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문비나무속
이 문서에는 여러 문제가 있습니다. 문서를 편집하여 수정하시거나 토론 문서에서 의견을 나눠주세요.
|
|
| ||
|---|---|---|
| 화석 범위: 발랑쟁절~현재 | ||
독일가문비나무(P. abies) | ||
| 생물 분류ℹ️ | ||
| 계: | 식물계 | |
| 문: | 구과식물문 | |
| 강: | 구과식물강 | |
| 목: | 구과목 | |
| 과: | 소나무과 | |
| 아과: | 가문비나무아과 Piceoideae Frankis | |
| 속: | 가문비나무속 Picea | |
| 모식종 | ||
| Picea abies | ||
| (L.) H. Karst. | ||
| 향명 | ||
| 종 | ||
|
| ||
가문비나무속(학명: Picea 피케아[*])은 소나무과 가문비나무아과(학명: Piceoideae 피케오이데아이[*])에 속하는 유일한 속이다. 가문비나무속은 큰키나무이며, 나무가 성숙했을 때의 수고는 약 20~60미터에 달하며, 가지와 솔방울(한국 한자: 毬果 구과)가 모여난다. 북위도 온대 또는 한대 지역에 분포한다.
특징
[편집]가문비나무가 속하는 가문비나무속 식물은 전 세계에 약 50종이 있다. 이들은 구과를 만드는 식물 중에서는 전나무에 가장 가까운데, 전나무 구과가 위로 곧추서는 반면에 가문비나무의 구과는 아래로 처지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잔가지에는 전나무에 없는 목질성 돌기들이 있고, 여기에 바늘잎이 달린다. 가문비나무속 식물들은 대부분 원추형을 이루며 자란다. 가문비나무속이 가문비나무과의 다른 속들과 구별되는 것은 가지에 있는 말뚝 모양의 소형 상록성 구조(엽침 또는 소병자[1])에 4면으로 단독으로 붙어 있는 침엽(잎)과 수분된 후 아래로 늘어진 (포린이 돌출되지 않은) 구과이다.[2] 침엽은 가지가 생긴 지 4~10년이 되면 벗겨지고 이가 나 거칠어진다. 비슷한 다른 속에서는 가지가 상당히 매끄럽다.
생태
[편집]가문비나무는 보통 산자락 모퉁이에서 많이 자라고, 낮은 곳에서는 좀처럼 눈에 띄지 않는다.
가문비나무속은 가문비나무잎말이나방(eastern spruce budworm) 같은 나비목 곤충의 먹이식물이다. 또, 아델게스속 깍지벌레(Adelges) 충영의 재료 겸 먹이로 잎과 구과가 쓰이기도 한다.
2016년 스웨덴 서부 산맥에서 과학자들은 살아있는 수종 중 세상에서 가장 장수한 것으로 추정되는 '올드 티코'(Old Tikko)라는 별명을 가진 독일가문비나무를 발견했는데, 수령이 무려 9,550년에 달한다.[3]
분류
[편집]분류계통
[편집]DNA 분석은 바늘잎의 형태와 구과에 기반한 기존의 분류체계가 잘못되었음을 보여주었다.[4][5] A 2006 study found브루어가문비나무가 초기에 해당하는 위치에 놓여져 있고, 그 다음으로 스티카가문비나무]가 있었으며[4] 다른 종들은 세 개의 계통군으로 나뉘어졌는데, 이는 가문비나무속이 북아메리카에서 기원했음을 뜻한다는 것을 2006년 연구에서 발견했다. 화석 기록에서 발견된 것 중 가문비나무속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1억 3600만 년 전, 백악기 초기 (발랑장절) 서캐나다 지층에서 나온 것이다.[6]
| |||||||||||||||||||||||||||||||||||||||||||||||||||||||||||||||||||||||||||||||||||||||||||||||||||||||||||||||||||||||||||||||||||||||||||||||||||||||||||||||||||||||||||||||||||||||||||||||||||||||||||||||||||||||||||||||
종
[편집]2022년 4월 기준[update], 플랜츠 오브 더 월드 온라인에서 37종을 승인했다.[9] 이 그룹화는 Ran et al. (2006) 논문에 기반한다.[4]
- 초기 종
- 제1 계통 (북아메리카 서북부 타이가 또는 고산지대에 서식)
- 제2 계통 (아시아 지역 도처. 대부분이 산간 지역 서식. 일부 고립 개체군은 멕시코 고지대에 서식)
- 대만가문비나무 P. morrisonicola Hayata
- 마르티네즈가문비나무 P. martinezii T. F. Patt.
- 미얀마가문비나무 P. farreriPage & Rushforth
- 모린다가문비나무 P. smithiana (Wall.) Boiss.
- 범꼬리가문비나무 P. polita (Siebold & Zucc.) Carrière
- 일본좀가문비나무 P. maximowiczii Regel ex Carrière
- 여강가문비나무 P. likiangensis (Franch.) E. Pritz.
