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케인 멜리사
이 문서는 최근 사건을 다루며, 지속적인 갱신이 필요합니다. |
| 5등급 메이저 허리케인 (SSHWS/NWS) | |
10월 28일 자메이카에 상륙하기 전 최고 강도의 멜리사 | |
| 발생일 | 2025년 10월 21일 |
|---|---|
| 풍속 | 1분 평균 풍속: 185 mph (295 km/h) |
| 기압 | 892 mbar (hPa); 26.34 inHg (북대서양 분지에서 세 번째로 낮은 기록과 동률) |
| 사상자 | 44명 이상 사망 28명 이상 부상 11명 이상 실종 |
| 영향 지역 | |
허리케인 멜리사는 현재 바하마를 향해 동북쪽으로 이동중인 강력한 북대서양 허리케인이다. 2025년 북대서양 허리케인의 13번째 열대폭풍, 5번째 허리케인, 4번째 주요 허리케인, 3번째 5등급 허리케인인 멜리사는 2025년 10월 16일 처음으로 발달이 감시된 열대파에서 형성되었다. 이 열대파는 서아프리카에서 시작하여 중앙 대서양을 거쳐 윈드워드 제도로 이동한 후 빠르게 서쪽으로 카리브해로 이동했고, 그곳에서 속도가 느려지면서 10월 21일 열대폭풍 멜리사로 발달했다. 약한 조향 기류와 중간 정도의 급변풍으로 인해 멜리사는 다음 며칠 동안 북서쪽으로 천천히 이동하면서 혼란스러운 상태를 유지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멜리사는 더 조직화되었고, 10월 25일부터 27일까지 급격히 강화되어 5등급 허리케인이 된 후 10월 28일 자메이카 뉴호프 근처에 상륙했다.
이 허리케인은 2025년 전 세계적으로 가장 강력한 열대 저기압이다.[1] 또한 최저 기압(허리케인 윌마와 길버트에 이어) 기준 1935년 노동절 허리케인과 함께 세 번째로 강력한 대서양 허리케인이며, 최대 지속 풍속 측면에서는 1935년 노동절 허리케인과 2019년 허리케인 도리안과 함께 대서양에서 가장 강력한 상륙을 기록했고, 1분 지속 풍속 측면에서는 허리케인 윌마, 길버트, 도리안 및 1935년 노동절 허리케인과 함께 두 번째로 강력한 대서양 허리케인(허리케인 앨런에 이어)이다.[2] 또한 멜리사와 1935년 노동절 허리케인은 상륙 시 가장 강력한 대서양 허리케인으로 동률을 이루고 있으며, 이 허리케인은 기록이 시작된 이래로 자메이카의 대서양 분지에 상륙한 가장 강력한 폭풍이다.[3]
최소 41명이 멜리사로 인해 사망했는데, 여기에는 히스파니올라섬의 홍수와 산사태로 인한 34명과 자메이카의 4명 간접 사망자가 포함된다.
