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 풍력 발전

해상 풍력 발전(海上風力發電, 영어: offshore wind power)은 풍력터빈을 호수, 피오르드 지형, 연안과 같은 수역에 설치하여 그 곳에서 부는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회전날개에 의한 기계에너지로 변환하여 전기를 얻는 발전방식으로, 풍력 발전의 한 유형이다.[1]
필요성
[편집]육상풍력발전의 발달로 인하여 풍력터빈이 대형화되었다. 이에 따라 설치 장소의 한계가 드러나게 되었고 터빈의 대형화로 인한 소음문제, 설치 및 운반문제, 시각적인 위압감 등이 문제로 야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육상풍력발전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해상풍력발전이 고안되었다.
주요 기술
[편집]기초
[편집]기초(foundation)는 대표적인 4가지 타입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콘크리트 케이슨 타입
[편집]콘크리트 케이슨 타입(Concrete caisson type)은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여 초기 해상풍력발전단지에 사용된 타입으로 Vindeby, Middelgrunden, Nysted 해상풍력발전단지 등에 적용되었다. 비교적 얕은 6~10m의 수심에서 사용가능하며 자중과 해저면의 마찰력으로 위치를 유지한다. 기초 직경은 12~15m이며 불량지반에서는 편심경사로 안정성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2]
단층형
[편집]단층형(모노파일 타입)은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해상풍력발전단지 기초 방식이며 25~30m의 수심에 설치가 가능하다. Horns Rev, North Hoyle, Scroby Sands 해상풍력발전단지 등에 적용되었으며 해저면에 대구경의 파일(pile)을 항타(Driving) 또는 드릴링(Drilling)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대단위 단지에 이용하는 경우 경제성이 좋다. 기초 직경은 3~3.5m이며 부재에 대한 피로 하중이나 부식 문제가 있다.[2]
자켓 타입
[편집]자켓 타입(Jacket type)은 현재 해상풍력발전단지 보유국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실증 중에 있는 타입으로 수심 20~80m에 설치가 가능하다. 영국의 "The Talisman Beatrice Wind Farm Demonstrator" 프로젝트에서 적용된 이 타입은 자켓식 구조물로 지지하고 말뚝 또는 파일(pile)로 해저에 고정하는 방식이다. 대수심 해양의 구조물이고 실적이 많아 신뢰도가 높은 편이며 모노파일 타입과 마찬가지로 대단위 단지 조성에 이용하는 경우 경제성이 좋다.[2]
부유식 타입
[편집]미래 심해상 풍력발전의 필수 과제라고 할 수 있는 부유식 타입(Floating type)은 수심 40~900m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많은 풍력회사에서 연구 중이다.[2]
송전망 연결
[편집]인디비주얼 커넥션
[편집]인디비주얼 커넥션(Individual connection)은 다른 프로젝트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케이블 길이가 가장 짧은 것이 특징이다. 문제점이 발생했을 때 발생위치를 명확하게 알 수 있지만 케이블 연계를 위한 필요면적이 넓으며 운영 유연성이 부족하고 환경적으로 영향을 많이 준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2]
메시 그리드
[편집]메시 그리드(Mesh Grid)는 중개 송전로 사용으로 부분 부하시 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나 기술 및 상업성을 고려한 설계가 요구되며 투자 비용이 크다. 전체 부하 시 다른 방식에 비해 장점이 없다.[2]
레디얼 컨피겨레이션
[편집]레디얼 컨피겨레이션(Radial Configuration)은 케이블 연계를 위한 필요면적이 적어 인허가를 받기 쉬우며 환경적 영향이 적다. 하지만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고 운영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2]
유형
[편집]

통상, 고정식 기초 해상 풍력 터빈은 수심 50m 미만·평균 풍속 초당 7미터를 넘는 지역에서, 부유식 해상 풍력 터빈은 수심이 50~1,000m인 지역에서 기술적으로 실행 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 대부분의 해상 풍력 발전소는 고정식 기초 터빈을 사용한다. 따라서 고정된 기초를 가지고 있으며, 최대 50~60m의 비교적 얕은 수심에 설치된 것이 대부분이다.[3]
수중 구조물의 유형에는 모노파일, 삼각대, 재킷형이 있으며, 해저에는 모노파일 또는 다중 파일, 중력식 기초, 케이슨 등 다양한 기초가 있다. 해상 터빈은 수심에 따라 안정성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기초가 필요하다.[4]
수심이 약 60~80m가 넘을 시 고정 기초는 경제적이지 않거나 기술적으로 실행 불가능하므로 해저에 고정된 부유식 풍력 터빈이 필요하다.[5][6][7] 현재 설치된 육상 및 모든 대규모 해상 풍력 터빈은 대부분 수평축이지만, 해상 설비에는 수직축 풍력 터빈을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어 왔다. 해상 설치와 낮은 무게중심 덕분에, 이러한 수직축 풍력 터빈은 원칙적으로 수평축 터빈보다 더 크게 제작될 수 있으며, 터빈당 최대 20MW 용량의 설계가 제안되었다. 이는 해상 풍력 발전 단지의 규모의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 기술을 대규모로 시범 설치한 사례는 아직 없다.
