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2025년 오스트레일리아 근해 사이클론
보이기
2024~2025년 오스트레일리아 근해 열대 저기압들의 이동 경로 | ||||||||||||||||
| 담당 기관 | 오스트레일리아 기상청 | |||||||||||||||
|---|---|---|---|---|---|---|---|---|---|---|---|---|---|---|---|---|
| 열대 저기압 최초 발생일 | 2024년 11월 18일 | |||||||||||||||
| 최초 발생일 | 2024년 11월 24일 | |||||||||||||||
| 소멸일 | - | |||||||||||||||
| 열대 저기압 소멸일 | - | |||||||||||||||
| 발생(명명)수 | 총합 21개 강한 사이클론:5개[1] 약한 사이클론:7개[2] 열대저기압:12개 | |||||||||||||||
| 사망자수 | 54명 | |||||||||||||||
| 재산 피해 | 15억 5,000만 달러 | |||||||||||||||
| 가장 강한 열대저기압 | 제5호 사이클론 젤리아 최저기압 927hPa 10분 최대풍속 110kt | |||||||||||||||
| 연도별 문서 | ||||||||||||||||
| 2023~2024년 | 2024~2025년 | 2025~2026년 | ||||||||||||||
| ||||||||||||||||
| ||||||||||||||||
2024~2025년 오스트레일리아 근해 사이클론(영어: 2024~2025 Australian region cyclone season)은 2024년 8월 18일에서 2025년 사이에 오스트레일리아 근해에서 발생한 사이클론을 기록한 문서이다. 총 12개의 사이클론과 13개의 열대저기압이 발생했다.
특징
[편집]시즌에 대한 설명
[편집]이 지역은 5개의 열대저기압 경보 센터(TCWC)가 감시한다. 그 5개 기구는 적도에서 11°S까지, 90°E에서 145°E 사이에서 발생한 열대저기압을 모니터링하는 인도네시아의 TCWC 자카르타, 파푸아뉴기니의 TCWC 포트모르즈비, 그리고 모든 지역을 모니터링하는 오스트레일리아 기상청의 TCWC 퍼스, TCWC 다윈, TCWC 브리즈번이다.
또한 이 시즌은 2024년 7월 1일부터 2025년 6월 30일 사이 발생하는 열대저기압들을 말한다.
참고로 오스트레일리아 근해의 TCWC들은 최대풍속 34kt 미만의 열대 저기압을 "저기압(tropical low)"이라 하므로, 원래 의미의 저기압(low pressure)과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참고로 이 문서에선 사이클론 발생 날짜를 쓰지 않고 열대요란 발생 날짜를 발생일로 쓴다.
통계
[편집]월별 사이클론 발생 개수
[편집]| -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합계 | |
|---|---|---|---|---|---|---|---|---|---|---|---|---|---|---|
| 2024-2025년 | 0
(0) |
0
(0) |
0
(0) |
0
(0) |
1
(1) |
0
(1) |
4
(5) |
3
(8) |
0
(8) |
0
(8) |
0
(8) |
0
(8) |
8 | |
| 10년 평균
(2014~2024년) |
0.1
(0.1) |
0.0
(0.1) |
0.1
(0.2) |
0.0
(0.2) |
0.5
(0.7) |
1.0
(1.7) |
1.5
(3.2) |
1.6
(4.8) |
1.9
(6.7) |
1.0
(7.7) |
0.4
(8.1) |
0.0
(8.1) |
8.1 | |
| *괄호 안의 숫자는 누적 사이클론 수임. | ||||||||||||||
타임라인
[편집]BoM
[편집]
사이클론 이름
[편집]
|
|
|
BoM
[편집]
|
|
TCWC 자카르타
[편집]
|
TCWC 포트모르즈비
[편집]
|
활동한 사이클론
[편집]제1호 약한 사이클론 로빈
[편집]| 2등급 사이클론 (BoM) | ||
|---|---|---|
| 열대폭풍 (SSHS) | ||
| 활동 기간 | 11월 18일 ~ 11월 30일 | |
| 최저 기압 | 985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30m/s (55kt; 100km/h) | |
| 태풍 피해 | 41명 사망 피해총액 21만 달러 | |
제2호 약한 사이클론 09U
[편집]| 1등급 사이클론 (BoM) | ||
|---|---|---|
| 열대저기압 (SSHS) | ||
| 활동 기간 | 1월 6일 ~ 1월 12일 | |
| 최저 기압 | 1000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20m/s (40kt; 75km/h) | |
| 태풍 피해 | - | |
제3호 강한 사이클론 션
[편집]| 4등급 강한 사이클론 (BoM) | ||
|---|---|---|
| 3등급 사이클론 (SSHS) | ||
| 활동 기간 | 1월 19일 ~ 1월 22일 | |