기상사
[편집]
열대 폭풍 (39–73 mph, 63–118 km/h)
1등급 (74–95 mph, 119–153 km/h)
2등급 (96–110 mph, 154–177 km/h)
3등급 (111–129 mph, 178–208 km/h)
4등급 (130–156 mph, 209–251 km/h)
5등급 (≥157 mph, ≥252 km/h)
알 수 없음
2025년 10월 16일,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 (NHC)는 서쪽으로 이동하는 열대파의 잠재적 발달을 감시하기 시작했다.[4] 10월 19일, 이 열대파는 윈드워드 제도를 통과하여 카리브해로 이동했다.[5] 이 교란은 빠르게 서쪽으로 이동하다가 크게 느려졌고, 10월 21일 초에 잘 정의된 중심과 조직화된 깊은 대류를 통해 저기압대가 발달할 기회를 제공하여 열대폭풍 멜리사가 되었다.[6] 약한 조향 기류로 인해 멜리사는 형성 초기 카리브해 중앙의 매우 따뜻한 해수 위를 느리고 불규칙하게 서북서 방향으로 이동했으며, 서풍 급변풍으로 인해 크게 강화될 수 없었다.[7] 10월 23일, 급변풍이 약화되기 시작하여 폭풍 중심에서 바람의 방향을 따라 대류가 발달하기 시작했다.[8] 그 결과 멜리사는 수직적으로 더 잘 정렬되었고, 더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다음날 강화되었다.[9]
| 상륙 시점 세기순 대서양 허리케인 (강도는 중심 압력으로만 측정됨) | |||
|---|---|---|---|
| 순위 | 허리케인 | 시즌 | 상륙 압력 |
| 1 | "노동절"[nb 1] | 1935년 | 892 mbar (hPa) |
| 멜리사 | 2025년 | ||
| 3 | 카밀 | 1969년 | 900 mbar (hPa) |
| 길버트 | 1988년 | ||
| 5 | 딘 | 2007년 | 905 mbar (hPa) |
| 6 | "쿠바" | 1924년 | 910 mbar (hPa) |
| 도리안 | 2019년 | ||
| 8 | 재닛 | 1955년 | 914 mbar (hPa) |
| 어마 | 2017년 | ||
| 10 | "쿠바" | 1932년 | 918 mbar (hPa) |
| 출처: HURDAT,[11] AOML/HRD,[12] NHC[13] | |||
매우 유리한 조건에 힘입어 멜리사는 10월 25일부터 급격한 강화 기간을 시작했으며, 18시간 동안 최대 지속 풍속이 70 mph (115 km/h)에서 140 mph (225 km/h)로 증가했다.[14] 잠시 멈춘 후, 강화가 재개되었고, 일반적으로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멜리사는 10월 27일 초에 5등급에 도달했다.[15] 북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꾼 후, 다음날 아침 네그릴, 자메이카에서 남동쪽으로 약 45 mi (70 km) 떨어진 곳에서 최대 지속 풍속 160 kn (185 mph; 295 km/h), 최소 중심 기압 892 mbar (26.34 inHg)에 도달했다.[16] 협정 세계시 17:00에 이 폭풍은 최고 강도로 웨스트모얼랜드구 뉴호프 근처에 상륙했으며,[17] 중심 기압 기준으로 1935년 노동절 허리케인과 함께 세 번째로 강력한 대서양 허리케인이자 가장 강력한 상륙 대서양 허리케인으로 동률을 이루었다.[18] 하지만 NHC는 정확한 최종 순위는 광범위한 시즌 후 재분석 대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17] 허리케인은 내륙 산악 지역을 통과하면서 약화되었고, 자메이카 북부 해안을 지나 카리브해로 진입할 때는 4등급의 강도로 쿠바를 향했다.[19][20] 그 후 허리케인은 곧 강력한 3등급 허리케인으로 추가 약화되었다.[21] 잠시 4등급으로 다시 강화된 후,[22] 허리케인은 10월 29일 협정 세계시 07:10경 치비리코에서 동쪽으로 약 20 mi (30 km) 떨어진 쿠바 동부 산티아고데쿠바도에 시속 120 mph (195 km/h)의 3등급 지속 풍속으로 상륙했다.[23] 내륙에서 쿠바의 험준한 지형으로 인해 추가적인 약화가 발생했으며, 멜리사가 8시간 후 대서양으로 다시 이동할 때쯤에는 폭풍의 지속 풍속이 약한 2등급의 강도로 떨어졌다.[24]
대비
[편집]소앤틸리스 제도
