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국군경리총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왕 폐하의 국군 경리 총감
His Majesty's Paymaster of the Forces
초대 국군경리총감을 지낸 스티븐 폭스 경(1627–1716)
경칭The Right Honourable
소속영국 내각 북부부
소재지런던 웨스트민스터 궁전
임명자영국 국왕
(영국 총리의 추천)
임기 길이고정임기 없음
초대 재임자스티븐 폭스
형성1661년 3월 18일
폐지1836년 12월 1일
후신경리총감 (Paymaster General)

국군경리총감(영어: Paymaster of the Forces)은 17세기~19세기영국 정부의 직책이다. 찰스 2세왕정 복고를 이룬 지 1년 후인 1661년에 신설되었으며, 잉글랜드 공화국 시절 올리버 크롬웰이 개량했던 영국 육군의 재정업무를 일부 담당하였다.

윌리엄 4세 재위 말기인 1836년에 폐지되었으며, 경리총감 (Paymaster General)이란 직책으로 대체되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정식 직함은 '국왕 폐하의 국군 경리총감' (Paymaster-General of His Majesty's Forces)이었다.

역사

[편집]

직책과 위상

[편집]

초대 국군경리총감으로 임명된 인물은 잉글랜드 왕국의 행정가 스티븐 폭스 (1627년~1716년)로, 당시 프랑스 왕국 망명길에 올라 찰스 2세 국왕의 측근으로 남아 있었다. 과거 잉글랜드에는 상비군이 따로 없고 작전에 따라 임시로 전시경리관을 임명하는 것이 관례였으며 이는 잉글랜드 내전 시기에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1660년 잉글랜드 왕정복고가 이루어지면서 경리관이라는 직책의 위상이 변화하였다.

1692년 경리총감으로 임명된 제1대 라넬라 백작 리처드 존스잉글랜드 추밀원 의원으로 처음 임명된 이래 역대 모든 경리총감은 추밀원의 일원이 되었다. 경리총감을 두 명을 둘 때에도 최소 한 명은 추밀원 의원으로 임명되었다. 앤 여왕 즉위 이래 경리총감은 내각이 바뀌면서 함께 교체되는 모습을 보였다.

18세기에 이르러서는 정치적인 보상으로서 임명되는 인물들이 많았으며, 하원의원 경력에 기반하여 임명될 수 있는 직책 가운데 가장 많은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직책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경리총감에 임명된다는 것은 오로지 능력만 본 것이 아니라 정치적 소속에 따르는 경우가 많았다. 18세기~19세기 초에는 아예 정부내각의 한 직책으로 편입되는 경우도 있었으며, 훗날 영국 총리직에 오르는 인물들 가운데 경리총감을 역임한 사람이 많다.[1]

국군경리총감은 1836년에 폐지되었고, 경리총감 (Paymaster General)로 대체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역할

[편집]
영국 런던 화이트홀의 관저인 호스 가드는 국군경리총감이 머무르던 곳이다. 1732년 재건되어 1939년까지 경리총감의 집무실로 사용되었다.[2]

은행 체계가 발달하지 못한 시절 경리총감의 임무는 국군의 유일한 사설 은행가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 의회가 통과시킨 군비예산을 국고에서 지급받는 역할이 주를 이루었으며, 오래된 군수품을 판매하는 등의 여러 경로로 거둔 수입도 관리하였다. 이렇게 확보한 수입은 국군 통상지출을 위한 국왕의 보증서와 긴급지출 (의회의 통상예산 범위를 벗어난 경비)를 위한 재무부 보증서에 기반하여 본인이 직접 나서거나, 대리를 시켜 지출하는 역할도 맡았다.[1]

경리총감은 공적 자금이 본인의 수중에 있는 동안, 다시 말해 수령일로부터 최종 결산(회계감사에 따른 정산)이 이뤄지는 기간 동안 해당 자금에 대해 개인적인 책임을 무제한으로 지도록 되어 있었으며, 실질적으로는 개인 재산으로서 책임을 졌다. 조금이라도 정산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시간적 제한 없이 책임을 지속하도록 되었으며, 본인이 사망할 시에는 상속인과 법적 대리인에게 승계되도록 했다.

