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정사각형에 대한 경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사각형에 대한 경의"
Homage to the Square
작가요제프 알버스

정사각형에 대한 경의요제프 알버스가 1950년부터 1976년 사망할 때까지 제작한 일련의 회화 작품의 제목이다. 1971년, 이 그림들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생존해 있는 예술가를 위한 첫 개인전인 요제프 알버스 개인전의 주제였다.[1] 이 시리즈에는 1000점 이상의 작품이 있다.[2] 알버스는 이 시리즈를 색채 연구로 사용하여 순수한 형태로 칠했을 때 색채가 어떻게 다르게 작용하는지 보여준다.[3](p. 6)

"정사각형에 대한 경의"는 알버스의 예술 이론과 비전통적인 기술 및 예술 재료에 대한 그의 실험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정사각형에 대한 경의" 시리즈는 그가 바우하우스에 있던 시절부터 기하학 기반의 추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4]

묘사

[편집]

시리즈의 모든 그림은 세 개 또는 네 개의 색상으로 된 중첩된 정사각형을 묘사한다. 내부 정사각형의 위치는 규칙적인 도식에 의해 결정되며, 정사각형 아래 여백이 위쪽 공간보다 작다.[5] 작품의 크기는 406 x 406 mm에서 1.22 x 1.22 미터까지 다양하다.[2]

"정사각형에 대한 경의"의 모든 작품은 패널 뒷면에 제작에 사용된 재료를 나열한다. 학자들은 이를 통해 각 그림의 특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6](p. 67)

제작 과정

[편집]

알버스는 시리즈 전반에 걸쳐 균일성을 보장하기 위해 신중하게 통제된 조건에서 작품을 만들었다. 그는 항상 하드보드의 일종인 메이소나이트 패널의 거친 면에 작품을 그렸다. 패널은 항상 최소 6겹의 흰색 프라이머로 덮고 작업하였다. 알버스는 또한 다른 색온도 패턴에 따라 작업대 위에 형광등을 배열하여 스튜디오의 조명을 제어했다.[2]

조명과 프라이머의 특성 외에도 알버스는 "정사각형에 대한 경의"를 제작할 때 반복적이고 체계적인 과정을 유지했다. 그는 튜브에서 바로 혼합되지 않은 페인트를 팔레트 나이프를 써서 일반적으로 중앙 정사각형에서 시작하여 패널 가장자리로 이동하며 작업했다.[2] 안에서 밖으로 작업하는 이 과정은 페인트가 떨어지지 않도록 이 과정을 권장했던 그의 아버지로부터 비롯되었다.[7](p. 13) 팔레트 나이프는 그림에 독특한 질감을 부여했다.[3](p. 6)

알버스는 순수한 색상의 차이를 보여주기 위해 튜브에서 바로 색을 칠했다. 이를 통해 알버스는 다른 브랜드의 동일한 색상이 어떻게 다르게 작용할 수 있는지 보여줄 수 있었다. 알버스는 그 후 바니시로 정사각형 위에 칠했으며, 이는 다른 재료가 정사각형의 색상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다시 제공했다.[3](p. 6) 정사각형 색상의 순수성을 유지하기 위해 알버스는 바니시 위에 덧칠하기도 했다. 이는 작품 보존에 다양한 문제를 야기했다.[6](pp. 66-67)

알버스의 이론

[편집]

반복

[편집]

"정사각형에 대한 경의"의 반복적인 특성은 "색상에는 끝이 없다"는 알버스의 믿음과 관련이 있다. 반복적인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작품의 한 요소를 변경하면 그것이 전체 작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볼 수 있다. 이는 색상과 형태의 심리적 효과를 보기 위해 수행되었다.[8](pp. 70-71)

정사각형, 선, 모양의 반복적인 사용은 그림의 형태에 초점을 맞춘다. 이는 형태의 역할과 그것이 색상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강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알버스에게 형태는 반복적인 수행을 요구했으며, 이는 또한 색상과 형태 모두에 대한 눈을 훈련시킨다.[8](p. 70)

색상

[편집]
요제프 알버스, "정사각형에 대한 경의"

알버스는 자신의 그림을 사용하여 색상 관계를 탐구했다. 그는 색상 대비와 병치가 색상의 외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기 위해 정사각형의 색상을 바로 옆에 배치했다. 실제로 "정사각형에 대한 경의"의 다양한 반복 작업은 동일한 색상을 다른 순서로 사용하여 병치의 더 큰 효과를 보여주었다.[9](p. 85)[10] 그의 목표는 색상들이 어떻게 함께 반응하는지 보는 것이었으며, 그는 "그들이 갇힌 감옥에서 색상들이 반응하게 하고 싶다"고 주장했다.[11] 이 병치는 한 색조가 다른 색조를 더 밝거나 어둡게 보이게 하는 것과 같은 다른 시각 경험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었다.[7](pp. 15-16) 정사각형 병치의 효과 중 한 가지 예는 그림에 부여된 차원이었다. 특정 색상 조합은 정사각형이 안쪽이 아닌 바깥쪽으로 나오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효과를 만들어냈다.[9](p. 85)