| 최저 기압 | 945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50m/s (95kt; 175km/h) | |
| 태풍 피해 | - | |
제4호 강한 사이클론 탈리아
[편집]| 3등급 강한 사이클론 (BoM) | ||
|---|---|---|
| 2등급 사이클론 (SSHS) | ||
| 활동 기간 | 1월 31일 ~ 2월 12일[3] | |
| 최저 기압 | 965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40m/s (75kt; 140km/h) | |
| 태풍 피해 | - | |
제5호 강한 사이클론 빈스
[편집]| 3등급 강한 사이클론 (BoM) | ||
|---|---|---|
| 3등급 사이클론 (SSHS) | ||
| 활동 기간 | 1월 31일 ~ 2월 4일[4] | |
| 최저 기압 | 967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40m/s (80kt; 150km/h) | |
| 태풍 피해 | - | |
제6호 강한 사이클론 젤리아
[편집]| 5등급 강한 사이클론 (BoM) | ||
|---|---|---|
| 4등급 사이클론 (SSHS) | ||
| 활동 기간 | 2월 7일 ~ 2월 14일 | |
| 최저 기압 | 927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55m/s (110kt; 205km/h) | |
| 태풍 피해 | - | |
제7호 강한 사이클론 비앙카
[편집]| 4등급 강한 사이클론 (BoM) | ||
|---|---|---|
| 3등급 사이클론 (SSHS) | ||
| 활동 기간 | 2월 18일 ~ 2월 27일 | |
| 최저 기압 | 958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45m/s (90kt; 165km/h) | |
| 태풍 피해 | - | |
제8호 강한 사이클론 알프레드
[편집]| 4등급 강한 사이클론 (BoM) | ||
|---|---|---|
| 4등급 사이클론 (SSHS) | ||
| 활동 기간 | 2월 20일 ~ 3월 9일 | |
| 최저 기압 | 951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45m/s (90kt; 165km/h) | |
| 태풍 피해 | 1명 사망 피해총액 7억 5,900만 달러 | |
제9호 약한 사이클론 25U
[편집]| 1등급 사이클론 (BoM) | ||
|---|---|---|
| 열대폭풍 (SSHS) | ||
| 활동 기간 | 3월 16일 ~ 3월 21일 | |
| 최저 기압 | 991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23m/s (45kt; 85km/h) | |
| 태풍 피해 | - | |
제10호 강한 사이클론 코트니
[편집]| 5등급 강한 사이클론 (BoM) | ||
|---|---|---|
| 4등급 사이클론 (SSHS) | ||
| 활동 기간 | 3월 22일 ~ 3월 29일[5] | |
| 최저 기압 | 933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55m/s (110kt; 205km/h) | |
| 태풍 피해 | - | |
제11호 약한 사이클론 다니엘
[편집]| 1등급 사이클론 (BoM) | ||
|---|---|---|
| 열대폭풍 (SSHS) | ||
| 활동 기간 | 3월 25일 ~ | |
| 최저 기압 | 988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20m/s (40kt; 75km/h) | |
| 태풍 피해 | - | |
제12호 강한 사이클론 에롤
[편집]| 4등급 강한 사이클론 (BoM) | ||
|---|---|---|
| 5등급 사이클론 (SSHS) | ||
| 활동 기간 | 4월 9일 ~ 4월 18일 | |
| 최저 기압 | 945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50m/s (100kt; 185km/h) | |
| 태풍 피해 | - | |
활동한 태풍 세력의 저압부
[편집]열대저기압 07U
[편집]| 1등급 사이클론 (BoM) | ||
|---|---|---|
| 열대폭풍 (SSHS) | ||
| 활동 기간 | 12월 22일 ~ 12월 30일 | |
| 최저 기압 | 998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18m/s (35kt; 65km/h) | |
| 태풍 피해 | - | |
열대저기압 30U
[편집]| 1등급 사이클론 (BoM) | ||
|---|---|---|
| 열대폭풍 (SSHS) | ||
| 활동 기간 | 4월 13일 ~ 4월 23일 | |
| 최저 기압 | 998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18m/s (35kt; 65km/h) | |
| 태풍 피해 | - | |
열대저기압 33U