국군경리총감의 임명은 국왕이 국새를 직인한 특허증에 따라 이루어졌다. 특허에 따른 경리총감의 연봉은 1661년~1680년 기준 400파운드였고, 그 이후에는 하루 20실링, 1702년~1707년에는 하루 10실링으로 고정되었다.[3]

역대 군대 급여관 목록

[편집]
초상화 이름 임기 정부 군주
(재위 기간)
스티븐 폭스[note 1] 1661년 3월 18일[3] 1676년 2월 9일[3] 클라렌던

카발


댄비 1기


찰스 2세
(1660–1685)
제3대 준남작 헨리 퍼커링 1676년 2월 9일[3] 1679년 5월 23일[3] 댄비 1기
스티븐 폭스 1679년 5월 23일[3] 1680년 1월 3일[3] 치츠
니컬러스 존슨[note 2] 1680년 1월 3일[3] 1682년 4월 20일[3]
(존슨 사)
1682년 4월 28일[3]
찰스 폭스[note 3] 1682년 4월 28일[3] 1685년 12월 26일[3]
제1대 라넬라 백작 리처드 존스 1685년 12월 26일[3] 1702년 12월 22일[3]
제임스 2세
(1685–1688)
카마던-할리팩스

카마던


휘그 전토 1기


펨브로크


윌리엄 3세메리 2세
(1689–1694)
윌리엄 3세
(1694–1702)
고돌핀-말버러

(1702–1714)
존 그러브햄 하우
(본토 군대)
찰스 폭스 (1702–05)
제임스 브리지스 (1705–13)
토머스 무어 (1713–14)
(해외 군대)
1702년 12월 22일[3] 1714년 10월 3일[3]
옥스퍼드-볼링브룩
로버트 월폴 1714년 10월 3일[3] 1715년 10월 17일[3] 타운젠드

스태넙-선덜랜드 1기


스태넙-선덜랜드 2기


조지 1세
(1714–1727)
제7대 링컨 백작 헨리 클린턴 1715년 10월 17일[3] 1720년 6월 11일[3]
로버트 월폴 1720년 6월 11일[3] 1721년 4월 19일[3]
제4대 콘월리스 남작 찰스 콘월리스 1721년 4월 19일[3] 1722년 1월 20일[3] 월폴-타운젠드
제1대 윌밍턴 백작 스펜서 콤프턴
(1728년부터 윌밍턴 남작)
1722년 3월 15일[3] 1730년 5월 15일[3]

조지 2세
(1727–1760)
헨리 펠럼 1730년 5월 15일[3] 1743년 12월 24일[3] 월폴

카터렛

토머스 위닝턴 1743년 12월 24일[3] 1746년 4월 23일 범 연립내각
윌리엄 피트 디 엘더 1746년 5월 7일[3] 1755년 12월 16일[3]
뉴캐슬 1기

더플린
제1대 달링턴 백작 헨리 베인
더플린 자작 토머스 헤이
1755년 12월 16일[3] 1756년 12월 8일[3]
더플린 자작 토머스 헤이
토머스 포터
1756년 12월 8일[3] 1757년 7월 15일[3] 피트-데번셔

1757년 과도내각

제1대 홀랜드 남작 헨리 폭스 1757년 7월 15일[3] 1765년 6월 12일[3] 피트-뉴캐슬

조지 3세
(1760–1820)
[note 4]
뷰트

그렌빌

찰스 타운젠드 1765년 6월 12일[3] 1766년 8월 21일[3] 그렌빌

로킹엄 1기


채텀


노스
노스 경 프레더릭 노스
조지 쿡
1766년 8월 21일[3] 1767년 12월 9일[3] //

타운젠드
조지 쿡
제1대 시드니 자작 토머스 타운젠드
1767년 12월 9일[3] 1768년 6월 5일[3]
(쿡 사망)
1768년 6월 17일[3]
리처드 리그비 1768년 6월 17일[3] 1782년 4월 10일[3] //

그래프턴


노스

에드먼드 버크 1782년 4월 10일[3] 1782년 8월 1일[3] 로킹엄 2기
아이작 바레 1782년 8월 1일[3] 1783년 4월 16일[3] 셸번
에드먼드 버크 1783년 4월 16일[3] 1784년 1월 8일[3] 폭스-노스

