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질미왕
보이기
거질미왕
居叱彌王 | |
---|---|
금관가야 국왕 | |
재위 | 291년~346년 |
전임 | 마품왕(麻品王,馬品王) |
후임 | 이시품왕(伊尸品王) |
부왕 | 마품왕(麻品王,馬品王) |
이름 | |
휘 | 김거질미(金居叱彌) |
별호 | 금물왕(今勿王) |
시호 | 덕왕(德王) |
신상정보 | |
출생일 | 생년 미상(生年 未詳) |
사망일 | 346년 |
국적 | 금관가야(金官加耶) |
왕조 | 금관가야(金官加耶) |
가문 | 김해(金海) |
부친 | 마품왕(麻品王,馬品王) |
모친 | 호구부인(好仇夫人) |
배우자 | 아지부인(阿志夫人) |
자녀 | 이시품왕(伊尸品王) |
종교 | 불교 |
능묘 | 미상 |
거질미왕(居叱彌王, ? ~ 346년 7월 8일) 혹은 금물왕(今勿王)은 금관가야의 제4대 국왕(재위: 291년 1월 29일 ~ 346년 7월 8일)이다. 시호는 덕왕(德王)이다. 천소영(1990)은 거질미(居叱彌)를 '고마'(君·首>神)의 표기로 보았다.[1]
생애
[편집]왕비는 아지부인(阿志夫人)이며 아간(阿干) 아궁(我躬)의 손녀이다. 아궁(我躬)의 본명은 아도(我刀)이며 수로왕이 탄강할 때 맞이한 구간(九干) 중 한명이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유례 이사금 14년에 297년 가야에 조공하던 이서고국(伊西古國)이 신라 수도 금성을 공격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신라의 반격으로 이서국이 신라에 편입됐다.
가계
[편집]
전 임 마품왕 |
제4대 가락국의 국왕 291년 1월 29일 ~ 346년 7월 8일 |
후 임 이시품왕 |
같이 보기
[편집]- ↑ 천소영, 《고대국어의 어휘연구》, 고려대 민족문제연구소, 1990, 12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