[편집]10월 17일, 멜리사의 전조가 다가옴에 따라 트리니다드 토바고에 황색 악천후 경보가 발령되었다.[25][26] 10월 18일, 마르티니크에도 황색 경보가 발령되었다.[27] 같은 날, 바베이도스에 돌발 홍수 경보가 발령되었다.[28]
리워드 제도
[편집]퀴라소의 길마르 피사스 총리는 긴급 서비스 운영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섬의 학교를 폐쇄했다.[29]
대앤틸리스 제도
[편집]10월 21일, 아이티 남부 지역에 허리케인 주의보가 발령되었고, 자메이카에는 열대폭풍 주의보가 발령되었다.[30] 자메이카의 주의보는 10월 23일에 허리케인 주의보와 열대폭풍 경보로 격상되었다.[31] 다음 날, 허리케인 경보로 격상되었다.[32] 아이티 남부 지역에도 10월 23일에 열대폭풍 경보가 추가되었다.[33] 마르가리타빌 앳 씨 아일랜더호는 그랜드케이먼과 자메이카의 기착지에서 벨리즈와 온두라스로 항로를 변경했다.[34] 디즈니 트레저호는 토르톨라섬과 세인트토머스섬에서 코수멜섬로 항로를 변경했고, 디즈니 위시호는 트레저호의 항로 변경을 위해 캐스터웨이 케이에서의 일정을 변경했다.[35] 바하마, 바베이도스, 아이티, 자메이카 및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의 공항에서 대앤틸리스 제도에서 167개 항공편 운행이 취소되었다.[36]
푸에르토리코
[편집]푸에르토리코 주재 미국 국립기상청은 10월 22일 멜리사 외곽 띠로 인한 잠재적 폭우로 인해 여러 지방자치단체에 홍수 경보를 발령했다.[37]
도미니카 공화국
[편집]산후안, 산크리스토발 및 국가 지구에 4개의 대피소가 개설되었고 61명이 대피했다.[38] 12개 주에 적색 경보가 발령되었다.[39] 약 90명이 사오나섬에서 대피했다.[40]
자메이카
[편집]
자메이카 교통부는 포트모어, 스패니시타운, 록포트, 몬테고베이의 비상 상황을 위해 30대의 버스를 배치했다.[41] 국립 수자원 위원회는 팀과 장비를 동원했다.[42] 서인도 제도 대학교는 모나의 학생들에게 대피를 명령했으며,[43] 모나 캠퍼스의 졸업식은 연기되었다.[44] 폭풍이 다가옴에 따라 세인트앤드루의 샌디 굴리는 준설되었다.[45] 국립 수자원 위원회는 멜리사 도착에 대비하여 54만 8천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깨끗한 식수 접근을 제공했다.[46] 10월 25일, 모든 공항이 폐쇄되었다.[40]
자메이카 도시 대중교통 회사와 관련된 서비스 및 운송이 중단되었다.[47]
케이맨 제도
[편집]케이맨 제도 정부는 시민에게 모래주머니를 제공했다.[48] 케이맨 항공은 멜리사의 접근과 관련하여 항공편 변경 수수료를 면제했다.[49] 10월 24일, 리틀케이먼과 케이먼브랙 섬의 모든 관광 다이빙 작업이 중단되었다.[50]
쿠바
[편집]정부는 관타나모주에서 145,000명의 주민 대피를 명령했다. 또한, 미국 해군은 관타나모만 해군기지에서 임무에 필수적이지 않은 모든 미국 시민을 포함한 수백 명의 인원을 플로리다주로 대피시키기 시작했다.[51]
영향
[편집]| 국가 | 사망자 | 부상자 | 실종자 |
|---|---|---|---|
| 도미니카 공화국 | 4
|
0
|
1
|
| 아이티 | 29
|
15
|
10
|
| 자메이카 | 8
|
13
|
알 수 없음 |
| 파나마 | 3
|
알 수 없음 | 알 수 없음 |
| 코스타리카 | 0
|
1
|
알 수 없음 |
| 쿠바 | 알 수 없음 | 알 수 없음 | 알 수 없음 |
| 총계 | 44 | 29 | 11 |
소앤틸리스 제도
[편집]10월 19일, 바베이도스의 그랜틀리 애덤스 국제공항에서 폭우가 쏟아지는 동안 최대 45 mph (74 km/h)의 돌풍이 기록되었다. 다른 최고 돌풍 기록으로는 세인트루시아에서 32 mph (52 km/h), 마르티니크에서 37 mph (61 km/h)가 있었다.[5]
푸에르토리코
[편집]멜리사의 외곽 비구름대는 10월 24일 과니카에서 폭우를 유발하여[52] 약 400가구에 영향을 미치고 건물과 기반 시설에 피해를 입혔다.[37]
아이티
[편집]아이티에서는 30명이 사망했는데,[1] 이 중 3명은 포르토프랭스 인근의 산사태로 사망했고,[53][54] 1명은 마리고에서 나무가 쓰러져 사망했으며,[55] 25명은 강물 범람으로 사망했고,[56] 15명은 아르티보니트주에서 벽이 무너져 부상을 입었다. 전국적으로 최소 450채의 가옥이 피해를 입었다.[57]
