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우루의 문화

나우루의 문화에서는 현대 서양 문화가 전통적인 나우루 문화를 대체하여 옛 풍습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전통적인 예술과 공예도 거의 사라졌다.
예술
[편집]
나우루인들은 일반적인 열대 의류인 반바지와 가벼운 셔츠를 입는다. 낚시는 여전히 전통적인 방법을 따르며, 섬의 낚시꾼들은 작은 가벼운 배에서 물고기가 오기를 기다린다. 훈련된 군함조를 이용한 낚시 풍습은 보존되어 있다.
나우루의 민요는 1970년대까지 존재했으며,[1] 그 중 Oh Bwio Ebenbwio는 주목할 만한 민요이다.[2]
나우루의 전통 문화는 미크로네시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빠르게 현대적인 것으로 대체되고 있지만, 음악과 춤은 여전히 가장 인기 있는 예술 형식 중 하나이다. 특히 축하 행사에서는 리듬적인 노래와 전통적인 레이겐(Reigen)이 공연된다. 적어도, 영어로 물고기 춤이라고 불리는 나우루 춤의 역사적인 형태는 사진의 형태로 기록되었다.[3][4] 알려진 주요 전통 춤으로는 군함조 춤과 도고로파(Dogoropa)가 있다.[5][6]
장인들은 코이어와 판다누스 잎으로 옷과 부채를 만들고, 인도네시아와 유사한 기하학적 문양을 사용한다. 또한 코코야자 나무는 예술 공예품 제작에 사용된다.
언어와 교육
[편집]나우루의 공용어인 나우루어는 미크로네시아어군에 속한다. 영어 또한 통용된다.
나우루의 모든 학교에서는 4세부터 16세까지 의무 교육을 실시한다. 사우스퍼시픽 대학교는 아이워구에 캠퍼스를 두고 있으며, 유치원 교사 교육, 영양 및 장애 연구를 제공하고 지역사회 복지사 자격증을 제공하고 있다. 캠퍼스에는 오디오 및 비디오 회의 시설, 도서관 및 컴퓨터 실습실은 물론 USPNet을 통한 인터넷 및 전자우편 서비스를 제공한다. 중등 및 대학 교육을 위해 대부분의 나우루 어린이들은 해외로 나가야 한다. 번성했던 시기에는 이 아이들을 오스트레일리아로 보냈지만, 지금은 피지로 보낸다.
공식적인 국경일은 1월 31일 이지만, 10월 26일 앙감 데이는 추가적인 국경일로 간주된다.
나우루 국가의 나우루어 가사는 마거릿 헨드리가 작성했으며, 1968년 나우루의 독립과 함께 채택되었다.
스포츠
[편집]
나우루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오스트레일리안 풋볼이다. 나우루에서는 12개 팀으로 구성된 시니어 리그가 운영되고 있다. 나우루는 아라푸라 게임, 오스트레일리안 풋볼 인터내셔널 컵 및 바라시 국제 청소년 토너먼트에서 오스트레일리안 풋볼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나우루의 오스트레일리안 풋볼 국가대표팀인 치프스(Chiefs)는 2002년 국제 대회에서 8위를 차지했으며, 아라푸라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나우루 농구 국가대표팀은 1969년 남태평양 게임 농구 종목에서 솔로몬 제도와 피지를 꺾으면서 국제적으로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나우루인들은 이외에도 축구, 소프트볼, 테니스, 요트, 수영을 즐긴다. 메넹 호텔에서 골프를 즐길 수 있다.[7] 나우루에는 중대형 스포츠 경기장이 3개 위치한다. 유일한 경기장은 야렌에 있지만, 낙후되어 국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메넹구에 뉴나우루 스타디움이 건설 중이다. 오늘날 나우루에 존재하는 경기장들은 다음과 같다.
나우루의 전통 스포츠는 해 질 녘에 바다에서 먹이를 찾아 섬으로 돌아오는 검은머리제비갈매기를 잡는 것이다. 남자들은 해변에 서서 올가미를 던질 준비를 한다. 나우루의 전통 올가미는 끝에 추가 달린 유연한 밧줄이다. 새가 날아오면 올가미를 던져 새에게 맞춰 떨어뜨린 다음 잡아서 기른다.
에아카바레레는 나우루의 전통 씨름이다. 파워리프팅도 나우루의 전통 스포츠 중 하나이다.
대중 문화
[편집]이 섬은 1941년 라디오 드라마 《드리프트》에 등장한다.
각주
[편집]- ↑ Viviani, Nancy (1970). 《Nauru: Phosphate and Political Progress》 (PDF). 캔버라: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 158쪽.
- ↑ “Songs & Rhymes From Nauru”. 《Mama Lisa's World》.
- ↑ 《Hunting the Collectors: Pacific Collections in Australian Museums, Art Galleries and Archives》. 뉴캐슬어폰타인: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4. 159쪽. ISBN 978-1443871006.
- ↑ Oates, John F. (1999년 10월 19일). 《Myth and Reality in the Rain Forest: How Conservation Strategies are Failing in West Africa》. 버클리: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XI쪽. ISBN 978-0520222526.
- ↑ 《The Garland Encyclopedia of World Music: Australia and the Pacific Islands Vol.9》. Milton Park: 테일러 앤드 프랜시스. 2017. 450쪽. ISBN 978-1351544320.
At the Pacific Festival of Arts in 1985 and 1988, sixth-graders at the Nauru Primary School presented the frigate bird (iti), a Nauruan dance. The students practiced daily for two months. The boys clapped and sang while the girls danced, por-traying te birds' flight and perching.... In 1994, at the Children's Convention in Fukuoka, Japan, ten eleven-year-old boys and girls from Nauru performed the dogoropa, a dance with sticks, which men and women from Nauru had performed at the Festival of Arts in 1980.
- ↑ “Let's Meet the World: Nauru”. Expo 2012 Yeosu Korea. 2012년 8월 7일.
- ↑ 《Nauru Business Law Handbook Volume 1: Strategic Information and Basic Laws》. International Business Publications, USA. 2013. 108쪽. ISBN 978-1438770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