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드홀름 적분 방정식
수학에서 프레드홀름 적분 방정식(영어: Fredholm integral equation)은 프레드홀름 이론, 즉 프레드홀름 핵과 프레드홀름 작용소 연구의 기반이 되는 해를 제공하는 적분 방정식이다. 이 적분 방정식은 에리크 이바르 프레드홀름이 연구했다. 이러한 방정식을 풀기 위한 유용한 방법인 아도미안 분해법은 조지 아도미안에 의해 개발되었다.
1종 방정식
[편집]프레드홀름 방정식은 핵 함수(아래 정의됨)를 포함하는 항이 적분 한계를 상수로 갖는 적분 방정식이다. 이와 밀접하게 관련된 형태는 변수 적분 한계를 갖는 볼테라 적분 방정식이다.
1종 비동차 방정식 프레드홀름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작성된다.
여기서 연속적인 핵 함수 와 함수 가 주어졌을 때, 함수 를 찾는 것이 문제이다.
이러한 유형의 방정식에서 중요한 경우는 핵이 인수 차이만의 함수, 즉 이고 적분 한계가 ±∞일 때이며, 이 경우 방정식의 우변은 함수 와 의 합성곱으로 다시 작성될 수 있으므로 형식적으로 해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와 는 각각 직접 및 역 푸리에 변환이다. 이 경우는 일반적으로 프레드홀름 적분 방정식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프레드홀름 적분 방정식은 일반적으로 적분 작용소가 콤팩트 작용소를 정의할 때 사용되는 이름이다 (비콤팩트 군에서의 합성곱 작용소는 비콤팩트이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와의 합성곱 작용소의 스펙트럼은 의 범위를 포함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셀 수 없는 집합인 반면, 콤팩트 작용소는 이산적인 셀 수 있는 스펙트럼을 갖기 때문이다).
2종 방정식
[편집]2종 비동차 프레드홀름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핵 와 함수 가 주어졌을 때, 일반적으로 함수 를 찾는 것이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는 표준적인 접근 방식은 반복을 사용하여 레졸벤트 형식을 이용하는 것이며, 계열로 작성된 해는 리우빌-노이만 급수로 알려져 있다.
일반 이론
[편집]프레드홀름 방정식의 기본이 되는 일반 이론은 프레드홀름 이론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결과 중 하나는 핵 K가 콤팩트 작용소를 생성한다는 것이다. 콤팩트성은 동등 연속 함수족을, 더 구체적으로는 아르첼라-아스콜리 정리를 사용하여 보일 수 있다. 작용소로서, 0으로 수렴하는 고유값의 이산 스펙트럼으로 이해될 수 있는 스펙트럼 이론을 갖는다.
응용
[편집]프레드홀름 방정식은 신호 처리 이론, 예를 들어 데이비드 슬레피언에 의해 대중화된 유명한 스펙트럼 집중 문제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한다. 관련된 작용소는 선형 필터와 동일하다. 또한 선형 정방향 모델링 및 역문제에서도 흔히 발생한다. 물리학에서는 이러한 적분 방정식의 해를 통해 실험 스펙트럼을 다양한 기본 분포와 관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 용융물 내 고분자의 질량 분포,[1] 또는 시스템 내 이완 시간 분포 등이 있다.[2] 또한 프레드홀름 적분 방정식은 유한 크기의 탄성 경계면 근처의 유체 역학적 상호작용과 관련된 유체역학 문제에서도 발생한다.[3][4]
프레드홀름 방정식의 특정 응용 분야는 컴퓨터 그래픽에서 사진처럼 사실적인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인데, 여기서 프레드홀름 방정식은 가상 광원에서 이미지 평면으로의 빛 전달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 이 맥락에서 프레드홀름 방정식은 종종 렌더링 방정식이라고 불린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Honerkamp, J.; Weese, J. (1990). 《Tikhonovs regularization method for ill-posed problems》. 《Continuum Mechanics and Thermodynamics》 2. 17–30쪽. Bibcode:1990CMT.....2...17H. doi:10.1007/BF01170953.
- ↑ Schäfer, H.; Sternin, E.; Stannarius, R.; Arndt, M.; Kremer, F. (1996년 3월 18일). 《Novel Approach to the Analysis of Broadband Dielectric Spectra》. 《Physical Review Letters》 76. 2177–2180쪽. Bibcode:1996PhRvL..76.2177S. doi:10.1103/PhysRevLett.76.2177. PMID 10060625.
- ↑ Daddi-Moussa-Ider, A.; Kaoui, B.; Löwen, H. (2019년 4월 9일). 《Axisymmetric flow due to a Stokeslet near a finite-sized elastic membrane》. 《Journal of the Physical Society of Japan》 88. 054401쪽. arXiv:1901.04485. doi:10.7566/JPSJ.88.054401.
- ↑ Daddi-Moussa-Ider, A. (2020년 11월 25일). 《Asymmetric Stokes flow induced by a transverse point force acting near a finite-sized elastic membrane》. 《Journal of the Physical Society of Japan》 89. 124401쪽. arXiv:2006.14375. doi:10.7566/JPSJ.89.124401.
추가 자료
[편집]- EqWorld: 수학 방정식의 세계의 적분 방정식.
- A.D. 폴리아닌과 A.V. 만지로프, Integral Equations 핸드북, CRC Press, 보카레이턴, 1998. ISBN 0-8493-2876-4
- Khvedelidze, B.V.; Litvinov, G.L. (2001). “Fredholm kernel” (영어). 《Encyclopedia of Mathematics》. Springer-Verlag. ISBN 978-1-55608-010-4.
- Simons, F. J.; Wieczorek, M. A.; Dahlen, F. A. (2006). 《Spatiospectral concentration on a sphere》. 《SIAM Review》 48. 504–536쪽. arXiv:math/0408424. Bibcode:2006SIAMR..48..504S. doi:10.1137/S0036144504445765.
- Slepian, D. (1983). 《Some comments on Fourier Analysis, uncertainty and modeling》. 《SIAM Review》 25. 379–393쪽. doi:10.1137/1025078.
- Press, WH; Teukolsky, SA; Vetterling, WT; Flannery, BP (2007). 〈Section 19.1. Fredholm Equations of the Second Kind〉 3판. 《Numerical Recipes: The Art of Scientific Computing》.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8068-8. 2011년 8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17일에 확인함.
- 매튜스, 존; 워커, 로버트 L. (1970), Mathematical methods of physics (2nd ed.), 뉴욕: W. A. 벤자민, ISBN 0-8053-70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