도미니카 공화국
[편집]전국적으로 110만 명 이상의 주민들이[58] 폭우와 홍수로 인해 수도 공급 시스템이 중단되어 물 공급을 받지 못했으며, 이는 페드로 브란, 로스 알카리소스, 산토도밍고 서부 지역을 포함한다.[59] 56개의 용수로가 작동을 멈춘 것으로 보고되었다.[38] 마리아트리니다드산체스주의 도로 한 차선이 붕괴되었다.[38] 콘스탄사의 한 병원 외벽이 비로 인해 떨어져 나갔고, 이로 인해 병원 운영이 중단되었다.[60] 산토도밍고 북부에서 71세 남성이 불어난 강물에 휩쓸려 사망했고,[61] 로스 마메예스에서는 폭우 중에 한 어린이가 실종되었다.[62] 전국적으로 총 4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63]
코스타리카
[편집]코스타리카에서는 하코와 산타크루스 등 여러 지역에서 폭우가 보고되어 홍수와 강 범람을 유발했다.[64] 푸에르토 히메네스에서는 10월 26일 홍수로 인해 미성년자가 병원으로 이송되었고, 지역 하수 시스템도 붕괴되었다.[65]
파나마
[편집]허리케인으로 인한 폭우는 파나마 전역에 홍수와 산사태를 유발했다. 10월 25일 코클레주에서 한 남성이 실종되어 나중에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고,[66] 10월 28일 응가베부글레 특구에서는 불어난 강물에 휩쓸려 두 명의 소녀가 사망했다.[67]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3명이 멜리사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되었다.[68]
자메이카
[편집]
10월 27일까지, 멜리사가 자메이카에 상륙하기 전에 세인트엘리자베스구, 세인트캐서린구, 해노버구에서 3명이 간접적인 원인으로 사망하고 13명이 허리케인 대비 중 부상을 입었다.[69] 올드하버에서는 홍수가 보고되었고, 세인트엘리자베스구의 여러 지역에서는 현지 시간 06:00까지 전력이 끊겼다.[70] 협정 세계시 15:00까지 약 200,000명의 고객, 즉 자메이카 주택 및 사업체의 35%가 전력 공급을 받지 못했다.[71]
허리케인 멜리사는 웨스트모얼랜드구 뉴호프에 카테고리 5 허리케인으로 상륙했으며,[72][17] 이로써 이 섬을 강타한 허리케인 중 가장 강력한 허리케인이 되었으며, 1988년 자메이카 동부에 낮은 카테고리 4 허리케인으로 상륙했던 허리케인 길버트를 훨씬 뛰어넘었다.[18]
블랙리버의 병원은 지붕이 날아가는 등 심각한 구조적 피해를 입었다.[73] 킹스턴에서는 간판 틀이 부분적으로 넘어지고 분지가 침수되었으며, 고든타운에서는 산사태로 도로가 차단되었다.[71] 맨더빌에서는 주택이 지붕까지 물에 잠기고 앨리게이터 폰드 등 여러 지역에서 심각한 홍수가 보고되었다. 세인트엘리자베스 기술고등학교 교장은 학교가 지붕 유실을 포함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고 말했다.[74] 세인트엘리자베스구에서는 심각하고 광범위한 피해가 보고되었으며, 이 지역은 "수중"에 잠긴 것으로 묘사되었다.[74]
쿠바
[편집]멜리사가 쿠바에 상륙하기 전, 허리케인은 산티아고데쿠바에 홍수와 산사태를 일으켰다.[75]
멜리사는 협정 세계시 07:10경 산티아고데쿠바 지방의 치비리코 동쪽에 시속 105 kn (121 mph; 194 km/h)의 지속 풍속으로 상륙했다.[76]
여파
[편집]마이애미 히트는 멜리사 이후 자메이카의 복구 노력을 위해 약 100만 달러 상당의 보급품과 필수품을 기부했다.[77]
같이 보기
[편집]내용주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Masters, Jeff (2025년 10월 27일). “Jamaica braces for Cat 5 Hurricane Melissa, Earth's strongest storm of 2025”. New Haven, Connecticut: Yale Climate Connections. 2025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 “Hurricane Melissa live: 'Last chance to protect your life' - storm strengthens again hours before hitting Jamaica”. 