science Fiction (Benbella Books, 2005)
- ↑ 모스코위츠, 샘. "잭 윌리엄슨: 네 방향의 개척자". 어메이징 스토리스, 1964년 10월.
- ↑ "갤럭시 서재", 갤럭시 사이언스 픽션, 1967년 12월, p. 190.
- ↑ Isaac Asimov, In Memory Yet Green, Chapter 20, section 7
- ↑ 굴라트, 론 (1987년 1월). “사이언스 픽션 퍼니스 파트 IV”. 《코믹스 피처》. 51호 (무비랜드 퍼블리싱). 47–48쪽.
- ↑ 가 나
폭스, 마가릿 (2006년 11월 14일). “SF 분야에서 존경받는 작가 잭 윌리엄슨, 98세로 사망”. 《뉴욕 타임스》. 2022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17일에 확인함.
1985년, 윌리엄슨 씨는 자서전 '원더스 차일드: SF 속 나의 삶' (블루제이 북스, 1984)으로 휴고상을 받았다. 그의 2001년 중편 소설 '궁극의 지구'는 세계 SF 협회에서 수여하는 휴고상과 미국 SF 및 판타지 작가 협회에서 수여하는 네뷸러상을 수상했다.
- ↑ Science Fiction Studies - An Interview with Jack Williamson
- ↑ “잭 윌리엄슨: 엘 포르탈”. 이스트 뉴멕시코 대학교. 2015년 6월 16일에 확인함.
- ↑ "잭 윌리엄슨 SF 도서관". 골든 도서관 특별 컬렉션. 이스트 뉴멕시코 대학교 (ENMU). 2017년 검색.
- ↑ 잭 윌리엄슨 강연회
- ↑ “역사 SF 사전: 테라포밍”.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 Williamson, Jack (July 1951), The Greatest Invention, Astounding Science Fiction, pp. 56–96.
- ↑ 네발라-리, 알렉 (2018), Astounding: John W. Campbell, Isaac Asimov, Robert A. Heinlein, L. Ron Hubbard, and the Golden Age of Science Fiction, New York: Dey Street Books/HarperCollins, p. 303 and n. p. 470. Nevala-Lee's text has 1950, but his citation has the correct date (1951).
- ↑ "Jack Williamson, Greg Bear: Two SFWA pillars honored with 2006 Heinlein Award" 보관됨 2006-09-24 - 웨이백 머신. SFWA Pressbook. Retrieved 2007.
- ↑ 가 나 다 라 "윌리엄슨, 잭" 보관됨 2013-11-12 - 웨이백 머신. 로커스 색인 SF상: 문학 후보 색인. 로커스 출판사. 2013년 3월 24일 검색.
- ↑ "데이먼 나이트 기념 그랜드 마스터" 보관됨 2013-01-23 - 웨이백 머신. 미국 SF 및 판타지 작가 협회 (SFWA). 2013년 3월 24일 검색.
- ↑ 세계 판타지 컨벤션. “수상작 및 후보작”. 2010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4일에 확인함.
- ↑ "SF 및 판타지 명예의 전당" 보관됨 2013-05-21 - 웨이백 머신. 미드 아메리칸 SF 및 판타지 컨벤션, Inc. 2013년 3월 24일 검색. 이 웹사이트는 2004년까지 명예의 전당 공식 웹사이트였다.
- ↑ "브램 스토커 상 평생 공로상" 보관됨 2013-05-09 - 웨이백 머신. 공포 작가 협회 (HWA). 2013년 4월 5일 검색.
- ↑ Terry, Karl (November 11, 2006). "Sci-fi legend Williamson dies". Portales News-Tribune. Retrieved 2007.
- ↑ “(5516) 자윌리엄슨 = 1983 YA = 1989 JK = 1990 QJ7”. 소행성 센터.
- ↑ “(235281) 잭윌리엄슨 = 2003 UV17”. 소행성 센터.
- ↑ 브라운, 리키 L. (2013년 8월 30일). “잭 윌리엄슨의 금속 인간” (미국 영어). 《어메이징 스토리스》. 2019년 7월 24일에 확인함.
- ↑ 《유성 소녀》. 어스타운딩 스토리스. 2009년 10월 3일. 2017년 1월 23일에 확인함 –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경유.
- ↑ 《빛의 호수》. 어스타운딩 스토리스. 2009년 10월 3일. 2017년 1월 23일에 확인함 –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경유.
- ↑ 《행성 4에서 온 운명》. 어스타운딩 스토리스. 2010년 2월 3일. 2017년 1월 23일에 확인함 –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경유.
- ↑ 《잭 윌리엄슨의 피그미 행성》 (eBook 다운로드). 2017년 1월 10일에 확인함 –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경유.
- ↑ 《우주 salvage》. 어스타운딩 스토리스. 2009년 7월 1일. 2017년 1월 23일에 확인함 –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경유.
- ↑ 《가면 세계》. 미래의 세계. 1963년 10월 1일. 2017년 1월 12일에 확인함 –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경유.
외부 링크
[편집]- 판타스틱픽션의 윌리엄슨, 참고 문헌 포함
- 존 클루트의 잭 윌리엄슨
- 잭 윌리엄슨의 작품 -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 작품 정보 잭 윌리엄슨 - 인터넷 아카이브
- (영어) 잭 윌리엄슨 - 인터넷 사변물 데이터베이스
- 잭 윌리엄슨 - 인터넷 북 리스트
- ENMU의 잭 윌리엄슨 SF 도서관
- ENMU의 잭 윌리엄슨 강연회
- 부고 및 추모 ENMU 뉴스 발표, 2006년 11월 (2013년 5월 아카이브)
- 캐시 허들스턴 인터뷰, 사이언스 픽션 위클리 (날짜 없음, 2002년 10월 첫 아카이브)
- 문학 평론가 래리 매캐프리 인터뷰, 사이언스 픽션 스터디스 #54 18:2 (1991년 7월), 학술 서론 포함 (2013년 10월 아카이브)
- 미국 SF 및 판타지 작가 협회 부고 (2006년 11월 아카이브)
- 데일리 텔레그래프 부고, 2006년 11월 15일
- “잭 윌리엄슨 biography”. Science Fiction and Fantasy Hall of Fame.
- 잭 윌리엄슨 - Library of Congress Authorities, with 69 catalog records
- 1992년 윌리엄슨 인터뷰 영상
오디오
[편집]- 잭 윌리엄슨의 작품 - 리브리복스 (퍼블릭 도메인 오디오북)

- 잭 윌리엄슨에 대한 NPR 오디오 방송
- 디멘션 X: "접은 손으로"
- 잭 윌리엄슨은 1980년대 초 더 사이언스 픽션 라디오 쇼에서 인터뷰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