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김은정 (외교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은정
김은정
출생1969년 10월 10일[1]
국적대한민국
시민권대한민국
학력경북대학교[1]
고려대학교[2]
직업외교관
활동 기간1998년–현재[2]
고용주대한민국 외교부
소속주프랑크푸르트 대한민국 총영사관
칭호주프랑크푸르트 대한민국 총영사
칭호 기간2025년 5월 7일–현재[3]
전임자고경석[3]
상훈국무총리 표창(2012년 12월)[2]
녹조근정훈장(2015년 9월)[2]
김은정
한글 표기: 김은정
한자 표기: 金垠廷[2]
개정 로마자 표기: Gim Eun-jeong
매큔-라이샤워 표기: Kim Ŭn-jŏng
공식 로마자 표기: Eunjeong Kim

김은정(金垠廷, 1969년 10월 10일~)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다.[2] 2025년 5월 7일부터 제16대 주프랑크푸르트 대한민국 총영사로 재직하고 있으며,[3] 2025년 4월 30일 외교부 임용장 전수식을 통해 공식 부임 절차를 마쳤다.[4] 2022년부터 2025년 4월까지 외교부 아프리카중동국장을 역임했고,[5][6] 같은 해 2월 다마스쿠스를 방문하여 양국 간 협력 재개 논의를 진행하는 등 시리아와의 외교관계 수립 실무 협의에 참여했다.[7] 주프랑크푸르트 총영사관 역사상 첫 여성 총영사로 기록된다.[2]

생애와 교육

[편집]

김은정은 경북대학교에서 영어교육학 학사 학위를, 고려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2] 외교부 공식 이력서에 따르면 출생일은 1969년 10월 10일이다.[1]

경력

[편집]
  • 1998년: 제32회 외무고시 합격, 외교부 입부.[2]
  • 2010년: 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1등서기관(유엔 의전·연락국 명부).[8]
  • 2013년 12월: 주쿠웨이트 대한민국 대사관 참사관.[1]
  • 2014년: 외교부 중동1과장.[9]
  • 2020년 7월: 주태국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참사관(Minister‑Counsellor).[1]
  • 2021년: 외교부 아프리카중동국 심의관.[10][11]
  • 2022년 10월–2025년 4월: 외교부 아프리카중동국장.[5][6]
  • 2025년 2월: 시리아 다마스쿠스 방문 및 실무 협의 진행.[7]
  • 2025년 4월 28일: 주프랑크푸르트 총영사 발령(인사 발표).[12]
  • 2025년 4월 30일: 신임 총영사 임용장 전수.[4]
  • 2025년 5월 7일: 제16대 주프랑크푸르트 총영사로 부임.[3]

주요 활동

[편집]
시리아와의 외교관계 수립 관련
  • 2025년 2월 다마스쿠스에서 시리아 측과 협력 재개 및 외교관계 수립을 위한 실무 협의를 진행했다.[7]
  • 2025년 4월 10일 대한민국과 시리아는 다마스쿠스에서 외교관계를 정식으로 수립했다(공동성명 서명).[13]
프랑크푸르트 관할 지역에서의 영사업무·경제·공공외교
  • 프랑크푸르트상공회의소(IHK) ‘Korea Business Day 2025’에서 한‑독 비즈니스 협력 확대 방향에 관한 특별 연설을 했다.[14]
  • 2025년 9월 ‘한‑독 취업박람회’를 KOTRA와 공동 개최하여 현지 기업과 한국 청년 구직자의 매칭을 지원했다.[15]
  • 2025년 9월 30일 국경일 리셉션 및 총영사관 개설 40주년 기념행사를 주관했다.[16][17]
  • 헤센주 및 프랑크푸르트 지역 주요 인사와의 면담 등 치안·통관·지역협력 강화를 추진했다(예: 헤센주 감사원장, 프랑크푸르트 중앙세관장 대행 등).[18][19]

평가

[편집]

김은정은 1985년 개설된 주프랑크푸르트 대한민국 총영사관에서 최초의 여성 총영사로 부임하여 공관 운영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확장시킨 인사로 평가된다.[2] 아프리카 및 중동 지역 현안에 대한 풍부한 경륜을 바탕으로, 시리아와의 외교관계 수립 과정에서 실무 채널 구축과 현지 협의를 담당했다.[7][13]

상훈

[편집]
  • 2012년 12월: 국무총리 표창.[2]
  • 2015년 9월: 녹조근정훈장.[2]

각주

[편집]
  1. “Curriculum Vitae: Kim Eun-jeong” (영어). MOFA.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2. “김은정 주프랑크푸르트 대한민국 신임 총영사 발령”. 2025년 4월 29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3. “공관약사”. 외교부.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4. “신임 총영사 임용장 전수식 개최”. 대한민국 외교부. 2025년 4월 30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5. “KIM Eun‑jeong, Director‑General for African and Middle Eastern Affairs” (영어).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6. “방탄차 타고 국경 넘었다, '시리아 수교' 물꼬 튼 그녀”. 2025년 2월 14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7. “아프리카중동국장 시리아 방문 결과”. 대한민국 외교부. 2025년 2월 7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8. “ST/SG/SER.C/L.619: Permanent Missions to the United Nations” (영어). 2010년 12월 16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9. “특혜 많은 고위직? 밤 늦도록 격무 시달리는 '국제 외교관'. 2014년 3월 5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10. “외교부, 「제14차 국내 아프리카 전문가 간담회」 개최”. 대한민국 외교부. 2021년 10월 26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11. “제9차 한‑일 국장급 중동정책협의회 개최 결과”. 대한민국 외교부. 2021년 11월 18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12. “Korea appoints ambassadors to Netherlands, 6 other countries” (영어). 2025년 4월 28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13.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Syrian Arab Republic” (영어). 2025년 4월 11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14. “Korea Business Day 2025” (영어).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15. “프랑크푸르트 한‑독 취업박람회 개최”. 2025년 9월 29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16. “국경일 리셉션 및 총영사관 개설 40주년 기념 행사”. 2025년 10월 1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17. “주프랑크푸르트총영사관 단기 4358년 국경일 리셉션 개최”. 2025년 10월 7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18. “총영사, 우베 베커 헤센주 감사원장 면담(8.14)”. 2025년 8월 14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19. “총영사, 프랑크푸르트 중앙세관장 대행 면담(8.25)”. 2025년 8월 25일. 2025년 10월 2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