알버스는 종종 "정사각형에 대한 경의" 시리즈를 통해 탐구한, 도덕적 성격과 관련있는 색상을 사용했다. 알버스는 색상이 "다른 색상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하기 때문에 도덕적 성격을 띠게 된다고 믿었으며, 이는 개인적인 색상과 사회적인 색상을 만들었다. 이는 윤리와 미학이 동일하다는 그의 믿음을 보여주었다.[9](pp. 86-87) 이러한 색상에 대한 아이디어는 요한 볼프강 폰 괴테와 그의 시각 및 색상 이론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색상과 근접성에 의해 시각이 형성된다는 괴테의 이해에 영감을 받아 알버스는 "눈으로 보는 것"과 "시각"을 구별했다.[7](pp. 15-16)

형태

[편집]

알버스는 정사각형의 형태에 작품의 초점을 맞추었으며, 자신이 할 수 있는 한 정사각형을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다.[12](pp. 462-464) "정사각형에 대한 경의"의 각 버전에서 정사각형의 준동심원 순서는 동일하여 정사각형을 개별적인 존재 또는 전체 그룹으로 볼 수 있게 한다. 이는 독특한 방식으로 거리와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10] 또한 정사각형은 색상의 용기 역할을 했다. 알버스는 정사각형이 자연에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인간의 눈에 그림이 인공적으로 보이도록 하기 위해 정사각형을 사용했다.[12](pp. 462-464) 알버스는 또한 정사각형이 "정착"하여 작품 내의 색상이 강조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12](pp. 462-464) 이 정사각형들은 또한 작품에 시작과 끝을 제공하기 위해 흰색 프레임이 주어졌다.[6](p. 63)

보존 노력 및 복제품

[편집]

알버스가 "정사각형에 대한 경의"를 제작하는 독특한 과정은 시리즈의 보존 노력에 다양한 문제를 야기했다. 알버스가 때때로 바니시 층 위에 덧칠했기 때문에 심한 갈라짐이 발생했다. 보존가들은 작품을 보존하기 위해 덧칠을 사용하려고 시도했다. 또한 보존가들은 때때로 그림의 역사적 색상을 현대 색상과 일치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 때문에 보존가들은 고강도 색상을 재현하기 위해 건조 안료를 혼합하여야 했다.[6](pp. 66-67)

복제품은 종종 그림의 표면 품질을 포착하지 못한다. 특히 알버스는 팔레트 나이프를 사용하여 작품에 뚜렷한 질감과 흔적이 남았는데, 복제품에서는 이러한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3](p. 6)

영향

[편집]

이 시리즈는 브리짓 라일리, 피터 핼리, 도널드 저드, 로버트 라우션버그와 같은 미래의 추상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13][4] 또한 대규모 환상에 초점을 맞춘 많은 옵아트 예술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13]

예시

[편집]

시리즈의 그림 예시는 다음과 같다.

각주

[편집]
  1. Geldzahler, Henry (1971). 《Josef Albers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An Exhibition of His Paintings and Prints》 (영어). Metropolitan Museum of Art. ISBN 978-0-87099-114-1. 
  2. Weber, Nicholas Fox (2003). “Albers, Josef” (영어). 《Grove Art Online》. doi:10.1093/oao/9781884446054.013.90000371193. ISBN 978-1-884446-05-4. 2023년 12월 20일에 확인함. 
  3. Malloy, Vanja (2015). 〈Introduction〉. Malloy, Vanja (편집). 《Intersecting Colors: Josef Albers and His Contemporaries》. Amherst College Press. 1–10쪽. doi:10.3998/mpub.10033673. ISBN 978-1-943208-00-5. JSTOR 10.3998/mpub.10033673. 
  4. “Josef Albers | Homage to the Square: Apparition” (미국 영어). 《The Guggenheim Museums and Foundation》. 2024년 4월 13일에 확인함. 
  5. Spies, Werner (1971). 《Albers》. Abrams. 48–58쪽. ISBN 978-0-8109-4400-8. 
  6. Garland, Patricia Sherwin (1983). 《Josef Albers: His Paintings, Their Materials, Technique, and Treatment》.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for Conservation》 22. 62–67쪽. doi:10.2307/3179502. JSTOR 3179502. 
  7. Danilowitz, Brenda (2015). 〈A Short History of Josef Albers’s Interaction of Color〉. Malloy, Vanja (편집). 《Intersecting Colors: Josef Albers and His Contemporaries》. Amherst College Press. 13–27쪽. doi:10.3998/mpub.10033673. ISBN 978-1-943208-00-5. JSTOR 10.3998/mpub.10033673. 
  8. Herrmann, Rolf-Dieter (1974). 《Josef Albers》. 《Journal of Aesthetic Education》 8. 65–72쪽. doi:10.2307/3332133. JSTOR 3332133. 
  9. Barry, Susan R (2015). 〈Josef Albers and the Science of Seeing〉. Malloy, Vanja (편집). 《Intersecting Colors: Josef Albers and His Contemporaries》. Amherst College Press. 79–91쪽. doi:10.3998/mpub.10033673. ISBN 978-1-943208-00-5. JSTOR 10.3998/mpub.10033673. 
  10. Tate. 'Study for Homage to the Square', Josef Albers, 1964” (영국 영어). 《Tate》. 2024년 4월 9일에 확인함. 
  11. “Homage to the Square: "Ascending".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2016년 3월 14일에 확인함. 
  12. Holloway, John H; Weil, John A; Albers, Josef (1970). 《A Conversation with Josef Albers》. 《Leonardo》 3. 459–64쪽. doi:10.2307/1572268. JSTOR 1572268. 
  13. Roggenkamp, Shawn. “Albers, Homage to the Square”. Khan Academy. 2016년 3월 1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