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호조
| 다른 이름 | e호조+, 통합지방재정시스템(제도 명칭), 지방재정관리시스템 |
|---|---|
| 개발자 | 행정안전부·한국지역정보개발원(KLID) |
| 프로그래밍 언어 | 공공기관 표준 프레임워크 기반 |
| 운영 체제 | 웹 기반(클라우드) |
| 언어 | 한국어 |
| 종류 | 지방재정 관리 정보시스템(FMIS) |
| 라이선스 | 정부 전용(내부 업무용) |
e호조는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편성·집행·결산과 계약·검수·대금지급, 자산·부채·자금 및 세입세출외현금 등 지방재정 전 과정을 전자적으로 처리하는 업무 시스템의 운영·서비스명이다.[1] 법령·제도 문맥에서는 ‘통합지방재정시스템’, ‘지방재정관리시스템’이 공식 용어로 사용되고, 현장 운영·화면·교육 등에서는 e호조 또는 e호조+가 통용된다.[2][3] 2024년 1월 차세대 전면 개통으로 243개 지자체별로 분산 운영되던 기존 시스템이 클라우드 환경에서 통합되었고, 내·외부 약 1,000여 개 연계를 바탕으로 6개 서비스 축으로 재편되었다.[1]
명칭
[편집]- 제도·법령상: 통합지방재정시스템(행정안전부령, 훈령)[2][3]
- 운영·서비스상: e호조, e호조+(플러스)[1]
- 국제·영문 자료: e‑Hojo(대한민국 지방정부 FMIS)[4][5]
연혁
[편집]- 2008년: 지방재정관리시스템(e호조) 본격 도입, 전국 지자체 예산·회계의 표준 업무 시스템으로 정착.[1]
- 2022년 7월 31일: 차세대 전환 1단계(예산편성) 개통, 2023회계연도 예산부터 적용 시작(지자체 243곳·공무원 39만 명 사용 기반).[6][7]
- 2023년 1월: 2단계(예산집행, 지방보조금 포털) 가동, 상반기 주민참여예산·정책지원시스템 시범운영.[8]
- 2024년 1월: 차세대 전면 개통. 기존 e호조를 클라우드로 통합하고 6개 서비스 체계를 확정(아래 구성 참조).[1]
- 2025년: 차세대 나라장터와의 지방계약 정보 연계 성과가 공개되어 e호조+–나라장터 간 계약·검수·대금 흐름 연계가 확인되었다.[9]
구성
[편집]차세대 통합 구조는 6개 서비스로 요약된다.[1]
- e호조+: 예산집행, 계약, 자금·자산·부채·세입세출외현금 관리, 외부 연계(국가보조금(e나라도움), 교육재정(K‑에듀파인), 사회복지(행복e음), 전 지자체 금고 등).
- 보탬e: 지방보조금 전주기(선정–교부–집행–정산) 관리와 중복·부정 방지 모니터링.
- 정책도움e: 지방재정 데이터와 지역경제·사회 지표 결합을 통한 정책 분석·비교 지원.
- e호조+빌: 비대면 전자대금청구(증빙 일괄 제출 포함) 기반의 대금 청구·처리.
- 주민e참여: 주민참여예산 공모·전자투표·진행현황 공개.
- 지방재정365: 통합공시·전문통계 제공 포털.