《스카이 뉴스》. 2025년 10월 28일. 202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Live Updates: Hurricane Melissa Makes Landfall in Jamaica with Violent Winds and Rain”. 《뉴욕 타임스》. 2025년 10월 28일. 202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Cangialosi, John (2025년 10월 16일). Seven-Day Tropical Outlook (보고서). Miami, Florida: National Hurricane Center.
- ↑ 가 나 Henson, Bob; Masters, Jeff (2025년 10월 20일). “Tropical disturbance poses torrential rainfall threat for the central Caribbean”. New Haven, Connecticut: Yale Climate Connections.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Cangialosi, John; Bucci, Lisa (2025년 10월 21일). Tropical Storm Melissa Discussion Number 1 (보고서). Miami, Florid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25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 Henson, Bob; Masters, Jeff (2025년 10월 23일). “Melissa's slowdown is bad news for the central Caribbean”. New Haven, Connecticut: Yale Climate Connections.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Papin, Philippe (2025년 10월 23일). Tropical Storm Melissa Discussion Number 9 (보고서). Miami, Florid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Papin, Philippe (2025년 10월 24일). Tropical Storm Melissa Discussion Number 14 (보고서). Miami, Florid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25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Landsea, Christopher; Dorst, Neal (2014년 6월 1일). 〈Subject: Tropical Cyclone Names: B1) How are tropical cyclones named?〉. 《Tropical Cyclone Frequently Asked Question》.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s Hurricane Research Division. 2018년 1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모듈:Citation/CS1 190번째 줄에서 Lua 오류: attempt to call upvalue 'is_set' (a nil value).
본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 다음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 Landsea, Chris (April 2022). “The revised Atlantic hurricane database (HURDAT2) - Chris Landsea – April 2022” (PDF). 《Hurricane Research Division – NOAA/AOML》. 마이애미: Hurricane Research Division – Atlantic Oceanographic and Meteorological Laboratory 경유.
