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하
보이기
김장하 | |
---|---|
출생 | 1944년 1월 16일 대한민국 경상남도 사천시 정동면 | (81세)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김해[1] |
별칭 | 호(號) 남성(南星) |
학력 | 경상국립대학교 명예문학박사 |
경력 |
|
직업 | 기업인, 교육인 |
활동 기간 | 1963년 ~ |
부모 | 부친 김경수(金炅水, ? ~ 1986년 1월)[2] |
형제 | 장남 김종하(金鍾河) 등 4남1녀[3] |
배우자 | 최송두(1946년 ~ ) |
자녀 | 1남3녀 |
상훈 | 국민훈장 모란장 |
김장하(金章河, 1944년 1월 16일 ~ )는 대한민국의 한약업 기업가이자 교육인, 시민활동가이다. 호(號)는 남성(南星).[4][5]
생애
[편집]경상남도 사천시 정동면 장산리(獐山里) 노천(魯川) 마을에서 태어났으며,[6] 동성중학교를 졸업한 후에 한약방에서 점원으로 머슴살이를 하였다. 해방 이후 처음 시행된 한약사 국가 자격시험(한약업사 자격)에 합격하고 1963년에 당시 사천군 용현면에 남성당한약방을 개업하였다.[7][8] 1973년에 진주시로 한악방을 이전하였으며, 이후 20여 년 동안 모은 돈으로 1983년에 진주 소재 명신고등학교를 설립하고 1991년에 학교를 국가에 헌납하였다.
학교 설립과 운영에 약 100억의 사재가 들어갔으며, 이외에도 각종 장학, 기부, 지원, 선행, 자선사업 및 사회운동 활동 등으로 수많은 인재를 길러내고 각종 시민단체, 인권단체, 지역 공동체, 언론업체 등이 활발하게 활동하거나 명맥을 이어나가는 데 도움을 주었다. 특히 2000년에 설립했던 남성문화재단을 2021년에 해산하면서 당시 재단에 남은 기금까지 모두 경상국립대학교 발전 기금으로 기탁하였다.
2022년에 그의 생애를 다룬 2부작 다큐멘터리 《어른 김장하》가 제작 및 방영되었다.[9]
학력
[편집]- 1956년 3월, 사천시 정동면 소재 정동초등학교 제22회 졸업[10]
- 1959년 2월, 사천시 정동면 소재 동성중학교 제4회 졸업[11]
- 1997년 2월, 진주시 소재 경상국립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최고관리자과정 수료[12]
- 2008년 10월 15일, 경상국립대학교 명예문학박사 학위[13]
경력
[편집]- 1959년, 삼천포 소재 남각당한약방 점원 취업[14]
- 1962년 7월 24일, 한약업사(한약종상) 시험 합격[15]
- 1963년, 한약업사 면허 발급[16] 및 남성당한약방(南星堂韓藥房) 개업[17]
- 1978년 4월 28일, 모교 정동초등학교에 세종대왕 동상과 충무공 이순신 동상을 건립 기증
- 1982년 8월, 학교법인 석은학원(石隱學園) 인수[18]
- 1983년 12월 23일, 학교법인 명칭을 석은학원에서 남성학숙(南星學塾)으로 변경
- 1984년 3월 2일, 진주시 초전동에 명신고등학교(明新高等學校) 개교[19][20]
- 1989년 8월 17일, 명신고등학고 국가 기증 선언 (1991년 9월 1일 공립으로 전환, 남성학숙 일체 국가 기증)[21][22]
- 1990년, 《진주신문(晉州新聞)》 주주 및 이사[23]
- 1990년대, 대안문화예술공간 책마을 후원[24]
- 1992년 ~ 2004년, 형평운동기념사업회(衡平運動紀念事業會) 이사장[25]
- 1994년, 진주 지역 신진작가 공모전인 '진주가을문예' 출범 후원[26]
- 1996년 ~ 2000년,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진주지부 이사장[27]
- 1996년 2월, 경상대발전후원회장 취임[28]
- 1998년 진주극단 현장[29] 공연장 마련 비용 3천 만원 지원
- 2000년 3월, 재단법인 남성문화재단(南星文化財團) 설립 (이사장 취임)
- 2005년, 사단법인 진주문화연구소 이사
- 2005년 4월 1일, 《일제강점기 인명록 - 진주지역 관공리·유력자》 출판 후원
- 2013년 9월, 산청엑스포조직위원회에 1814년 간행본 추정 《동의보감》 25권 25책 기증[30]
- 2021년, 재단법인 남성문화재단 해산 (잔여재산 일체를 경상국립대학교 발전기금재단에 기탁)[31]
- 2022년 5월 31일, 남성당한약방 영업종료
- 남명학연구(南冥學硏究) 후원회장
- 경상국립대 남명학관 건립추진위원장
- 지리산생명연대 공동대표
- 진주오광대보존회 후원회장
- 진주문화사랑모임 부회장
- 진주환경운동연합 고문
상훈
[편집]각주
[편집]- ↑ 김해김씨(金海金氏) 동정공파(同正公派) 24세손. 돌림자는 하(河).