- 윌슨가문비나무 P. wilsonii Mast.
- 사전트가문비나무 P. brachytyla (Franch.) E. Pritz.
- 시킴가문비나무 P. spinulosa (Griff.) A. Henry
- 자주가문비나무 P. purpurea Mast.
- 중앙아시아가문비나무 P. schrenkiana Fisch. & C. A. Mey.
- P. schrenkiana subsp. tianschanica (Rupr.) Bykov
- 치와와가문비나무 P. chihuahuana Martínez
- 코카서스가문비나무 P. orientalis (L.) Link
- P. neoveitchii Mast.
- 제3 계통 (대부분이 유럽·아시아·북아메리카의 타이가나 산간 지역에 서식)
- 가문비나무 P. jezoensis (Siebold & Zucc.)
- 혼도가문비나무 P. jezoensis subsp. hondoensis (Mayr) P. A. Schmidt
- P. jezoensis var. komarovii (V. N. Vassil.) W. C. Cheng & L. K. FuCarrière
- 검은가문비나무 P. mariana (Mill.) Britton et al.
- 독일가문비나무 P. abies (L.) H. Karst.
- 붉은가문비나무 P. rubens Sarg.
- 사할린가문비나무 P. glehnii (F. Schmidt) Mast.
- 세르비아가문비나무 P. omorika (Pančić) Purk.
- 소산가문비나무 P. koyamae Shiras.
- 시베리아가문비나무 P. obovata Ledeb.
- P. obovata var. alpestris (Brügger) A. Henry
- 용가문비나무 P. asperata Mast.
- 은청가문비나무 P. pungens Engelm.
- 일본가문비나무 P. alcoquiana (Veitch ex Lindl.) Carrière
- P. alcoquiana var. acicularis (Maxim. ex Beissn.) Fitschen
- P. alcoquiana var. reflexa (Shiras. & Koyama) Fitschen
- 종비나무 P. koraiensis Nakai
- 풍산가문비 P. koraiensis var. pungsanensis (Uyeki ex Nakai) Farjon
- 칭하이가문비나무 P. crassifolia Kom.
- P. meyeri Rehder & E. H. Wilson
- 가문비나무 P. jezoensis (Siebold & Zucc.)
- 하이브리드 종
- P. × hurstii De Hurst
- P. × lutzii Little
- P. × mariorika Boom
- ↑ Hart, G.T. (2018) Plants in Literature and Life: a wide-ranging dictionary of botanical terms. FriesenPress. ISBN 978-1770674417
- ↑ Lovett Pinetum. “Pine Relatives”. 2022년 1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27일에 확인함.
- ↑ “Swedish Spruce Is World's Oldest Tree: Scientific American Podcast”. 2008년 5월 27일. 2016년 8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Jin-Hua Ran; Xiao-Xin Wei; Xiao-Quan Wang (2006). “Molecular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Picea (Pinaceae): implications for phylogeographical studies using cytoplasmic haplotypes” (PDF).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41 (2): 405–419. Bibcode:2006MolPE..41..405R. doi:10.1016/j.ympev.2006.05.039. PMID 16839785. 2012년 4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Aðalsteinn Sigurgeirsson; Alfred E. Szmidt (1993). “Phylogenetic and biogeographic implications of chloroplast DNA variation in Picea”. 《Nordic Journal of Botany》 13 (3): 233–246. doi:10.1111/j.1756-1051.1993.tb00043.x.
- ↑ Ashley A. Klymiuk; Ruth A. Stockey (2012). “A Lower Cretaceous (Valanginian) seed cone provides the earliest fossil record for Picea (Pinaceae)”. 《American Journal of Botany》 99 (6): 1069–1082. doi:10.3732/ajb.1100568. PMID 22623610.
- ↑ Stull, Gregory W.; Qu, Xiao-Jian; Parins-Fukuchi, Caroline; Yang, Ying-Ying; Yang, Jun-Bo; Yang, Zhi-Yun; Hu, Yi; Ma, Hong; Soltis, Pamela S.; Soltis, Douglas E.; Li, De-Zhu; Smith, Stephen A.; Yi, Ting-Shuang 외 (2021). “Gene duplications and phylogenomic conflict underlie major pulses of phenotypic evolution in gymnosperms”. 《Nature Plants》 7 (8): 1015–1025. Bibcode:2021NatPl...7.1015S. bioRxiv 10.1101/2021.03.13.435279
|biorxiv=값 확인 필요 (도움말). doi:10.1038/s41477-021-00964-4. PMID 34282286. S2CID 232282918. - ↑ Stull, Gregory W. 외 (2021). “main.dated.supermatrix.tree.T9.tre”. Figshare. doi:10.6084/m9.figshare.14547354.v1.
- ↑ “Picea A.Dietr.”. 《Plants of the World Onlin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2년 4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