각 구성요소의 세부 설명과 이용 시나리오는 행정안전부 보도자료와 운영지침에 정리되어 있다.[1][2] 또한 KLID 자료는 e호조+빌의 비대면 청구 절차 전환과 증빙 일괄 제출 등 구체 기능을 서술한다.[10]
업무 프로세스와 연계
[편집]표준 흐름은 기안·품의(전자결재) → 예산배정·전용 → 계약요청·체결(나라장터) → 검사·검수 → 지출결의 → 대금지급(금고 연계) → 분개·원장 반영 → 결산·공시(지방재정365)로 정형화된다.[1] e호조는 전자결재 시스템과 연계되어 지출결의 및 기안 문서 결재를 전자적으로 처리하며,[11] 차세대 나라장터와는 계약요청·체결, 검사·검수요청, 대금지급 등 지방계약 정보를 상호 연계한다.[9] 보조금 분야는 보탬e와 국고보조금 시스템(e나라도움) 간 데이터 정합성을 기반으로 중복 검증 체계가 운용된다.[1]
데이터와 공개
[편집]시스템은 예산과목·전표·분개, 계약·검수·대금, 세입·세출 원장, 자금·자산·부채, 세입세출외현금, 보조금 교부·집행·정산, 통계·공시 데이터 등 범주를 처리한다.[2] 대국민 공개는 ‘지방재정365’에서 통합공시·전문통계를 제공하며,[1] 영문 안내와 개방 API도 제공된다.[12][13]
법적 근거
[편집]통합지방재정시스템은 행정안전부령 ‘지방재정업무 처리를 위한 정보시스템의 관리·운영에 관한 규칙’과 행정안전부 훈령 ‘통합지방재정시스템 운영지침’에 근거하여 관리·운영된다.[3][2] 2022년 5월에는 ‘통합지방재정시스템 운영규정’ 제정령안이 입법예고되었다.[14]
운영·보안
[편집]차세대 전면 개통과 함께 장비 이중화, 24시간 관제, 다단계 정보보호, 일일 서비스 점검, 업무연속성계획(BCP)과 원격지 재해복구(DR) 체계가 명시되어 상시 가용성을 확보한다.[1] 운영지침은 권한·로그·자료 제출·전자대금청구·주민참여예산 등 세부 절차를 규정한다.[2]
접근성과 사용자
[편집]차세대 전환 과정에서 화면·UX 개선과 시각장애인 화면낭독기(스크린 리더) 지원이 강화되었다는 점이 공개 자료에 언급되었다.[15] 차세대 개통 이후 지자체 공무원의 대규모 동시 접속과 대량 거래 처리를 전제로 하는 업무용 플랫폼으로 운용되고 있다.[8]
성과와 지표
[편집]행정안전부는 전면 개통 시점 기준으로 계약지출금·복지급여 등 약 451조 원의 자금을 전자이체 1,600만 건 수준으로 안정 집행했고, 2024년 지방자치단체 예산 468조 원 편성이 완료되었다고 밝혔다.[1] 재정 데이터의 공개·활용은 지방재정365와 개방형 데이터 포털을 통해 확대되고 있다.[13]
장애 및 논점
[편집]2023년 11월 20일 정부 전산 장애가 발생했을 때 전자결재와 연계된 e호조 등 일부 지방 행정 시스템의 이용 불가 현상이 보고되어 연계 의존성이 부각되었다.[11] 차세대 체계는 이중화·관제·BCP·DR로 위험을 완화하도록 설계되었다.[1]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 전면 개통…투명·효율성 강화”.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행정안전부.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통합지방재정시스템 운영지침”. 《국가법령정보센터》. 법제처.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지방재정업무 처리를 위한 정보시스템의 관리·운영에 관한 규칙”. 《국가법령정보센터》. 법제처.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IFMIS & GovTech: A New Frontier in Digital Government” (PDF) (영어). 《World Bank》.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2021 IFMIS Capacity Building Program: Virtual Workshop Report” (PDF) (영어). 《World Bank》.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지방자치단체,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을 통한 예산편성 시작”. 《행정안전부》.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지방자치단체,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을 통한 예산편성 시작”. 《국가균형발전정보》.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차세대 지방재정관리 시스템…“지방 재정 투명화·효율화 기대””. 《ZDNet Korea》.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조달청 “땡큐 개발원”…차세대 나라장터 성공 구축 감사패”. 《ZDNet Korea》.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투명하고 효율적인 재정 운용을 위한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 《KLID 웹진》.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연 4500억 쏟고도 지방 행정 올스톱… “결재도 결제도 안돼””. 《조선일보》.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Local Finance Management System” (영어). 《KLID(영문)》.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OPENAPI Detail (Local Finance 365)” (영어). 《Data.go.kr》.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통합지방재정시스템 운영규정 제정령안 입법예고”. 《법제처》.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지자체,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 통한 예산편성 시작”. 《머니S》.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