- ↑ 노천리 이장(里長) 역임. 《정동면지》 제2편 면세(面勢) 항목.
- ↑ 김장하는 둘째였다. 셋째는 김춘하, 넷째는 김기하(金機河), 여동생은 막내.
- ↑ 할아버지인 김정원(金顁元, 1889년 ~ 1971년)이 지어준 호이다. 김정원은 김해 김씨 22세손이며, 자는 태규(泰奎), 호는 영은(潁隱)이다. 고성(固城) 향교 장의(掌議)를 지냈다. 호를 딴 서재 영은재(潁隱齋)가 있다.
- ↑ “[찬샘레터 95] 믿기 어려운unbelivable 일들과 어록들analects”. 《코리아드림뉴스》. 2023년 2월 6일.
- ↑ 정동면에 관한 여러 사실을 기록한 1996년 간행 《정동면지(正東面誌)》에 따르면 김장하는 1992년에 165제곱미터(50평) 규모의 마을회관을 건립하여 희사하고 《정동면지》 간행을 위해 거액을 출연하였다. 노천 마을의 법정리는 장산리, 행정리는 노천리(魯川里)이다.
- ↑ 당시 자격시험에 300명 이상이 응시하여 그 가운데 10% 정도인 30여 명이 합격하였으며, 김장하는 주관식으로 시행된 시험에서 상위(우수) 등수로 합격하였다. 한약업사(한약종상) 자격시험은 1982년에 마지막으로 시행되었다. 이후 관련 직능은 한의사 및 약사, 한약사 등으로 이어진다.
- ↑ “[영상] 김장하 선생이 직접 밝힌 '내가 번 돈을 사회환원한 이유'”. 《오마이뉴스》. 2025년 4월 30일.
- ↑ 2023년 11월 15일에 극장판 개봉.
- ↑ “돈은 똥, 쌓아 두면 구린내 흩으면 꽃”. 《뉴스사천》. 2008년 10월 15일.
- ↑ 1951년 2월에 설립된 사천 동성중학교(東城中學校)는 1963년에 사천여자중학교(泗川女子中學校)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동창(김무수) 증언에 따르면 당시 전교 2등이었으나 가난했던 가정 여건으로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못하였다.
- ↑ 경상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에서 1998년 2월에 간행한 최고관리자과정논문집 제13권 197면에 〈진주정신(晋州精神)에 관한 소고(小考)〉 소논문(小論文)이 수록되어 있다.
- ↑ “경상대, 김장하 남성문화재단 이사장에 명박 수여”. 《한국대학신문》. 2008년 10월 15일.
- ↑ 사천시 선구동(仙龜洞)에 있었던 남각당한약방. 남각당건재약방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건재약방(乾材藥房)은 도매와 소매를 병행하는 한약방을 뜻한다. 2000년 전후까지 창업자의 손자가 영업하고 있었다. “이웃돕기 성금 기탁자 명단”. 《사천신문》. 2002년 2월 4일.
- ↑ 시험 시행일은 1962년 6월 8일, 자격 취득은 그해 10월이다. 본래 자격 명칭은 한약종상(漢藥種商)이며, 1971년 1월 13일에 법률 제2279호 약사법 일부 개정을 통해 한약업사(韓藥業士)로 개칭되었다. 1953년 약사법 제정시 보건의료 자원이 매우 부족하여 의료 혜택을 받기 어려운 지역에 한해 국민보건 목적 달성을 위해 병원, 의원, 약국이 없는 동(洞)에 1명, 읍면(邑面)에 2명의 한약종상을 허가할 수 있게 규정하였다.
- ↑ 한약업사 허가증 제6호이다. 자격시험 합격 당시에는 미성년자라서 합격을 보류하였다가 생일이 지난 이듬해 1963년 1월 16일에 면허가 정식 발급되었다.
- ↑ 처음 한약방이 개설된 곳은 사천시 용현면(龍見面) 신기리(新其里, 일명 석거리)이며, 현재 행정리 주소로는 용현면 선진리(船津里) 18-4번지이다. 1973년 3월에 진주시 장대동(將台洞)으로 이전, 1977년 4월에 진주시 동성동(東城洞) 212-5번지로 다시 이전하였다.
