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축


골축(骨軸, ossicone)은 기린, 수컷 오카피, 그리고 일부 멸종된 친척들의 머리에 있는 기둥 모양 또는 원뿔형의 피부로 덮인 뼈 구조이다. 골축은 표면적으로 유사한 뿔과 녹용 구조와는 독특한 발달과 영구적인 피부와 털 덮개로 구별된다.
구조
[편집]기린 골축은 혈관이 풍부하고 신경이 분포된 뼈 핵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찬가지로 혈관과 신경이 분포된 피부로 덮여 있다.[1] 이들은 혈관과 신경이 분포된 결합 조직으로 두개골에 붙어 있다.[1] 골축은 임신 후기에 형성되지만, 초기 발달 단계에서는 뼈가 아니며 아직 두개골과 융합되지 않는다. 골축은 보통 성적으로 성숙했을 때 두개골과 융합된다.[1][2]
모든 수컷과 암컷 기린은 두개골의 두정골에 한 쌍의 두정 골축을 가지고 있다.[3] 수컷은 또한 일반적으로 북쪽 개체군에서 더 크고 남쪽 기린에서는 더 작은 단일 중앙 골축을 전두골에 가지고 있다.[3] 기린은 또한 후두골에 작은 추가적인 쌍을 이룬 후두 골축, 눈과 관련된 쌍을 이룬 안와 골축, 그리고 무대칭 골축을 가질 수 있다.[3]
기린의 경우, 수컷과 암컷 골축은 구조와 목적이 다르다 (성적 이형성의 발현). 수컷은 일반적으로 더 두꺼운 골축을 가지며, 잦고 강도 높은 목치기로 인해 위쪽이 벗겨진다.[4] 오카피의 경우, 수컷의 골축은 머리에 비해 작고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져 기린의 비교적 뭉툭한 골축보다 더 날카로운 점을 형성한다. 암컷 기린은 골축이 퇴화했지만, 암컷 오카피는 골축이 전혀 없다.
기린과 오카피의 멸종된 친척들의 골축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일부 종은 한 쌍이 아닌 두 쌍의 골축을 가졌고(예: 기라포케릭스), 일부는 거친 질감(예: 산시테리움), 일부는 크고 평평한 골축을 가졌다(예: 수컷 프로리비테리움).
기능
[편집]뿔이나 녹용을 가진 종들과 마찬가지로, 수컷 기린은 싸움 중에 골축을 무기로 사용하며, 머리를 몽둥이처럼 사용한다. 골축은 무게를 더하고 충격력을 작은 영역에 집중시켜 더 높은 접촉 압력으로 더 강한 타격을 가할 수 있게 한다.[4] 골축의 신경 다발과 풍부한 혈액 공급은 일부 연구자들이 이 구조가 체온 조절에도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추측하게 만들었다.[1]
예시
[편집]골축은 기린과 (기린, 오카피 및 멸종된 친척이 속하는)와 전적으로 멸종된 클리마코케라티과를 포함하는 기린상과의 일부 구성원에서만 발견된다.[5] 화석에서 알려진 소위 골축이 실제로는 뿔이라고 주장되었지만, 후속 연구는 이 구조가 기린과 오카피의 골축과 일치함을 보여주었다.[6] 다음은 일부 골축을 가진 속의 목록이다:
- †브라마테리움 (2쌍)
- †데켄나테리움 (1쌍)
- 기린 (1쌍)
- †기라포케릭스 (2쌍)
- †호나노테리움 (1쌍)
- †인자나테리움 (2쌍) – 머리에 대해 수평으로 각을 이룸
- †미틸라노테리움 (1쌍)
- 오카피 (1–0쌍) – 암컷은 골축이 없음
- †팔레오트라구스 (1–0쌍) – 일부 종은 골축이 없었음
- †사모테리움 (1쌍)
- †산시테리움 (1쌍)
- †시바테리움 (2쌍)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Ganey, Tim; Ogden, John; Olsen, John (1990). 《Development of the giraffe horn and its blood supply》 (영어). 《The Anatomical Record》 227. 497–507쪽. doi:10.1002/ar.1092270413. ISSN 1097-0185. PMID 2393101. S2CID 31065446.
- ↑ Nasoori, A (2020). 《Formation, structure, and function of extra-skeletal bones in mammals》. 《Biological Reviews》 95. 986–1019쪽. doi:10.1111/brv.12597. PMID 32338826. S2CID 216556342.
- ↑ 가 나 다 Spinage, C. A. (1968). 《Horns and Other Bony Structures of the Skull of the Giraffe, and Their Functional Significance》 (영어). 《African Journal of Ecology》 6. 53–61쪽. Bibcode:1968AfJEc...6...53S. doi:10.1111/j.1365-2028.1968.tb00900.x. ISSN 1365-2028.
- ↑ 가 나 Geist, Valerius (1966). 《The Evolution of Horn-Like Organs》. 《Behaviour》 27. 175–214쪽. doi:10.1163/156853966x00155.
- ↑ Hadar Picture Gallery. An ossicone of the extinct, giant, short-necked giraffe. University of Washington.
- ↑ Solounias, N (1988). 《Prevalence of Ossicones in Giraffidae (Artiodactyla, Mammalia)》. 《Journal of Mammalogy》 69. 845–8쪽. doi:10.2307/1381645. JSTOR 1381645.
더 읽어보기
[편집]- Hou, Sukuan; Danowitz, Melinda; Sammis, John; Solounias, Nikos (2014). 《Dead ossicones, and other characters describing Palaeotraginae (Giraffidae; Mammalia) based on new material from Gansu, Central China》. 《Zitteliana》 32. 91–8쪽.
- Solounias, N; Moelleken, S. M. C (1991).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Ossicones in Giraffokeryx punjabiensis (Giraffidae, Mammalia)》. 《Journal of Mammalogy》 72. 215–7쪽. doi:10.2307/1382004. JSTOR 1382004.
- Churcher, Charles S (1990). 〈Cranial Appendages of Giraffoidea〉. 《Horns, Pronghorns, and Antlers》. 180–94쪽. doi:10.1007/978-1-4613-8966-8_5. ISBN 978-1-4613-8968-2.
- Davis, E. B; Brakora, K. A; Lee, A. H (2011). 《Evolution of ruminant headgear: A review》.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78. 2857–65쪽. doi:10.1098/rspb.2011.0938. JSTOR 41315010. PMC 3151718. PMID 21733893.
- 요약은 다음과 같다: “Ruminant headgear: Antlers, horns, ossicones and pronghorns may offer medical clues”. 《ScienceDaily》. 2010년 7월 10일.
- Danowitz, Melinda; Barry, John C; Solounias, Nikos (2017). 《The earliest ossicone and post-cranial record of Giraffa》. 《PLOS ONE》 12. e0185139쪽. Bibcode:2017PLoSO..1285139D. doi:10.1371/journal.pone.0185139. PMC 5605118. PMID 28926638.
- Ríos, María; Sánchez, Israel M; Morales, Jorge (2017). 《A new giraffid (Mammalia, Ruminantia, Pecora) from the late Miocene of Spain, and the evolution of the sivathere-samothere lineage》. 《PLOS ONE》 12. e0185378쪽. Bibcode:2017PLoSO..1285378R. doi:10.1371/journal.pone.0185378. PMC 5665556. PMID 29091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