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라시키시
구라시키시 倉敷市 くらしきし | |||||
---|---|---|---|---|---|
| |||||
국가 | ![]() | ||||
지방 | 주고쿠 지방, 산요 지방 주고쿠·시코쿠 지방 | ||||
도도부현 | 오카야마현 | ||||
시정촌코드 | 33202-0 | ||||
면적 | 355.63 km2 | ||||
인구 | 464,775명 [편집] (추계인구, 2025년 6월 1일) | ||||
인구 밀도 | 1,307명/km2 | ||||
시목 | 녹나무 | ||||
시화 | 등 | ||||
시조 | 물총새 | ||||
시장 | 이토 가오리(伊東 香織) | ||||
시청 소재지 | 〒710-0833 오카야마현 구라시키시 니시나카 신덴 640 북위 34° 35′ 6.3″ 동경 133° 46′ 19.6″ / 북위 34.585083° 동경 133.772111° | ||||
웹사이트 | 구라시키시 ![]() | ||||
![]() | |||||
구라시키시(일본어: 倉敷市)는 일본 오카야마현 남부에 있는 시이다. 인구는 약 47만 명으로 오카야마시 다음으로 오카야마현에서 두 번째로 크다.
구라시키강 기슭의 시라카베 거리가 "미관 지구"로 유명한 관광지이고 제조품 출하액은 약 4조 엔에 달해 오사카시에 이어 서일본을 대표하는 공업도시이다. 또 1967년의 3시 합병에 의해 발족했으며 행정과 관광의 구라시키(倉敷), 콤비나트(combinat)를 가지는 미즈시마(水島), 학생복·청바지의 메카 고지마(児島), 무역항과 신칸센 역이 있는 다마시마(玉島) 등 지리나 역사가 다른 다양한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시가지는 이 네 개의 주요 지역으로 분산되어 있고 각자 규모는 구라시키가 20만 명 미만, 미즈시마·다마시마·고지마는 대체로 10만 명 미만이다. 그 때문에 행정 인구는 47만 명의 중핵시이지만 항만·공업·관광 기능을 제외하면 동쪽으로 인접하는 오카야마시의 위성 도시 성격을 가진다. 도시 형태가 유사한 사례로 후쿠시마현 이와키시를 들 수 있다.
인구
[편집]연도 | 인구 | ±% |
---|---|---|
1960 | 286,902 | — |
1965 | 308,908 | +7.7% |
1970 | 374,385 | +21.2% |
1975 | 417,750 | +11.6% |
1980 | 432,171 | +3.5% |
1985 | 443,721 | +2.7% |
1990 | 445,059 | +0.3% |
1995 | 453,618 | +1.9% |
2000 | 460,869 | +1.6% |
2005 | 469,377 | +1.8% |
2010 | 475,421 | +1.3% |
2015 | 477,118 | +0.4% |
2020 | 474,592 | −0.5% |
Kurashiki population statistics[1] |
지리
[편집]
오카야마현 남중앙부에 위치하고 서부에는 다카하시강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흘러 세토 내해로 흘러든다. 평야의 상당수는 간척지와 충적 평야가 차지하고 고지마 지역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평탄하다. 시내에는 고지마, 가메시마산, 다마시마, 쓰라지마 등 "섬"이 붙은 지명이 많으며 일찍이 부근 일대가 간척되기 이전에 섬이었음을 말해준다.
산요 신칸센·산요 본선·산요 자동차도·국도 2호선이 동서로 횡단하며 산인 지방을 연결하는 하쿠비 선, 시코쿠를 연결하는 세토 대교·세토 대교선도 시내를 경유하여 교통·물류의 결절점으로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기후
[편집]온난하고 맑은 날이 많으며 비가 적은 세토 내해식 기후에 속하는 반면 다카하시강에 의한 풍부한 수자원의 혜택으로 물이 부족한 경우는 드물다. 또 시코쿠 산지의 영향으로 태풍이 직격하는 일도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대부분이 충적평야와 간척지인 평야부는 하천과 바다의 수면 차이가 별로 없는 저지가 많아 메이지 시대까지 동서로 나뉘어 있던 다카하시강이 종종 범람을 일으키는 수해가 많은 지역이었다. 그러나 다이쇼 시대에 용수로의 정비와 함께 개수 공사를 진행해 현재의 일원화된 형태가 된 다음에는 큰 수해가 적어졌다.
연평균 기온은 15.8℃이며 연 강수량은 1,042mm이다.
