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민애
보이기
	
	
| 나민애 나민애 | |
|---|---|
| 출생명 | 나민애 | 
| 출생 | 1979년 대한민국 충청남도 공주시 | 
| 거주지 | 서울특별시 | 
| 국적 | 대한민국 | 
| 민족 | 한국인 | 
| 시민권 | 대한민국 | 
| 학력 | 서울대학교 | 
| 경력 | 동아일보 시평 칼럼니스트 EBS 강연자 방송 출연자 | 
| 직업 | 문학평론가 대학교 교원 저술가 칼럼니스트 | 
| 활동 기간 | 2007년 ~ 현재 | 
| 고용주 | 서울대학교 학부대학(기초교육원)[1] | 
| 현직 | 서울대학교 학부대학 강의교수 | 
| 칭호 | 강의교수 | 
| 등단 | 2007년 《문학사상》 신인문학상(평론)[2] | 
| 부모 | 나태주(아버지)[3] | 
| 상훈 | 서울대학교 우수교원상(2019) | 
| 웹사이트 | 인스타그램(@kaeruna1) | 
| 나민애 | |
|---|---|
| 한글 표기: | 나민애 | 
| 한자 표기: | 羅玟愛 | 
| 개정 로마자 표기: | Na Minae | 
| 매큔-라이샤워 표기: | Na Minae | 
| 예일 표기: | Na Minae | 
| 공식 로마자 표기: | Na Min-ae | 
나민애(1979년 ~ )는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이자 글쓰기 교육자이다. 서울대학교 학부대학에서 교양 필수 글쓰기 과목 「사고와 표현」 등을 담당하는 강의교수로 재직하며, 2015년부터 2025년까지 동아일보에 주간 시평 칼럼 〈시가 깃든 삶〉을 연재했다.[1][4][5] 2019년에는 학생 강의평가 최상위를 기록했고, 우수교원상을 수상했다.[6][7][8]
생애
[편집]충청남도 공주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수학하고 박사 학위를 받았다.[3][8] 2007년 《문학사상》 신인문학상(평론)으로 등단했다.[2] 2013년 서울대학교에 임용되어 학부대학생을 대상으로 글쓰기 교육을 맡았으며,[7] 대중에게는 동아일보 토요면 칼럼 〈시가 깃든 삶〉의 필자로 알려졌다.[4]
학력
[편집]경력
[편집]- 2007년: 《문학사상》 신인문학상(평론)으로 등단[2]
- 2013년 ~ 현재: 서울대학교 학부대학 강의교수(교양 글쓰기)[1][7]
- 2015년 ~ 2025년: 동아일보 〈시가 깃든 삶〉 연재(총 500여 회)[4][5]
비평·교육 활동
[편집]나민애는 현대 한국시와 비평 이론, 글쓰기 교육을 접목하는 작업을 지속해 왔다.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는 독서 기반의 요약·비판·서평 쓰기를 체계화했으며, 디지털 기기 사용이 독서 몰입을 방해하는 요인이라는 점을 분석해 ‘오적(五賊)’ 프레임으로 학습 환경 개선을 제안했다.[7] 또한 강연·방송을 통해 ‘나를 살리는 글쓰기’ ‘독서의 회복’ 등의 화두를 대중과 공유했다.[9]
저서
[편집]- 《1930년대 ‘조선적 이미지즘’의 시대》(푸른사상, 2016)[10]
- 《‘제망아가’의 사도들》(천년의시작, 2017)[11]
- 《내게로 온 시 너에게 보낸다》(밥북, 2019)[12]
- 《책 읽고 글쓰기》(서울문화사, 2020)[13]
- 《반짝이지 않아도 사랑이 된다》(앤드(&), 2022)[14]
- 《국어 잘하는 아이가 이깁니다》(김영사, 2024)[15]
- 《나민애의 동시 읽기 좋은 날》(김영사, 2025)[16]
- 《신석초 시선집》(편저)[2]
- 《광장으로 가는 길》(공편)[2]
연재
[편집]수상
[편집]- 2019년: 서울대학교 우수교원상(학생 강의평가 관련)[6]
가족
[편집]아버지는 시인 나태주이다.[3] 2025년 영어판 칼럼에서는 그의 나이가 46세로 소개되었다.[18]
각주
[편집]- ↑ 가 나 다 “나민애 - 서울대학교 학부대학”. 《서울대학교 학부대학》. 서울대학교.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나민애”. 《교보문고》. 교보문고.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나민애 — 작가 소개”. 《YES24》. 예스이십사.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나민애의 시가 깃든 삶 — 연재 목록”. 《동아일보》. 동아일보.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나민애의 시가 깃든 삶 〈511·끝〉”. 《Daum 뉴스》. Daum.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나민애 서울대 교수 ‘국어 잘하는 아이가 이깁니다’ 특강” (영어). 《Asiae (영문판)》. Asiae. 2024년 10월 24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서울대생의 글쓰기 선생님… “아이 책 읽게 하려면 ‘오적’과 싸우세요””. 《조선일보》. 조선일보. 2025년 9월 6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나의 두 번째 교과서 : 국어 / 나민애”. 《EBS 클라쎄》. EBS.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나를 살리는 글쓰기 — 나민애 서울대 교수”. 《YouTube》. 세바시. 2025-06-.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1930년대 ‘조선적 이미지즘’의 시대”. 《교보문고》. 교보문고. 2016년 7월 5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제망아가’의 사도들”. 《YES24》. 예스이십사. 2017.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내게로 온 시 너에게 보낸다”. 《교보문고》. 교보문고. 2019년 5월 13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책 읽고 글쓰기”. 《YES24》. 예스이십사. 2020년 3월 30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반짝이지 않아도 사랑이 된다”. 《알라딘》. 알라딘. 2022.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국어 잘하는 아이가 이깁니다”. 《교보문고》. 교보문고. 2024년 3월 15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나민애의 동시 읽기 좋은 날”. 《YES24》. 예스이십사. 2025년 3월 28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저녁별 — 〈시가 깃든 삶〉 485”. 《동아일보》. 동아일보. 2025년 1월 24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The Time Under Knees That Sustains Life” (영어). 《The Chosun Daily (English Edition)》. Chosun Ilbo. 2025년 9월 11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