건설
[편집]해상 풍력 터빈은 바다와 큰 호수에 위치하기 때문에, 터빈에 사용되는 자재는 육상 풍력 터빈에 사용되는 자재와 다르다. 예컨대 염수에 대한 내식성과 타워가 물에 잠기면서 발생하는 새 하중에 최적화되어야 한다. 또한 타워 바닥 주변의 파도에 의해 발생하는 버페팅 하중도 고려해야 하기에 강철 관형 타워가 사용된다.[8]
현황
[편집]순위 | 국가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1 | ![]() |
1,627 | 2,788 | 4,588 | 6,838 | 9,996 | 19,747 | 26,563 | 31,527 | 38,283 |
2 | ![]() |
5,156 | 6,651 | 7,963 | 9,723 | 10,428 | 12,281 | 13,601 | 14,741 | 15,623 |
3 | ![]() |
4,108 | 5,411 | 6,380 | 7,493 | 7,689 | 7,701 | 8,043 | 8,300 | 9,018 |
4 | ![]() |
1,118 | 1,118 | 1,118 | 1,118 | 2,611 | 3,010 | 3,010 | 5,269 | 5,401 |
5 | ![]() |
1,271 | 1,268 | 1,329 | 1,703 | 1,703 | 2,343 | 2,343 | 2,343 | 2,687 |
6 | ![]() |
712 | 877 | 1,186 | 1,556 | 2,261 | 2,263 | 2,263 | 2,263 | 2,263 |
7 | ![]() |
0 | 8 | 8 | 128 | 128 | 237 | 237 | 613 | 2,137 |
8 | ![]() |
0 | 2 | 2 | 2 | 2 | 2 | 482 | 978 | 1,500 |
9 | ![]() |
99 | 99 | 99 | 99 | 99 | 99 | 396 | 496 | 496 |
10 | ![]() |
60 | 65 | 65 | 85 | 85 | 85 | 225 | 346 | 346 |
11 | ![]() |
35 | 38 | 73 | 73 | 136 | 104 | 112 | 112 | 212 |
12 | ![]() |
202 | 202 | 192 | 191 | 192 | 191 | 191 | 191 | 191 |
13 | ![]() |
30 | 30 | 30 | 30 | 42 | 42 | 42 | 42 | 174 |
14 | ![]() |
2 | 2 | 2 | 2 | 2 | 6 | 8 | 96 | 96 |
15 | ![]() |
32 | 92 | 87 | 71 | 71 | 71 | 71 | 71 | 71 |
16 | ![]() |
0 | 0 | 0 | 0 | 0 | 0 | 30 | 30 | 30 |
=17 | ![]() |
25 | 25 | 25 | 25 | 25 | 25 | 25 | 25 | 25 |
=17 | ![]() |
0 | 0 | 0 | 0 | 25 | 25 | 25 | 25 | 25 |
19 | ![]() |
5 | 5 | 5 | 5 | 5 | 5 | 5 | 7 | 7 |
전 세계 총합 | 14,482 | 18,658 | 23,140 | 29,142 | 35,500 | 48,176 | 57,609 | 67,475 | 78,522 | |
증감률 | - | 28.8% | 24.0% | 25.9% | 21.8% | 35.7% | 19.6% | 17.1% | 16.4% |
대한민국
[편집]2023년 6월, 포항시와 신안군이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개발 지원사업에 선정되었으며 해상풍력 전용 설치선 현대 프론티어호가 출항식 이후 제주 한림해상풍력발전 공사에 투입될 예정이다.
2025년부터 정부가 발주하는 해상풍력발전소 프로젝트에 입찰할 때 국산 터빈을 사용하면 가점을 받아 수주 가능성이 커지는 공공주도형 경쟁 입찰제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국산 터빈으로 지은 발전소 전기를 더 비싸게 매입해주는 등 다양한 인센티브도 제공하고 있다.[9]
각주
[편집]- ↑ “보관된 사본” (PDF). 2009년 2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한경섭, 해상풍력 현황 및 전망, 2009 해상풍력 세미나, 2009년 6월 3일
- ↑ “Challenges in design of foundations for offshore wind turbines”. 《The E&T Energy and Power Hub》. 2017년 8월 9일. 2017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Offshore wind foundation shift hinges on serial build gains | New Energy Update”. 《analysis.newenergyupdate.com》. 2019년 5월 15일. 2019년 10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Floating Wind Turbines”. 《Floating Wind Turbines》. 2020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Blue H Technologies Launches World's First Floating Wind Turbine”. 《MarineBuzz》. 2020년 7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de Vries, Eize (2020년 4월 1일). “Seawind steps up development of radical two-blade offshore turbine”. 《Windpower Monthly》. 2020년 6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24일에 확인함.
- ↑ Chong, Ng (2016년 3월 3일). 《Offshore wind farms : technologies, design and operation》. Ng, Chong, Ran, Li. Duxford, UK: Elsevier, WP Woodhead Publishing. ISBN 978-0-08-100780-8. OCLC 944186047.
- ↑ “"해상풍력시장 中 독식 막자"…국산 터빈 사용땐 인센티브”. 《한국경제》. 2025년 3월 20일.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해상 풍력 발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