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카르바진
![]() | |
![]()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N-Isopropyl-4-[(2-methylhydrazino)methyl]benzamid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671-16-9 |
ATC 코드 | L01XB01 |
PubChem | 4915 |
드러그뱅크 | DB01168 |
ChemSpider | 4746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12H19N3O |
분자량 | ?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간, 콩팥 |
생물학적 반감기 | 10 minutes |
배출 | 콩팥 |
처방 주의사항 | |
임부투여안전성 | D(오스트레일리아)D(미국)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경구 (젤 캡슐), 정맥 주사 |
프로카르바진(Procarbazine)은 호지킨 림프종과 뇌암 치료에 사용되는 화학요법 약물이다.[1] 호지킨 병 치료에는 종종 클로르메틴, 빈크리스틴, 프레드니손과 함께 사용되며, 교모세포종과 같은 뇌암 치료에는 로무스틴과 빈크리스틴과 함께 사용된다.[1] 일반적으로 경구 투여로 복용한다.[1]
흔한 부작용으로는 혈구감소증과 구토가 있다.[1] 다른 부작용으로는 피로와 우울증이 있다.[2][3] 중증의 간 또는 콩팥 문제가 있는 사람에게는 권장되지 않는다.[4] 임신 중 사용은 태아에게 해를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프로카르바진은 알킬화제 약물군에 속한다.[1] 작용 기전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1]
프로카르바진은 1969년 미국에서 의료용으로 승인되었다.[1]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5][6] 영국에서는 한 달 치료 비용이 국민 보건 서비스에 450~750 파운드이다.[4]
의학적 이용
[편집]호지킨 림프종 치료에 사용될 때, 블레오마이신, 에토포시드, 아드리아마이신, 시클로포스파미드, 빈크리스틴 (상품명 온코빈), 프레드니손 및 프로카르바진을 포함하는 BEACOPP 요법의 일부로 투여되는 경우가 많다. 호지킨 림프종(HL) 치료를 위해 개발된 최초의 병용 화학요법인 MOPP에도 프로카르바진이 포함되었다(ABVD는 HL의 표준 1차 치료법으로 MOPP를 대체했으며, BEACOPP는 진행성/예후 불량 HL의 대체 요법으로 사용된다). 또는 특정 뇌종양(악성 신경교종) 치료에 사용될 때, 종종 로무스틴 (종종 CCNU라고 불림) 및 빈크리스틴과 병용하여 PCV로 투여된다.
콩팥 질환 또는 간 질환에 따라 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부작용
[편집]매우 흔하게 (10% 이상의 환자에게 발생) 발생하는 부작용으로는 식욕 부진, 구역 및 구토가 있다.[2] 빈도 불명의 다른 부작용으로는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 호중구 감소가 있으며, 이는 폐 감염을 포함한 감염 위험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 혈관부종 및 피부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 무기력증. 황달 및 간 기능 검사 이상을 포함한 간 합병증. 정자 수 감소 및 난소 부전을 포함한 생식계 부작용.[2]
프로카르바진을 에탄올과 함께 사용하면 일부 사람들에게 디설피람과 유사한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2]
위장계에서 모노아민 산화 효소를 약하게 억제하므로, 숙성 치즈와 같이 티라민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면 고혈압 위기를 유발할 수 있지만 이는 드물게 나타난다.[2]
프로카르바진은 드물게 화학요법 유발 말초신경병증을 유발하는데,[7] 이는 진행성이고 지속적이며 종종 비가역적인 따끔거림, 무감각, 심한 통증, 그리고 추위에 대한 과민증을 유발하며, 손발에서 시작하여 때로는 팔다리까지 번진다.[8]
약리학
[편집]프로카르바진은 부분적으로 알킬화제로 작용하여 구아닌의 O-6 위치를 메틸화한다(이는 다카바진과 유사하다[9]). 구아닌은 DNA를 구성하는 네 가지 뉴클레오타이드 중 하나이다. 메틸화된 DNA는 쉽게 파손되며, RNA와 단백질 합성이 억제된다.[10] 증식하는 암세포는 DNA를 복제해야 하며, DNA 가닥 파손에 반응하여 프로그램 세포사(아포토시스)를 겪는다. 정상 또는 비증식 세포는 DNA 손상을 더 잘 복구하지만, 건강한 세포 중 일부도 손상될 수 있다. 프로카르바진은 간에서 아조 유도체로 대사된 후, 사이토크롬 P450 시스템에 의해 활성 아족시 유도체로 추가 대사된다.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Procarbazine Hydrochloride”.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6년 1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Procarbazine Capsules 50mg –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UK Electronic Medicines Compendium. 2014년 11월 24일. 2016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Stuart MC, Kouimtzi M, Hill SR (편집). 《WHO Model Formulary 2008》. World Health Organization. 228쪽. hdl:10665/44053. ISBN 9789241547659.
- ↑ 가 나 《British national formulary : BNF 69》 69판. British Medical Association. 2015. 606쪽. ISBN 9780857111562.
-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2nd list (2021)》.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45533. WHO/MHP/HPS/EML/2021.02.
- ↑ DeAngelis LM, Posner JS (2003). 〈Nonmetastatic Complications〉 6판. Kufe DW, Pollock RE, Weichselbaum RR 외 (편집). 《Holland-Frei Cancer Medicine》. Hamilton (ON): BC Decker. 2017년 9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del Pino BM (2010년 2월 23일).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NCI Cancer Bulletin》 7. 6쪽. 2011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Mauz-Körholz C, Hasenclever D, Dörffel W, Ruschke K, Pelz T, Voigt A 외 (August 2010). 《Procarbazine-free OEPA-COPDAC chemotherapy in boys and standard OPPA-COPP in girls have comparable effectiveness in pediatric Hodgkin's lymphoma: the GPOH-HD-2002 study》.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8. 3680–3686쪽. doi:10.1200/JCO.2009.26.9381. PMID 20625128.
- ↑ Newton H (2006). 《Handbook of Brain Tumor Chemotherapy》. Academic Press. ISBN 978-0-12-088410-0. 2021년 1월 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MOPP Treatment Regimen
- PCV Information
- Procarbazine Drug Information Provided by Lexi-Comp – Merck Manual
- RX Listing for Matulane
- “Procarbazine”.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