구라시키시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16.1 (61.0) |
22.5 (72.5) |
23.5 (74.3) |
30.5 (86.9) |
32.6 (90.7) |
35.2 (95.4) |
36.8 (98.2) |
37.1 (98.8) |
36.0 (96.8) |
32.4 (90.3) |
25.4 (77.7) |
19.9 (67.8) |
37.1 (98.8)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9.2 (48.6) |
10.0 (50.0) |
13.6 (56.5) |
19.3 (66.7) |
24.4 (75.9) |
27.3 (81.1) |
30.9 (87.6) |
32.2 (90.0) |
28.4 (83.1) |
23.1 (73.6) |
17.1 (62.8) |
11.5 (52.7) |
20.6 (69.1) |
일일 평균 기온 °C (°F) | 4.6 (40.3) |
5.2 (41.4) |
8.5 (47.3) |
13.9 (57.0) |
19.1 (66.4) |
22.9 (73.2) |
26.9 (80.4) |
27.9 (82.2) |
23.9 (75.0) |
18.0 (64.4) |
12.0 (53.6) |
6.7 (44.1) |
15.8 (60.4)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0.3 (32.5) |
0.6 (33.1) |
3.5 (38.3) |
8.6 (47.5) |
14.0 (57.2) |
19.1 (66.4) |
23.6 (74.5) |
24.4 (75.9) |
20.1 (68.2) |
13.5 (56.3) |
7.3 (45.1) |
2.4 (36.3) |
11.5 (52.6) |
역대 최저 기온 °C (°F) | −5.4 (22.3) |
−8.0 (17.6) |
−3.5 (25.7) |
−0.8 (30.6) |
3.1 (37.6) |
9.8 (49.6) |
16.0 (60.8) |
17.1 (62.8) |
8.9 (48.0) |
2.7 (36.9) |
−0.9 (30.4) |
−4.1 (24.6) |
−8.0 (17.6)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34.4 (1.35) |
42.4 (1.67) |
78.2 (3.08) |
82.5 (3.25) |
101.9 (4.01) |
149.8 (5.90) |
154.1 (6.07) |
81.3 (3.20) |
133.0 (5.24) |
93.6 (3.69) |
51.2 (2.02) |
40.4 (1.59) |
1,042.2 (41.03)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4.8 | 6.1 | 8.6 | 9.0 | 8.8 | 10.6 | 9.9 | 6.8 | 8.8 | 7.1 | 5.8 | 5.2 | 91.5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152.5 | 144.5 | 175.7 | 189.8 | 199.2 | 143.1 | 173.0 | 206.5 | 155.2 | 166.7 | 149.7 | 145.8 | 2,001.3 |
출처: 일본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9년~현재)[2][3] |
인접한 자치체
[편집]역사
[편집]
과거 구라시키 지역은 헤이안 시대에 다이라씨와 미나모토씨 간의 전쟁이 벌어진 곳이다. 에도 시대에는 하항으로 발전하였고 막부의 직할령이 되었다. 상품의 저장을 위해 흰 벽과 검은색 타일을 가진 독특한 창고가 세워졌다. 메이지 유신 때는 구라보 방적을 포함한 공장들이 세워졌다.
- 1889년 4월 1일 - 정촌제 시행으로 근세 이후 구라시키촌이 단독으로 자치체를 형성하였다.
- 1928년 4월 1일 - 쓰쿠보군 구라시키정이 시로 승격해 구라시키시(초대)가 성립하였다.
- 1967년 - 구라시키시(초대)·고지마시·다마시마시가 신설 합병해 현재의 구라시키시(2대)가 성립하였다.
- 1971년 3월 8일 - 쓰쿠보군 쇼촌을 편입 합병하였다.
- 1972년 5월 1일 - 쓰쿠보군 쟈야정을 편입 합병하였다.
- 2002년 - 중핵시로 승격하였다.
- 2005년 8월 1일 - 아사쿠치군 후나오정, 기미군 마비정을 편입 합병하였다.
한자 표기 | 倉敷町 |
---|---|
가나 표기 | くらしきちょう |
폐지일 | 1927년 4월 1일 |
폐지 이유 | 신설합병 |
이후 자치체 | 구라시키시 |
폐지 당시의 정보 | |
나라 | ![]() |
지방 | 주고쿠 지방(산요 지방) |
도도부현 | 오카야마현 |
군 | 쓰쿠보군 |
인구 | 14,209명 (국세조사, 1925년) |
![]() | |
한자 표기 | 倉敷市 |
---|---|
가나 표기 | くらしきし |
폐지일 | 1967년 2월 1일 |
폐지 이유 | 신설합병 |
이후 자치체 | 구라시키시 |
폐지 당시의 정보 | |
나라 | ![]() |
지방 | 주고쿠 지방(산요 지방) |
도도부현 | 오카야마현 |
면적 | 132.55 km2 |
인구 | 172,435명 (1967년) |
교육
[편집]대학교
[편집]교통
[편집]도로
[편집]다리
[편집]철도
[편집]- 서일본 여객철도
- 시코쿠 여객철도
- 혼시비산선(세토 대교선)
- 고지마역
- 혼시비산선(세토 대교선)
- 미즈시마 임해 철도
- 이하라 철도
시설·건축물
[편집]사건
[편집]- 2012년 구라시키 해저 터널 사고 - 일본 최대 석유 시설 관련 사고로 5명 사망, 1명 부상
자매 도시
[편집]각주
[편집]- ↑ Kurashiki population statistics
- ↑ 観測史上1~10位の値(年間を通じての値). 일본 기상청. 2022년 5월 2일에 확인함.
- ↑ 気象庁 / 平年値(年・月ごとの値). 일본 기상청. 2022년 5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일본어) 구라시키시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