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귀털고슴도치
보이기
|
| |
|---|---|
| 생물 분류ℹ️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진무맹장목 |
| 과: | 고슴도치과 |
| 아과: | 털고슴도치아과 |
| 속: | 긴귀털고슴도치속 (Otohylomys ) Lebedev, Abramov & Rozhnov, 2014[1] |
| 종: | 긴귀털고슴도치 (O. megalotis) |
| 학명 | |
| Otohylomys megalotis | |
| (Jenkins & M. F. Robinson, 2002) | |
| 긴귀털고슴도치의 분포 | |
긴귀털고슴도치의 분포 지역 | |
| 보전상태 | |
|
| |
긴귀털고슴도치(Otohylomys megalotis)는 고슴도치과에 속하는 포유류 속의 일종이다. 라오스에서 발견된다. 고슴도치목의 다른 고슴도치와 비교하여, 귀와 두개골이 특히 크다.[3] 또한 넓은 앞발과 튼튼한 발톱, 그리고 맨 뒷발로도 알려져 있다.[2] 이전에는 힐로미스속으로 분류되었지만, 현재는 별도의 긴귀털고슴도치속(Otohylomys)에 속하는 유일한 종이다.[4] 긴귀김누라, 긴귀짐누라로도 불린다.
각주
[편집]- ↑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의 긴귀털고슴도치
- ↑ 가 나 Chiozza, F. (2016). “Hylomys megalotis”. 《IUCN 적색 목록》 (IUCN) 2016: e.T136193A22324783. doi:10.2305/IUCN.UK.2016-1.RLTS.T136193A22324783.en.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Hutterer, R.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판 (영어).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218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Version2.2”. 《ASM 포유류 다양성 데이터베이스》. 미국포유류학회.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