- ↑ 1983년 8월 11일에 김장하 이사장 취임.
- ↑ 학교가 소재한 초전동(草田洞)은 법정동이며, 관할 행정동은 초장동(草長洞)이다. 명신고등학교의 건학 이념은 유학 경전 가운데 하나인 《대학(大學)》에 나오는 '명덕신민(明德新民)'이다. 《대학》 원문은 '明明德新民'이며, 명덕은 '인간이 본래 지니고 있는 마음의 밝은 능력'이고, 신민은 '그들(인간)을 가르쳐 새롭게 만든다'는 뜻이다. 이 문구에서 학교 이름이 유래되었다. 1989년 12월 22일에 명신도서관(明新圖書館)과 체육관인 청웅관(靑雄館)을 준공하였다.
- ↑ 김장하에게 한문을 가르치던 진주 지역 한학자 진암(振菴) 허형(許泂)이 학교 이름을 지어주면서 〈명신고등학교창건기(明新高等學校創建記)〉를 찬하였다. “(965) 군자삼락(君子三樂) - 군자다운 사람에게 있는 세 가지 즐거움”. 《동방한학연구원》. 2023년 1월 31일.
- ↑ 1983년 7월 2일 학교 건물 기공식에서 학교가 본 궤도에 오르면 국가에 헌납할 것임을 밝혔었다. 1980년대 후반 하급 공무원의 월급이 25~40만 원 수준이었을 때 당시 가액으로 약 110억 상당 재산이다. '명문사학 명신고 국가헌납, 진주 남성학숙 자산규모 1백억 대.. 이례적' 《경남매일》 1991년 6월 7일.
- ↑ 《정동면지》에 친동생 김기하가 '진주명신고등학교 서무과장 역임'으로 기재되어 있다. 친인척을 채용하지 않고, 돈을 받고 채용하지 않으며, 권력에 굽히지 않겠다는 명신고 운영에 관한 세 가지 원칙을 세웠음에도 각종 학내 비리가 만연하던 1980년대 당시 사립학교 실정을 견제하기 위해 금전 출납을 담당하던 직무에 채용했으며, 개교로부터 약 7년 후 학교가 공립으로 전환되어 국가에 헌납되었을 때 모든 교직원의 고용 승계를 약속 받았으나 단 한 명인 친동생은 제외하고 사표를 내도록 했다. “남강은 거꾸로 흐른다 <어른 김장하> 김현지·김주완”. 《영화웹진 리버스》. 2023년 11월 16일. / “내가 아니라 사회에 갚아라, 〈어른 김장하〉 울림을 담다”. 《시사IN》. 2023년 2월 13일.
- ↑ 시민주주 700명 모여 만든 지역 신문이다. 10년간 운영되었던 《진주신문》의 매월 적자를 보전하는 등 후원 금액이 당시 가액으로 약 10억 원이다. “[남성당한약방, 역사속으로②] 50여년 간 얽힌 이야기들, “고맙습니다””. 《단디뉴스》. 2022년 5월 31일.
- ↑ 당시 가액으로 총 1억 원 상당
- ↑ 초기 단체명은 '형평운동 70주년 기념사업회', 《한겨례》 1993년 4월 23일 '형평운동 재조명 활발' 기사 중
- ↑ 공모전 후원을 위해 남성문화재단 이름으로 기금 1억 5천만원을 출연하여 《진주신문》에 기탁하였다. 진주가을문예는 1995년 제1회 시상을 시작으로 하여 2021년 12월 4일에 제27회 시상을 마지막으로 시행이 종료되었다.
- ↑ 2002년 3월 22일에 개관한 가정폭력 피해여성 보호시설 '내일을 여는 집' 설립을 지원했다.
- ↑ 기금 1억 원 쾌척, 《동아일보》 1996년 5월 21일
- ↑ 2025년 현재 사단법인 극단현장
- ↑ 갑술내의원교정완영중간본(甲戌內醫院校定完營重刊本) 추정본 《동의보감(東醫寶鑑)》이다. 완영(完營), 즉 전라감영에서 갑술년에 인쇄했음을 뜻한다. “진주 독지가, 동의보감 25책 완질 형태 기증”. 《연합뉴스》. 2013년 5월 20일.
- ↑ 현금 6억5천, (주)서경방송 발행주식 2만 주 28억 상당 등 당시 가액으로 약 34억 5천만 원 규모가 기탁되었으며, 재산 수여증서 전달식은 2021년 12월 9일에 경상국립대학교 가좌캠퍼스 GNU컨벤션센터 3층 다목적홀에서 진행되었다.
- ↑ 국민훈장 모란장 제1162호. 모란장은 국민훈장(國民勳章) 2등급 훈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