[편집]| 1등급 사이클론 (BoM) | ||
|---|---|---|
| 열대폭풍 (SSHS) | ||
| 활동 기간 | 5월 9일 ~ 5월 12일 | |
| 최저 기압 | 1000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18m/s (35kt; 65km/h) | |
| 태풍 피해 | - | |
활동한 열대저기압
[편집]열대저기압 04U
[편집]| 열대저기압 (BoM) | ||
|---|---|---|
| 활동 기간 | 12월 4일 ~ 12월 11일 | |
| 최저 기압 | 1001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13m/s (25kt; 45km/h) | |
| 태풍 피해 | 11명 사망 | |
열대저기압 02U
[편집]| 열대저기압 (BoM) | ||
|---|---|---|
| 활동 기간 | 12월 7일 ~ 12월 13일 | |
| 최저 기압 | 998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15m/s (30kt; 55km/h) | |
| 태풍 피해 | - | |
열대저기압 06U
[편집]| 열대저기압 (BoM) | ||
|---|---|---|
| 열대저기압 (SSHS) | ||
| 활동 기간 | 12월 21일 ~ 12월 23일 | |
| 최저 기압 | 998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13m/s (25kt; 45km/h) | |
| 태풍 피해 | - | |
열대저기압 08U (디켈레디)
[편집]| 열대저기압 (BoM) | ||
|---|---|---|
| 활동 기간 | 12월 30일 ~ 1월 4일[6] | |
| 최저 기압 | 1002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13m/s (25kt; 45km/h) | |
| 태풍 피해 | - | |
열대저기압 10U
[편집]| 열대저기압 (BoM) | ||
|---|---|---|
| 활동 기간 | 1월 13일 ~ 1월 17일 | |
| 최저 기압 | 1006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13m/s (25kt; 45km/h) | |
| 태풍 피해 | - | |
열대저기압 13U
[편집]| 열대저기압 (BoM) | ||
|---|---|---|
| 활동 기간 | 1월 29일 ~ 2월 1일 | |
| 최저 기압 | 999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15m/s (30kt; 55km/h) | |
| 태풍 피해 | 1명 사망 | |
열대저기압 16U
[편집]| 열대저기압 (BoM) | ||
|---|---|---|
| 활동 기간 | 2월 2일 ~ 2월 4일[7] | |
| 최저 기압 | 1006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13m/s (25kt; 45km/h) | |
| 태풍 피해 | - | |
열대저기압 19U
[편집]| 열대저기압 (BoM) | ||
|---|---|---|
| 활동 기간 | 2월 7일 ~ 2월 11일[8] | |
| 최저 기압 | 1000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13m/s (25kt; 45km/h) | |
| 태풍 피해 | - | |
열대저기압 23U (이본)
[편집]| 열대저기압 (BoM) | ||
|---|---|---|
| 활동 기간 | 3월 5일 ~ 3월 7일[9] | |
| 최저 기압 | 1002hPa |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13m/s (25kt; 45km/h) | |
| 태풍 피해 | - | |
같이 보기
[편집]- 2024~2025년 남태평양 사이클론
- 2024~2025년 남서인도양 사이클론
- 북서태평양 태풍: 2024, 2025
- 북인도양 사이클론: 2024, 2025
- 동태평양 허리케인: 2024, 2025
- 북대서양 허리케인: 2024, 2025
외부 링크
[편집]각주
[편집]- ↑ 오스트레일리아 기준 3등급, SSHS 기준 1등급 이상의 사이클론
- ↑ 오스트레일리아 기준 1등급, SSHS 기준 열대폭풍급의 사이클론
- ↑ 2월 12일, 제3호 사이클론 탈리아가 남서인도양 해역에서 진입하였다.
- ↑ 2월 4일, 제4호 사이클론 빈스가 남서인도양 해역에서 진입하였다.
- ↑ 3월 29일, 사이클론 코트니가 남서인도양 해역에서 진입하였다.
- ↑ 1월 5일, 열대저기압 08U가 남서인도양 해역에서 진입하였고, 1월 6일, 사이클론 디켈레디로 승격되었다.
- ↑ 2월 4일, 열대저기압 16U가 남태평양 해역에서 진입하였다.
- ↑ 2월 11일, 열대저기압 19U가 남태평양 해역에서 진입하였다.
- ↑ 3월 7일, 열대저기압 23U가 남서인도양 해역에서 진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