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보이기
|
김여정
| |
|---|---|
![]() 김여정(2018년) |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로동당 선전선동부장 | |
| 임기 | 2014년 11월 13일~2015년 7월 24일 |
| 신상정보 | |
| 출생일 | 1987년 9월 26일(38세) |
| 출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학력 | 김일성종합대학 물리학 학사 |
| 경력 |
|
| 정당 | 조선로동당 |
| 본관 | 전주 |
| 부모 | 김정일(부), 고용희(모) |
| 형제자매 | |
| 배우자 | 리수용의 조카 |
| 자녀 | 1명 |
| 친인척 | |
| 종교 | 무종교(주체 사상) |
| 서명 | |
김여정(金與正, 1988년 9월 26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김정일 조선로동당 제2대 총비서의 3남 4녀 중 4녀이다.
생애
[편집]미성년이었을 무렵의 정보는 한정되어 있지만, 김정일의 전속 요리사였던 후지모토 켄지의 회상록에 따르면, 김정일의 총애를 얻고 있었다. 아버지의 김정일은 아이들 가운데 김정은과 김여정에게 정치인의 소질이 있다고 보고 있었다.[1]
1996년 4월부터 2000년 말까지 김정은과 함께 스위스 베른에 유학하고 있었다. 베른에서 초등학교 종료에 상당하는 교육을 마치고 그 뒤는 전속의 집사를 붙여 교육을 받았다.[2]
2016년 5월에 개최된 조선노동당 제7차 대회에서 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됐다. 당내 서열은 25위 전후였다.
2019년 1월 8일 부인 리설주와 함께 35세 생일을 맞이하는 김정은의 중국 방문에 동행했다.
2019년 12월 말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총회에서 새로운 제1부부장직에 취임한 것이 발표되어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취임한 것으로 관측 되고 있다.[3]
2020년 8월 25일 정경두 국방부장관이 국회에서 김여정이 조선노동당의 조직지도부를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2021년 9월 29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5회 회의 제2일 회의에서 국무 원회 위원에 보결 선거됐다.[4]
가족 관계
[편집]| 김일성 金日成 1912~1994 | 김정숙 金正淑 1917~1949 | ||||||||||||||||||||||||||||||||||||||||||||||||||||||||
| 홍일천 洪一茜 1942~ | 성혜림 成蕙琳 1937~2002 | 김영숙 金英淑 1947~ | 김정일 金正日 1941~2011 | 고용희 高容姬 1952~2004 | 김옥 金玉 1964~ | ||||||||||||||||||||||||||||||||||||||||||||||||||||
| 김혜경 金惠敬 1968~ | 김정남 金正男 1971~2017 | 김설송 金雪松 1974~ | 김춘송 金春松 1975~ | 김정철 金正哲 1981~ | 김정은 金正恩 1984~ | 김여정 金與正 1987~ | |||||||||||||||||||||||||||||||||||||||||||||||||||
- 증조부 김형직
- 증조모 강반석
- 진외조부 김중산
- 친조부 김일성
- 친조모 김정숙
- 외증조부 고영옥
- 큰외조부 고경찬
- 외조부 고경택
- 외조모 이맹인
- 부친 김정일
- 전모 홍일천
- 이복언니 김혜경
- 전모 성혜림
- 이복오빠 김정남
- 전모 김영숙
- 이복언니 김설송
- 이복언니 김춘송
- 생모 고용희
- 큰오빠 김정철
- 조카
- 작은오빠 김정은
- 자신 김여정
- 남편 최성
- 딸 이름 불명
- 조카 김정주
- 조카 김주애
- 조카 이름 불명(남자)
- 계모 김옥
기타
[편집]- 2014년, 김여정은 리수용 외무상(외무부 장관)의 조카와 결혼했다.
- 2014년 10월 3일, NK지식인연대가 북한 내부와 접촉해 파악한 바에 따르면, 김정은이 건강 문제로 자취를 감춘 직후 당 정치국 긴급회의가 소집됐다고 한다. 그런데 이를 주관한 인사는 다름 아닌 김여정이었다.[5] CNN은 김정은 제1위원장이 40일간 공개석상에 모습을 나타내지 않자, 김여정이 북한을 통치하고 있을 가능성을 보도했다.
- 2014년 10월, 북한 낙원무역총회사는 한국 남북경협경제인연합회(이하 남경련)와 2015년 봄 서울에서 ‘남북 민족음식 예술문화 대축제’를 열기로 합의하고 우리 측에 참가 의향서를 보냈다.[6] 북측이 남경련에 보낸 의향서에 김여정의 직책이 노동당 대외사업부 부장(장관급)으로 명시돼 있었다.[7]
- 2014년 11월 27일, 북한 관영 조선중앙TV는 김여정이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차관급)이라고 소개했다.
- 2017년 1월 12일, 미국은 김여정이 1989년생이라고 파악하지만, 대한민국 통일부는 1987년생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9]
- 2020년 6월 16일, 김여정이 도발발언 후[10] 4일만에 대한민국 국민의 세금 170억이 들어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경기도 개성시에 위치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시켰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金正恩死亡説」誤報も妹・与正氏が1120年ぶりに北朝鮮の女王になる日”. 《AERA dot.》. 2020년 5월 3일. 2020년 5월 3일에 확인함.
- ↑ キム・ジョンウン、キム・ヨジョンの留学時代の写真を追加公開 보관됨 2014-03-09 - 웨이백 머신 Daily NK 2010-06-08
- ↑ 核開発主導幹部が昇進 強硬路線を反映―北朝鮮 時事ドットコム 2020年1月3日
- ↑ “金与正氏ら国家中枢に 国務委員会で大幅人事” (일본어). 《北朝鮮ニュース | KWT》. 2021년 10월 1일. 2022년 6월 2일에 확인함. 다음 글자 무시됨: ‘和書’ (도움말)
- ↑ 김정은 유고시 비상대권 누가 쥐나, 일요신문, 2014.10.20
- ↑ [단독] "北 김여정 내년 3월 서울 온다", 한국경제, 2014-12-04
- ↑ 北김여정 내년 3월 訪韓?…통일부 "신빙성 낮다", 데일리NK, 2014-12-04
- ↑ 北 이설주와 김여정 사이 권력 암투 가능성은?, 채널A, 2014.12.11
- ↑ 미국 "김여정은 1989년생"…통일부는 "1987년생 첩보", 연합뉴스TV, 2017-01-12
- ↑ 金与正氏が韓国との「決別」を示唆 北朝鮮の韓国批判の真意 (일본어). 《KoreaWorldTimes》. 2020년 6월 16일. 2020년 6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제14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제5호 갈림길 선거구) 2019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