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 (심리학)
![]() | |
---|---|
![]() | |
빈센트 반 고흐의 〈영원의 문〉(1890) | |
진료과 | 정신건강의학, 심리학 |
투약 | 항우울제, 진통제 |
심리학에서의 고통(苦痛)은 심리적, 비물리적 원인의 불쾌한 느낌(고통)을 가리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심리적 고통(psychological pain), 정신적 고통(mental pain) 또는 정서적 고통(emotional pain)으로 일컫는다. 에드윈 슈나이드먼(Edwin S. Shneidman)은 이것을 "인간으로서 얼마나 많은 상처를 입었는가? 이것은 정신적 수난이자 정신적 고통 "이라고 설명했다.[1]
심리적 고통을 정의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은 없다. 또한 다른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인간 삶의 심적 특정 측면을 강조하게 된다. 기술적인 용어에서 심리통증 또는 정신성통증(algopsychalia 또는 psychalgia)이 포함되지만[2] 정신성동통,[3][4] 정서적 수난,[5] 정신적 고통(psychic pain),[6][7] 사회적 고통,[8] 영적 또는 영혼의 고통(spiritual 또는 soul pain)이라고도 한다.[9] 또는 단순히 '고통'으로 언급되기도 한다.[10][11] 이러한 용어들은 분명히 동등한 용어는 아니지만, 심리적 고통, 정신적 고통, 정서적 고통 및 괴로움과 수난에 대한 이론과 모델을 체계적으로 비교한 결과 각각이 똑같이 심하게 불쾌한 감정(unpleasant feeling,pain)을 묘사한다고 결론지었다.[12] 심리적 고통은 인간 존재의 피할 수 없는 양상으로 여겨진다.[13]
심리학적으로 심리적 고통에 대한 다른 설명은 "자아의 부정적인 변화와 부정적인 감정을 수반하는 기능에 대한 인식으로 특징 지어지는 광범위한 주관적 경험"이다.[14] 또는 "확장된 주관적 경험 ... 종종 국소적이고 유해한 신체 자극과 관련이 있다".[15] 또는 "자기의 무능력 또는 결핍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로 인한 지속되고 지속 가능하지 않은 불쾌한 느낌 "[12]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심적 고통
[편집]심리학적으로 심적 고통(괴로움)은 반성, 성찰, 성숙의 주요한 요인이 될수있다는점에서 언급하고있다. 그러나 많은 심리학자들은 이러한 고통이 보다 나은 삶을 위한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순기능적인 면과 함께 자신과 타인의 삶에 불안정한 요인을 제공할수도 있는 역기능적인 측면도 함께 언급하고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Shneidman ES (1996). 〈Appendix A Psychological Pain Survey〉. 《The Suicidal Mind》. Oxford University Press. 173쪽. ISBN 9780195118018.
- ↑ Psychalgia: mental distress. Merriam-Webster's Medical Dictionary. But see also psychalgia in the sense of psychogenic pain.
- ↑ Weiss E (1934). “Bodily pain and mental pai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15: 1–13.
- ↑ Orbach I, Mikulincer M, Gilboa-Schechtman E, Sirota P (2003). “Mental pain and its relationship to suicidality and life meaning”. 《Suicide & Life-Threatening Behavior》 33 (3): 231–41. doi:10.1521/suli.33.3.231.23213. PMID 14582834.
- ↑ Bolger EA (1999). “Grounded theory analysis of emotional pain”. 《Psychotherapy Research》 9 (3): 342–62. doi:10.1080/10503309912331332801 (년 이후로 접속 불가 2025-07-12).
- ↑ Joffe WG, Sandler J (1967). “On the concept of pain, with special reference to depression and psychogenic pai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1 (1): 69–75. doi:10.1016/0022-3999(67)90058-X. PMID 6049033.
- ↑ Shattell MM (May 2009). “Why does "pain management" exclude psychic pain?” (PDF).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30 (5): 344. doi:10.1080/01612840902844890. PMID 19437255. S2CID 29799238.
- ↑ Macdonald G, Leary MR (March 2005). “Why does social exclusion hur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physical pain” (PDF). 《Psychological Bulletin》 131 (2): 202–23. doi:10.1037/0033-2909.131.2.202. PMID 15740417. S2CID 10540325. 2014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Spiritual pain: 60,000 Google results. Soul pain: 237,000 Google results.
- ↑ Morse JM (September 2001). “Toward a praxis theory of suffering”. 《Advances in Nursing Science》 24 (1): 47–59. doi:10.1097/00012272-200109000-00007. PMID 11554533.
- ↑ Rehnsfeldt A, Eriksson K (September 2004). “The progression of suffering implies alleviated suffering”.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18 (3): 264–72. doi:10.1111/j.1471-6712.2004.00281.x. PMID 15355520.
- ↑ 가 나 Meerwijk EL, Weiss SJ (2011). “Toward a unifying definition of psychological pain”. 《Journal of Loss & Trauma》 16 (5): 402–12. doi:10.1080/15325024.2011.572044. S2CID 144462525.
- ↑ Wille RS (2011). “On the capacity to endure psychic pain”. 《The Scandinavian Psychoanalytic Review》 34: 23–30. doi:10.1080/01062301.2011.10592880. S2CID 144997538.
- ↑ Orbach I, Mikulincer M, Sirota P, Gilboa-Schechtman E (2003). “Mental pain: a multidimensional operationalization and definition”. 《Suicide & Life-Threatening Behavior》 33 (3): 219–30. doi:10.1521/suli.33.3.219.23219. PMID 14582833.
- ↑ Mee S, Bunney BG, Reist C, Potkin SG, Bunney WE (December 2006). “Psychological pain: a review of evidence”.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40 (8): 680–90. doi:10.1016/j.jpsychires.2006.03.003. PMID 16725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