피트 1기

윌리엄 윈덤 그렌빌 1784년 1월 8일[3] 1784년 4월 7일[3] 피트 1기

멀그레이브
윌리엄 윈덤 그렌빌

제2대 멀그레이브 남작 콘스탄틴 핍스
1784년 4월 7일[3] 1789년 9월 2일[3]
멀그레이브 경
제3대 몬트로즈 공작 제임스 그레이엄
1789년 9월 2일[3] 1791년 3월 7일[3]
더들리 라이더
토머스 스틸
1791년 3월 7일[3] 1800년 7월 5일[3]
토머스 스틸
조지 캐닝
1800년 7월 5일[3] 1801년 3월 26일[3]
토머스 스틸
제1대 글렌버비 남작 실베스터 더글러스
1801년 3월 26일[3] 1803년 1월 3일[3] 애딩턴
토머스 스틸
존 하일리 애딩턴
1803년 1월 3일[3] 1804년 7월 7일[3]
조지 로즈
찰스 서머셋 경
1804년 7월 7일[3] 1806년 2월 17일[3] 피트 2기
제1대 템플 백작 리처드 템플누전트브리지스챈도스그렌빌
존 타운젠드
1806년 2월 17일[3] 1807년 4월 4일[3] 만능내각
찰스 롱
찰스 서머싯
1807년 4월 4일[3] 1813년 11월 26일[3] 포틀랜드 2기

퍼시벌


리버풀

찰스 롱
제1대 고드리치 자작 F. J. 로빈슨
1813년 11월 26일[3] 1817년 8월 9일[3] 리버풀
찰스 롱
(1826년부터 판버러 남작)
1817년 8월 9일[3]
(계속)
1826년 7월 14일[3]

조지 4세
(1820–1830)
제2대 피츠제럴드 앤드 베시 남작 윌리엄 베시 피츠제럴드 1826년 7월 14일[3] 1828년 7월 10일[3] 리버풀

캐닝파 내각
캐닝 · 고드리치


웰링턴-필

존 칼크래프트 1828년 7월 10일[3] 1830년 12월 30일[3] 웰링턴-필
존 러셀 경 1830년 12월 30일[3] 1834년 12월 30일[3] 휘그당 정부
그레이 · 멜버른 1기

윌리엄 4세
(1830–1837)
제9대 준남작 에드워드 내치불 1834년 12월 30일[3] 1835년 4월 28일[3] 필 1기
제4대 준남작 헨리 파넬 1835년 4월 28일[3] 1836년 12월 1일[3] 멜버른 2기

해외 국군 경리총감

[편집]

1702년~1714년 앤 여왕 재위기에 벌어졌던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기간에는, 경리총감과 동일한 방식으로 임명되는 해외국군 경리총감 (Paymaster of the Forces Abroad)직을 두었다.[3] 이들은 저지대 국가에 주둔한 국군의 회계 관리를 담당하는 직책으로서 특별히 임명되었으며, 정식 국군 계보에 속하지 않았다.[4] 해외국군 경리총감의 급여는 하루 10실링이었다.[3] 토머스 무어 대령은 메노르카, 됭케르크, 지브롤터 주둔 국군경리총감이었으며 항상 해외국군 경리총감으로 지칭하지는 않았다.

같이 보기

[편집]

내용주 및 각주

[편집]

내용주

  1. 1665년 7월 1일 기사 작위 수여[3]
  2. 스티븐 폭스 경의 처남
  3. 스티븐 폭스 경의 셋째 아들.
  4. 웨일스 공은 1811년 2월 5일부터 섭정을 맡았다.

각주

  1. Sutherland, Lucy S.; Binney, J. (1955). 《Henry Fox as Paymaster General of the Forces》. 《The English Historical Review70 (Oxford University Press). 229쪽. doi:10.1093/ehr/lxx.cclxxv.229. 
  2. Roper, Michael (1998). 《The Records of the War Office and Related Departments, 1660-1964》. Kew, Surrey: Public Record Office. 
  3. 가가 가나 가다 가라 가마 가바 가사 가아 Sainty, J. C. “Paymaster of Forces 1661–1836”. Office-Holders in Modern Britain. 역사 연구소. 2016년 7월 8일에 확인함. 
  4. Gater, G. H.; Wheeler, E. P. 편집 (1935). 〈Office of the Paymaster-General〉. 《St Martin-in-The-Fields I: Charing Cross》. 런던 조사 16. 런던: 런던 카운티 의회. 17–27쪽 – 영국사 온라인 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