- ↑ Landsea, Chris; Anderson, Craig; Bredemeyer, William; Carrasco, Cristina; Charles, Noel; Chenoweth, Michael; Clark, Gil; Delgado, Sandy; Dunion, Jason; Ellis, Ryan; Fernandez-Partagas, Jose; Feuer, Steve; Gamanche, John; Glenn, David; Hagen, Andrew; Hufstetler, Lyle; Mock, Cary; Neumann, Charlie; Perez Suarez, Ramon; Prieto, Ricardo; Sanchez-Sesma, Jorge; Santiago, Adrian; Sims, Jamese; Thomas, Donna; Lenworth, Woolcock; Zimmer, Mark (May 2015). “Documentation of Atlantic Tropical Cyclones Changes in HURDAT” (Metadata). 《Atlantic Oceanographic and Meteorological Laboratory》. 마이애미, 플로리다: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날짜 틀 오류: 날짜 값이 입력되지 않음.에 확인함.
- ↑ Franklin, James (January 31, 2008). Hurricane Dean (PDF) (보고서). National Hurricane Center. 날짜 틀 오류: 날짜 값이 입력되지 않음.에 확인함.
- ↑ Henson, Bob; Masters, Jeff (2025년 10월 26일). “Melissa leaps from tropical storm to Category 4 hurricane in 18 hours”. New Haven, Connecticut: Yale Climate Connections.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Berg, Robbie; Hagen, Andrew (2025년 10월 27일). Hurricane Melissa Discussion Number 24 (보고서). Miami, Florid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25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 Kelly, Larry (2025년 10월 28일). Hurricane Melissa Tropical Cyclone Update (보고서). Miami, Florid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2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Kelly, Larry (2025년 10월 28일). Hurricane Melissa Tropical Cyclone Update (보고서). Miami, Florid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2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Masters, Jeff (2025년 10월 28일). “Catastrophic Hurricane Melissa hits Jamaica as the strongest landfalling Atlantic hurricane on record”. Yale Climate Connections. 202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Hurricane Melissa full coverage: 'Extremely dangerous' Category 4 storm leaves behind extensive damage in Jamaica, with several reported dead; Cuba landfall expected overnight”. Yahoo News. Pctober 28, 2025. October 28, 2025에 확인함.
- ↑ Beven, Jack (2025년 10월 28일). Hurricane Melissa Discussion Number 30 (보고서). Miami, Florid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2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Cangialosi, John (2025년 10월 24일). Tropical Storm Melissa Advisory Number 30A (보고서). Miami, Florid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25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Cangialosi, John (2025년 10월 29일). Hurricane Melissa Discussion Number 31 (보고서). Miami, Florid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25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Bucci, Lisa; Reinhart, Brad (2025년 10월 29일). Hurricane Melissa Tropical Cyclone Update (보고서). Miami, Florid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25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Papin, Philippe (2025년 10월 29일). Hurricane Melissa Discussion Number 33 (보고서). Miami, Florid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25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Yellow Level Adverse Weather Alert continues across Trinidad and Tobago”. 《www.guardian.co.tt》.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Williams, Laurel V. (2025년 10월 19일). “No incidents reported despite yellow-level weather alerts” (미국 영어). 《Trinidad and Tobago Newsday》.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La Martinique placée en vigilance jaune” (프랑스어). 《프랑스 안틸레스》. 2025년 10월 18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CBCNewsBarbados (October 19, 2025). “A Flash Flood Warning is in effect for Barbados.” – 인스타그램 경유.
