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전자 배증소자
보이기
광전자 배증소자 또는 포토멀티플라이어(photomultiplier)는 입사 광자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광전자 배증소자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광전 증폭관, 입사 광자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진공관. 광전 증폭관(줄여서 PMT)은 진공관의 한 종류이며, 특히 전자기 스펙트럼의 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 영역에서 극도로 민감한 빛 감지기인 진공 광전관이다.
- 자기 광전자 증배관, 1930년대에 소련에서 개발되었다.
- 정전 광전자 증배관, 1930년대 후반 프린스턴의 RCA 연구소의 얀 라흐만이 시연한 광전 증배관의 한 종류로, 모든 미래의 상업용 광전 증배관의 표준이 되었다. 최초의 대량 생산 광전 증배관인 Type 931은 이 설계로 만들어졌으며 오늘날에도 상업적으로 생산되고 있다.[1]
- 실리콘 광전자 증배관, 입사 광자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고체 장치. 문헌에서 종종 "SiPM"이라고 불리는 실리콘 광전자 증배관은 일반적인 실리콘 기판에 구현된 단일광자 검출소자(SPAD)를 기반으로 하는 반도체 단일 광자 감지 장치이다.[2][3]
각주
[편집]- ↑ J. Rajchman and E.W. Pike, RCA Technical Report TR-362, "Electrostatic Focusing in Secondary Emission Multipliers," September 9, 1937.
- ↑ Détecteurs SiPM
- ↑ Silicon Photom ultiplier Technology at STMicroelectronics From SPAD to SiPM
| |
이 문서는 명칭이 같고 같은 종류에 속하는 여러 대상을 연결하는 색인 문서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