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군
보이기
(프랑스 군대에서 넘어옴)
Forces armées françaises | |
---|---|
![]() 프랑스의 국장 | |
창립일 | 1445년 (역사적) |
국적 | ![]() |
병종 | ![]() ![]() ![]() ![]() |
URL | http://www.defense.gouv.fr/ |
지도부 | |
본부 | 파리(프랑스) |
통수권자 | 에마뉘엘 마크롱 |
총참모장 | 프랑수아 레콩트르 |
인사 | |
충원방식 | 모병제 |
징집 연령 | 17.5세 ~ |
병력 | 365,000명 (2014년) |
예비군 | 27,680명 (2014년) |
군사비 | |
예산 | 46.9 십억 유로 (2015년) |
GDP 대비 | 1.8% |
국내 공급 | |
Airbus Dassault Naval Group Nexter MBDA Safran Thales | |
해외 공급 | |
FN Herstal Heckler & Koch General Atomics Lockheed | |
프랑스군(프랑스어: Forces armées françaises, 줄여서 프랑스어: Armée française)는 프랑스 공화국의 조국방위와 국익수호를 맡는 군대를 말한다. 다음과 같이 네 가지 군으로 나뉘어 있다.
- 프랑스 육군 (Armée de terre)
- 프랑스 항공우주군 (Armée de l'air)
- 프랑스 해군 (Marine nationale française)
- 프랑스 국가 헌병대 (Gendarmerie nationale)[1]
지휘
[편집]나아가 프랑스의 군대는 프랑스 통합참모총장이 지휘하는 다양한 합동작전 또한 포함하고 있다. 1997년 10월 28일에 병역개혁에 따라 징병제가 폐지된 바, 오늘날의 프랑스군은 직업군인과 예비역으로 구성되어 있다.[2]
역할
[편집]북대서양 조약 기구, 국제안보지원군, 유럽 군단, 유엔 평화 유지 활동 등에서 기여하고 있다.
해외 파병
[편집]
아프리카
[편집]프랑스는 과거 식민지였던 코트디부아르, 차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말리, 부르키나파소 등에서 평화 유지 활동을 하였다.[3] 대표적으로 바르칸 작전이 있다.
NATO 작전 참여
[편집]별개로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일원으로서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리비아, 시리아, 소말리아 등에 파병을 하였다.[4]
한국 전쟁
[편집]한국 전쟁 당시 프랑스군은 프랑스 대대를 파병하여 지평리 전투 및 화살머리고지 전투에서 활약하였다.[5][6] 유엔군사령부의 일원이다.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 프랑스 국방부 공식 웹사이트
- Communaute-defense.com 프랑스군 직원들을 위한 정보 및 서비스망
각주
[편집]- ↑ 프랑스 국가경찰(Police nationale)이 아니다.
- ↑ 윤지원 (2016년 10월). “'모병제 도입', 세계 주요 국가들의 모병제 현황과 대안 모색 : '저출산·초고령화' 시대, 여군의 역할과 병역 확대 :‘저출산·초고령화’ 시대, 여군의 역할과 병역 확대”. 《국방과 기술》 (452): 76–83. ISSN 1227-1705.
- ↑ étrangères, Ministère de l'Europe et des Affaires. “France and UN Peacekeeping Operations” (영어). 2025년 10월 5일에 확인함.
- ↑ “France’s military campaigns abroa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Russian Federation》.
- ↑ “United Nations Command > Organization > Contributors > France” (미국 영어). 2025년 10월 5일에 확인함.
- ↑ “UN평화기념관 방문을 환영합니다. 이달의 참전국 페이지 입니다.”. 2025년 10월 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