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분부전장애
| 진료과 | 정신건강의학, 임상심리학 |
|---|---|
기분부전장애(氣分不全障礙, 영어: Dysthymic disorder) 또는 기분부전증(영어: Dysthymia, persistent depressive disorder, PDD)는 주요우울장애와 증상이 비슷하되, 그 정도가 경하면서 2년 이상 지속되는 증상을 말한다. 기분저하증(氣分低下症)이라고도 한다.
진단
[편집]미국정신의학협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발행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제4판 이른바 DSM-IV에는 기분부전장애 특징이 규정되어 있다.[1] 핵심 증상은 최소 2년간 일상 대부분이나 일부에서 우울감을 느끼는 것이다. 에너지 저하, 수면 혹은 식욕 장애, 자존감(self-esteem) 저하는 임상상(clinical picture)에도 기여한다. 환자는 진단 전에 이미 수 년 간 앓아 왔을 수도 있다. 주변 사람들은 환자를 "그저 기분이 침울한 사람(just a moody person)" 비슷하게 묘사할 수 있다.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2][3]
- 2년 이상 일상 대부분 동안 성인 환자는 우울 기분을 보고하거나 타인에게 우울함을 보일 수 있다.
- 우울해지면 환자는 다음 조건 중 2가지 이상을 보인다.
- 2년 동안 위 증상들이 두 달 이상 사라지지 않는다.
- 2년 지속 기간 동안 환자는 지속적인 주요 우울 삽화(major depressive episode)를 보이기도 한다.
- 환자는 조증, 경조증, 혹은 혼합 삽화(mixed episode)가 없다.
- 환자는 순환기질장애(cyclothymic disorder)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
- 조현병이나 망상장애 등 만성적 정신병의 일부로서 우울이 나타나지 않는다.
- 의학적 질병이나 물질 사용 및 약물 사용으로 직접적으로 증상이 발현되지 않는다.
- 증상은 사회, 직장, 학업, 기타 삶의 주요 영역에서 심각한 문제나 고통을 일으킬 수 있다.[1]
아동기 및 청소년기에 기분은 짜증(irritable)스러울 수 있으며, 지속기간은 최소 1년이지만 성인은 진단에 2년이 필요하다.
초기 발병(21세 이전 진단)은 잦은 재발, 정신병 입언, 동반질병 가능성이 더 높다.[4] 젊은 성인은 성격 비정상이 동반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증상은 만성일 수 있다.[5] 그러나, 나이 든 성인에게 심리학적 증상은 의학적 질병,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삶의 사건, 상실과 관련되어 있다.[6]
기분부전장애는 급성 증상이라는 점에서 주요우울장애와는 차이를 보인다. 기분부전장애는 주요우울장애보다 장기지속적이고 만성적이며, 증상은 2주 정도만 나티날 수 있다. 또한 기분부전장애는 주요우울장애보다 이른 나이에 나타날 수 있다.[7]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각주
[편집]| 이 글은 질병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가 나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편집 (June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4판.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SBN 978-0-89042-024-9. 2008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Turner, Samuel M.; Hersen, Michel; Beidel, Deborah C. 편집 (2007). 《Adult Psychopathology and Diagnosis》 5판. Hoboken, New Jersey: John Wiley. ISBN 978-0-471-74584-6. OCLC 427516745.
- ↑ 300.4, ICD9, Retrieved 2 May 2009
- ↑ Sansone, R. A. MD; Sansone, L. A. MD (2009). “Dysthymic Disorder: Forlorn and Overlooked?”. 《Psychiatry》 6 (5): 46–50. PMC 2719439. PMID 19724735.
- ↑ “Persistent depressive disorder (dysthymia)”. Mayo Clinic. December 2018. 2020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Bellino, S.; Patria, L.; Ziero, S.; Rocca, G.; Bogetto, F. (2001). “Clinical Features of Dysthymia and Age: a Clinical Investigation”. 《Psychiatry Review》 103 (2–3): 219–228. doi:10.1016/S0165-1781(01)00274-8. PMID 11549409. S2CID 2502577.
- ↑ Goodman, Sherryl H.; Schwab-Stone, Mary; Lahey, Benjamin B.; Shaffer, David; Jensen, Peter S. (2000). “Major Depression and Dysthymi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Discriminant Validity and Differential Consequences in a Community Sampl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Elsevier BV) 39 (6): 761–770. doi:10.1097/00004583-200006000-00015. ISSN 0890-8567. PMID 10846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