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의 행정 구역
보이기
구미시의 행정 구역은 3읍 5면 17행정동 30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산읍 및 고아읍, 산동읍과 5개의 면은 통합 이전의 선산군 지역으로, 통합 당시에는 선산읍과 7개의 면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지도
[편집]행정 구역
[편집]읍·면
[편집]| 명칭 | 면적 (km2) |
인구 (명) |
관할 리 |
|---|---|---|---|
| 선산읍(善山邑) | 66.98 | 17,510 | 완전리(莞田里), 동부리(東部里), 노상리(路上里), 이문리(里門里), 죽장리(竹杖里), 봉곡리(鳳谷里), 포상리(浦上里), 소재리(所才里), 내고리(內古里), 북산리(北山里), 습례리(習禮里), 봉남리(鳳南里), 교리(校里), 화조리(花鳥里), 원리(院里), 독동리(禿洞里), 생곡리(生谷里), 신기리(新基里) |
| 고아읍(高牙邑) | 63.82 | 31,599 | 관심리(官心里), 이례리(伊禮里), 오로리(吾老里), 대망리(大望里), 파산리(巴山里), 신촌리(新村里), 황산리(凰山里), 횡산리(橫山里), 외예리(外乂里), 내예리(內乂里), 원호리(元湖里), 문성리(文星里), 다식리(多食里), 괴평리(槐坪里), 송림리(松林里), 봉한리(鳳漢里), 항곡리(項谷里), 예강리(禮江里) |
| 산동읍(山東邑) | 59.33 | 4,147 | 동곡리(東谷里), 도중리(道中里), 적림리(積林里), 성수리(星水里), 신당리(新堂里), 봉산리(鳳山里), 임천리(林泉里), 인덕리(仁德里), 백현리(栢峴里), 송산리(松山里) |
| 도개면(桃開面) | 60.90 | 2,911 | 가산리(加山里), 동산리(東山里), 용산리(龍山里), 월림리(月林里), 신곡리(新谷里), 궁기리(宮基里), 도개리(道開里), 신림리(新林里), 다곡리(多谷里) |
| 장천면(長川面) | 58.14 | 3,939 | 상장리(上場里), 신장리(新長里), 하장리(下場里), 상림리(上林里), 금산리(錦山里), 오로리(五老里), 묵어리(默語里), 여남리(汝南里), 명곡리(明谷里) |
| 무을면(舞乙面) | 44.67 | 2,487 | 송삼리(松三里), 오가리(五佳里), 상송리(上松里), 무수리(無愁里), 안곡리(安谷里), 무등리(茂等里), 원리(院里), 백자리(栢子里), 웅곡리(熊谷里), 무이리(武夷里) |
| 해평면(海平面) | 69.21 | 5,786 | 낙성리(洛成里), 해평리(海平里), 오상리(五相里), 문량리(文良里), 괴곡리(槐谷里), 금산리(金山里), 도문리(道文里), 월호리(月湖里), 금호리(金湖里), 창림리(昌林里), 송곡리(松谷里), 산양리(山陽里), 월곡리(月谷里), 낙산리(洛山里), 일선리(一善里) |
| 옥성면(玉城面) | 66.65 | 2,178 | 초곡리(草谷里), 농소리(農所里), 주아리(注兒里), 구봉리(九鳳里), 옥관리(玉冠里), 산촌리(山村里), 태봉리(台峰里), 대원리(大院里), 덕촌리(德村里) |
동
[편집]| 행정동 | 면적 (km2) |
인구 (명) |
관할 법정동 |
|---|---|---|---|
| 송정동(松亭洞) | 1.32 | 21,926 | 송정동(松亭洞) |
| 원평동(元坪洞) | 2.39 | 10,384 | 원평동(元坪洞) (일부) |
| 지산동(芝山洞) | 4.88 | 3,977 | 지산동(芝山洞), 양호동(陽湖洞) (일부) |
| 도량동(道良洞) | 3.72 | 35,116 | 도량동(道良洞) |
| 선주원남동(善州元南洞) | 28.12 | 32,108 | 원평동(元坪洞) (일부), 봉곡동(蓬谷洞), 부곡동(釜谷洞), 선기동(善基洞), 수점동(水店洞), 남통동(南通洞) |
| 형곡1동(荊谷1洞) | 2.30 | 17,939 | 형곡동(荊谷洞) |
| 형곡2동(荊谷2洞) | 2.56 | 24,241 | |
| 신평1동(新坪1洞) | 1.18 | 5,555 | 신평동(新坪洞) (일부) |
| 신평2동(新坪2洞) | 0.30 | 3,995 | 원평동(元坪洞) (일부), 신평동(新坪洞) (일부), 공단동(工團洞) (일부) |
| 비산동(飛山洞) | 1.63 | 4,870 | 비산동(飛山洞), 공단동(工團洞) (일부) |
| 공단동(工團洞) | 12.53 | 9,582 | 공단동(工團洞) (일부) |
| 광평동(廣坪洞) | 1.83 | 3,144 | 광평동(廣坪洞) |
| 상모사곡동(上毛沙谷洞) | 5.72 | 29,052 | 상모동(上毛洞), 사곡동(沙谷洞), 임은동(林隱洞) (일부) |
| 임오동(林吳洞) | 6.99 | 16,238 | 임은동(林隱洞) (일부), 오태동(吳太洞) |
| 인동동(仁同洞) | 20.53 | 53,169 | 인의동(仁義洞), 황상동(凰顙洞), 신동(新洞), 구평동(九坪洞) |
| 진미동(眞美洞) | 8.72 | 21,944 | 진평동(眞坪洞), 시미동(侍美洞), 임수동(臨洙洞) |
| 양포동(陽浦洞) | 21.83 | 25,618 | 양호동(陽湖洞) (일부), 구포동(龜浦洞), 금전동(金田洞), 거의동(居依洞), 옥계동(玉溪洞) |
연혁
[편집]- 1978년 2월 15일 : 선산군 구미읍과 칠곡군 인동면이 구미시로 승격하였다. (행정동 - 공단동, 도산동, 비산동, 사곡동, 상모동, 선주동, 송정동, 신구동, 신시동, 신평1동, 신평2동, 양계동, 원남동, 원평1동, 원평2·3동, 인동동, 임은동, 진미동, 포전동)
- 1983년 2월 15일 : 칠곡군 북삼면 오태동을 편입하였다. 또한 양계동과 포전동이 양포동으로, 신구동과 인동동이 인동동으로 통합하였으며, 임은동이 임오동으로 개칭하였다.
- 1990년 1월 1일 : 공단동을 공단1동과 공단2동으로 분동하였으며, 신시동을 형곡동으로 개칭하였다.
- 1995년 1월 1일 : 구미시와 선산군이 합병되어 통합 구미시가 출범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선산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95년 3월 1일 : 도산동을 도량동과 지산동으로 분동하였다.
- 1997년 11월 1일 : 고아면이 고아읍으로 승격하였다.
- 1999년 3월 2일 : 사곡동과 상모동이 상모사곡동으로, 선주동과 원남동이 선주원남동으로 통합했으며, 원평2·3동을 원평2동으로 개칭하였다.
- 2021년 1월 1일 : 산동면이 산동읍으로 승격하였으며, 비산동과 공단1동이 비산동으로 통합되고 공단2동이 공단동으로 개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