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검은머리올빼미원숭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검은머리올빼미원숭이
검은머리올빼미원숭이
검은머리올빼미원숭이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영장목
아목: 직비원아목
하목: 원숭이하목
소목: 광비원소목
과: 올빼미원숭이과
속: 올빼미원숭이속
종: 검은머리올빼미원숭이
(A. nigriceps)
학명
Aotus nigriceps
(Dollman, 1909)
검은머리올빼미원숭이의 분포 지역

검은머리올빼미원숭이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검은머리올빼미원숭이(Aotus nigriceps)는 남아메리카에 사는 올빼미원숭이의 일종이다.[2] 볼리비아브라질, 콜롬비아 그리고 페루에서 발견된다.[1] 페루의 검은머리올빼미원숭이는 특히 훼손된 지역에 서식했으며, 이러한 지역은 인간 활동이나 생태계의 자연적 현상으로 인해 종종 교란되었다.[3] 검은머리올빼미원숭이는 작은 다람쥐와 크기가 비슷하며 털에 가려진 작은 귀를 가지고 있다. 성체가 되면 약 750g이고 보통 생후 약 14개월이다. 검은머리올빼미원숭이는 이마에서 만나는 세 개의 검은 줄무늬가 있다. 눈과 뺨, 입 아래에 흰색 반점이 있다. 눈이 매우 크고 갈색이다.[4]

번식

[편집]

새로 태어난 새끼의 몸무게는 보통 90~150g이다. 수컷은 생후 2년, 암컷은 생후 3~4년경에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8월부터 2월 사이에 낳고 암컷은 매년 새끼를 한 마리만 낳는다. 수컷은 새끼의 주된 양육자이다. 암컷은 새끼가 태어난 지 약 2주 후부터 발이나 꼬리를 물기 시작하여 새끼가 수컷과 함께 이동하고, 약 8주 후에는 새끼를 떠나기 시작한다.[4]

습성

[편집]

검은머리올빼미원숭이는 작은 가족 단위로 생활한다. 수컷은 다른 수컷을, 암컷은 다른 암컷을 공격한다. 이러한 공격은 5분에서 30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이들이 공격하는 이유는 영역 확보이다. 공격에서 이긴 쪽은 영역과 진 쪽의 새끼를 모두 차지하게 된다.[4]

먹이

[편집]

검은머리올빼미원숭이는 과실을 먹는 동물로 간주된다. 주로 잎과 꽃, 나방, 딱정벌레, 거미를 먹는다.[4]

이름

[편집]

브라질 혼도니아주 콰자어에서는 아우시시티(ausisiti)라고 불리며[5] 페루 샤위어에서는 누누(nu’nu')라고 불린다.[6]

기생충

[편집]

검은머리올빼미원숭이는 말라리아원충 플라스모디움 브라실리아눔(Plasmodium brasilianum)에 감염된다.[7] 플라스모디움 브라실리아눔은 아라우조 등(2013년)이 검은머리올빼미원숭이에서 처음 발견했다.[7]

각주

[편집]
  1. “Aotus nigriceps” (영어).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1월 2일에 확인함. 
  2.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세계의 포유류 종: 분류학적 및 지리적 참고 자료》 3판 (영어).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40-141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3. Helenbrook, William. D.; Wilkinson, Madison L.; Suarez, Jessica A. (2020년 3월). “Habitat use, fruit consumption, and population density of the black-headed night monkey, Aotus nigriceps, in southeastern Peru”. 《Acta Amazonica》 50 (1): 37–43. doi:10.1590/1809-4392201900172. ISSN 1809-4392. 
  4. Davis, Adam. “Aotus nigriceps black-headed night monkey”.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5. Manso, Laura Vicuña Pereira. 2013. Dicionário da língua Kwazá. M.A. dissertation. 구아자라미링: 혼도니아 연방대학교.
  6. Rojas-Berscia, Luis Miguel. 2019. From Kawapanan to Shawi: Topics in language variation and change. Doctoral dissertation, Radboud University Nijmegen.
  7. Pina-Costa, Anielle de; Brasil, Patrícia; Santi, Sílvia Maria Di; Araujo, Mariana Pereira de; Suárez-Mutis, Martha Cecilia; Santelli, Ana Carolina Faria e Silva; Oliveira-Ferreira, Joseli; Lourenço-de-Oliveira, Ricardo; Daniel-Ribeiro, Cláudio Tadeu (2014). “Malaria in Brazil: what happens outside the Amazonian endemic region”. 《Memórias do Instituto Oswaldo Cruz》 (FapUNIFESP (SciELO)) 109 (5): 618–633. doi:10.1590/0074-0276140228. ISSN 0074-0276. PMC 4156455. PMID 25185003. S2CID 14370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