- ↑ “Prime Minister Pisas Defends Decision to Close Schools Due to Weather Concerns”. 《Curaçao Chronicle》. 2025년 10월 24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Rife, Matt (2025년 10월 21일). “Tropical Storm Melissa Churns In Caribbean; Hurricane Watch Issued For Southern Haiti”. Tampa Free Press. 2025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 Papin, Phillipe (2025년 10월 23일). “Tropical Storm Melissa Intermediate Advisory Number 8A”.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 마이애미, 플로리다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Erdman, Jonathan (2025년 10월 25일). “Hurricane Melissa Forecast: Flood Danger For Jamaica, Haiti | Weather.com” (미국 영어). 《weather.com》. 2025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Papin, Philippe (2025년 10월 23일). “Tropical Storm Melissa Intermediate Advisory Number 9A”.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 마이애미, 플로리다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Kovelman, Catie (2025년 10월 23일). “Margaritaville at Sea Ship Alters Course to Avoid Latest Storm” (미국 영어). 《Cruise Hive》.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Kovelman, Catie (2025년 10월 25일). “Two Disney Ships Reroute to Avoid Hurricane Melissa” (미국 영어). 《Cruise Hive》. 2025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Travel impacts as Category 5 Hurricane Melissa nears Jamaica” (오스트레일리아 영어). 2025년 10월 28일. 202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Guemárez Soto, Andrea (2025년 10월 22일). “Emiten advertencia de inundaciones por lluvias asociadas a la tormenta tropical Melissa” [Flood warning issued due to rains associated with tropical storm Melissa]. 《엘 누에보 디아》. 2025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Tovar, Andrés (2025년 10월 24일). “Méndez: Inundaciones por Melissa serán "más y más rápido"” (스페인어). 《Cadena de Noticias》.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Juan Manuel Méndez: "En 20 años nunca había visto una tormenta tan errática como Melissa"” (스페인어). 《Listin Diaro》. 2025년 10월 24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Reilly, Kate (2025년 10월 25일). “Hurricane Melissa could be Jamaica's most powerful storm in history”. NBC News. 2025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Barrett, Livern (2025년 10월 23일). “Transport Minister says JUTC and MoBay Metro will continue to operate as long as possible amid TS Melissa”. 《자메이카 글리너》.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NWC implements tropical storm preparedness measures, customers urged to store water”. 《자메이카 글리너》. 2025년 10월 23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UWI Mona orders J'can students to leave halls as storm approaches, switches to online classes”. 《더 글리너》 (Kingston, Jamaica). 2025년 10월 23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UWI Mona postpones graduation ceremonies as Hurricane Melissa nears”. 《자메이카 글리너》. 2025년 10월 27일. 2025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 Madden, Karen (2025년 10월 23일). “Sandy Gully race against time”. 《더 글리너》 (Kingston, Jamaica).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NWC To Ensure Water Supply During TS Melissa – ZIP103 FM”. 《zipfm.net》. 2025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JUTC suspends services amid Hurricane Melissa”. 《자메이카 글리너》. 2025년 10월 27일. 2025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 Boxall, Simon (2025년 10월 23일). “Melissa's path uncertain, but Cayman prepares for possible hurricane”. 《Cayman Compass》.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CAL waives flight change fees with approach of Melissa – Cayman Islands Headline News” (영국 영어). 《Cayman News Service》. 2025년 10월 23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Bridge, Sarah (2025년 10월 25일). “Hospitality industry keeps a close eye on Tropical Storm Melissa”. 《Cayman Compass》. 2025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Rosenberg, Carol (2025년 10월 25일). “Navy Begins Evacuating Families From Guantánamo Bay Ahead of Hurricane Melissa”.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Tu Tiempo: panorama lluvioso por bandas externas de Melissa”. 《WAPA-TV》. 2025년 10월 24일. 2025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 (2025년 10월 26일). “Haiti: Tropical Storm Melissa - Flash Update No.2 (as of 25 October 2025)”. 《릴리프웹》. United Nations. 2025년 10월 27일에 확인함.
The Directorate of Civil Protection (DGPC) confirms that three people died and one was severely injured following a landslide on 23 October in Fontamara, Port-au-Prince (West).
- ↑ “What's the worst-case scenario for Jamaica as Melissa crawls through the Caribbean?”. 《워싱턴 포스트》. 2025년 10월 24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Tropical Storm Melissa lumbers through the Caribbean, killing an elderly man in Haiti” (영어). 《AP News》. 2025년 10월 23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Fernandez, Ariel; Rodriguez, Andrea; Myers Jr., John (2025년 10월 29일). “25 people die in southern Haiti after river flooded by Hurricane Melissa burst its banks, mayor says”. 《Coast Reporter》. 2025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Haiti - FLASH: Melissa has become a hurricane, 2 departments in the red, the human toll is rising (Video)”. 《HaitiLibre》. 2025년 10월 25일. 2025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Libre, Diario (2025년 10월 24일). “Tormenta Melissa deja más de un millón de hogares y negocios sin agua y 183 viviendas afectadas”. 《Diario Libre》.
- ↑ “Más de 647.000 personas sin agua en RD por Melissa” [More than 647,000 people in the Dominican Republic are without water due to the effects of Storm Melissa] (스페인어). 《엘 카리베 (도미니카 공화국)》. 2025년 10월 23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Lluvias por Melissa causan desplome parcial en hospital de Constanza” (스페인어). 《Listin Diaro》. 2025년 10월 24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Mueses, Merilenny (2025년 10월 24일). “Melissa: Confirman fallecimiento de hombre arrastrado por cañada en Sabana Perdida” (스페인어). 《Hoy Digital》.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Encarnación, Gabriela Mora (2025년 10월 24일). “Niño desaparece cuando se bañaba bajo la lluvia en Los Mameyes” (스페인어). 《CDN》.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Melissa” toca tierra en Jamaica como huracán categoría 5” (스페인어). 《El Dia》. 2025년 10월 28일. 202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https://www.lateja.cr/sucesos/huracan-melissa-deja-grandes-danos-en-guanacaste-y/4BJPBGAOJJAYJLEKJ5Y37IPCOQ/story/
- ↑ https://www.lateja.cr/sucesos/afectacion-indirecta-del-huracan-melissa-deja-un/G2IUQ7AR2BE3HCIZZ2E7SBHKMQ/story/
- ↑ “Hallan sin signos vitales a joven de 24 años reportado como desaparecido en Antón” (스페인어). 《TVN》. 2025년 10월 28일. 202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Mueren dos niñas en un río por efectos indirectos del huracán Melissa en Panamá” (스페인어). 《Agencia EFE》. 2025년 10월 28일. 202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Yahoo News 경유.
- ↑ “Panama’s Sinaproc Reports Damage in Los Santos, Veraguas, and Coclé Due to the Effects of Hurricane Melissa” (영어). 《Newsroom Panama》. 2025년 10월 28일. 202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Three deaths, 13 people injured as Jamaicans prepare for Melissa”. 《Jamaica Observer》. 2025년 10월 28일. 202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Live Updates: Hurricane Melissa Nears Jamaica as 'Catastrophic' Storm”. 《뉴욕 타임스》. 2025년 10월 27일. 2025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Hurricane Melissa making landfall within hours as power cuts hit a third of Jamaica”. 《BBC 뉴스》. 2025년 10월 28일. 202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Salmon, Shanna K. (2025년 10월 28일). “Hurricane Melissa Makes Landfall In New Hope, Westmoreland”. 《Jamaica Information Service》.
- ↑ “Hurricane Melissa live updates: category 5 storm makes landfall in Jamaica”. 《타임스》. 2025년 10월 28일. 202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Jones, Judson; Ghaffar, Nazaneen; Rodríguez Mega, Emiliano; Johnson, Jovan; Levenson, Michael (2025년 10월 28일). “Hurricane Melissa Hits Jamaica as One of the Most Powerful on Record”. 《뉴욕 타임스》. 202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Live Updates: Hurricane Melissa Makes Landfall in Cuba After Lashing Jamaica”. 《뉴욕 타임스》. 2025년 10월 29일. 2025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Reinhardt, Brad (2025년 10월 29일). Hurricane Melissa Discussion Number 32 (보고서). National Hurricane Center.
- ↑ Solomon, Lois K. (2025년 10월 27일). “Miami Heat & partners donate $1 million to Hurricane Melissa efforts: Here’s how you can help” (미국 영어). 《선 센티넬》. 2025년 10월 2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허리케인 멜리사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