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낙우송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낙우송속
화석 범위:
백악기 후기~현재
낙우송 (T. distichum)
낙우송 (T. distichum)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문: 구과식물문
강: 구과식물강
목: 구과목
과: 측백나무과
아과: 낙우송아과
속: 낙우송속 (Taxodium)

낙우송속(落羽松屬, Taxodium)은 측백나무과의 한 이다. 대표적인 종으로 미국 원산의 낙우송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조경 또는 조림 목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속명은 라틴어로 ‘주목’을 뜻하는 ‘탁수스’(taxus)와 그리스어로 ‘비슷하다’는 뜻을 가진 ‘에이도스’(εἶδος)의 조어이다.[1]

낙우송속은 측백나무과 내에서 수송 (Glyptostrobus pensilis) 및 삼나무 (Cryptomeria japonica)와 매우 가깝다. 낙우송속에 속하는 종들은 북아메리카 대륙의 남부 지역에 분포하며 이 지역의 이북 지역에 사는 종들은 활엽수이고 이남 지역에 사는 종들은 반상록수 내지 상록수이다.

특징

[편집]

높이 30~46m, 흉고직경 2~11m에 달하는 큰키나무이다.낙우송속에 속하는 종들은 북아메리카 대륙의 남부 지역에 분포하며 이 지역의 이북 지역에 사는 종들은 활엽수이고 이남 지역에 사는 종들은 반상록수 내지 상록수이다.

길이 0.5~2cm의 침엽에 나선형으로 맺혀있으며, 싹의 양 옆에서 평평한 두 줄로 나타나도록 밑부분이 꼬여있다. 구과는 원형이며 지름 2~3.5cm이고 실편 10~25개이고, 각각의 실편에 한두 개의 씨앗이 달린다. 꽃가루받이 후 7~9개월이 지나면 익으며, 씨앗을 방출하기 위해 해체된다. 수구화수는 총상꽃차례가 축 늘어진 모습으로 달리고, 초봄에 꽃가루를 분출한다. 낙우송류는 물가나 물 속에서 생장할 때 기근괴를 만들어낸다. 이 뿌리의 기능은 현재 지속되는 연구 주제이다.

하위 종

[편집]

낙우송속의 현존하는 세 분류군은 여기서 별개의 종으로 취급되지만, 일부 식물학자들은 이들을 한두 개의 종으로만 취급하고 나머지 종은 처음 설명한 종의 변종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이 세 종은 생태적인 특징으로 구별 가능하며,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라지만 서로 서식지가 겹치는 곳에서는 교잡화가 일어나기도 한다.

그림 학명 향명 분포 지역
Taxodium ascendens Brongn. 아스켄덴스낙우송
pond cypress
낙우송의 서식 범위 내에 분포하지만,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루이지애나주에까지 이르는 남동부 해안 평야에서만 자란다. 잔잔한 흑수하천, 연못 및 미사가 풍부한 홍수퇴적물이 없는 늪지대에 서식한다.
Taxodium distichum (L.) Rich. 낙우송
bald cypress
델라웨어주에서 텍사스주루이지애나주, 미시시피강 물가에서 인디애나주 남부에 이르는 미국 동남부의 대부분 지역에 서식한다. 주로 미사가 풍부한 홍수퇴적물이 있는 강을 따라 분포한다.
Taxodium mucronatum Ten. 몬테주마낙우송
Montezuma cypress, ahuehuete, sabino
로어 리오그란데 밸리(Lower Rio Grande Valley) 남쪽으로 과테말라 고지대까지 분포하며, 앞선 두 종과는 다르게 대체로 상록수이다. 멕시코 오아하카주산타마리아델툴레(Santa María del Tule)에 서식하는 툴레 나무(Arbol del Tule)는 높이 43m이며, 흉고직경이 11.42m로 현존하는 낙우송 나무들 중 나무줄기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나무이다. 낙우송 및 아스켄덴스낙우송처럼 늪지대에서 사는 게 아닌 같은 늪지대가 아닌 개울과 강둑에 서식하는 하안 수종이다.
  • Taxodium dubium (Sternb.) Heer

과거에 낙우송속으로 분류된 수종

[편집]

쓰임새

[편집]
얕은 물가에 있는 기근괴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위티 호)

이 나무들은 특히 목재로 유명한데, 그 중 심재부패에 강하며 흰개미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심재에는 천연 보존제로 작용하는 '사이프러센'(cypressene)으로 불리는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을 함유하고 있다.[3] 사이프러센이 나무에 축적되는 데 수십 년이 걸리기 때문에 원시림에서 벌채한 목재는 2차생장목에서 벌채한 목재보다 부패에 더 강하다.[4] 그러나 나이를 먹을수록 반점썩음병균(Pecky Rot fungus, Stereum taxodii)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하게 된다. 이 식물병원성 곰팡이는 낙우송류의 심재를 공격하여 나무의 속을 비게 만들어 목재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리게 된다. 과거 미국 동남부에서 지붕널을 제작하는 재료로 많이 사용되었다.[5] 나무껍질을 잘게 쪼개 조경 등에 쓰이는 멀칭재로 사용한다.

진화

[편집]
800만 년 전 Taxodium dubium의 잎 화석 (독일 함바흐 갈탄 노천광산)

지구의 역사에서 낙우송속은 오늘날과는 달리 북반구에 좀 더 넓게 퍼져 있었다.[6] 가장 오래된 화석은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 걸쳐진 백악기 후기 퇴적층에서 발견된 것이다.[7] 약 250만 년 전인 플리오세까지 유럽에 남아 있었다.[8]

각주

[편집]
  1. Everett, Thomas H. (1982). 《The New York Botanical Garden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orticulture》 10. Taylor & Francis. 3299쪽. ISBN 978-0-8240-7240-7. 
  2. “GRIN Species Records of Taxodium.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0년 11월 30일에 확인함. 
  3. Buchanan, M. A. (1965년 10월 7일). “The Fatty Materials in Southern Cypress Wood” (PDF). Institute of Paper Chemistry: 3. 2009년 10월 11일에 확인함. 
  4. Sternberg, Guy (2004). 《Native trees for North American landscapes: from the Atlantic to the Rockies》. Timber Press. 476쪽. ISBN 978-0-88192-607-1. 
  5. Toliver, L. P.; Wilhite, J. R. Taxodium distichum (L.) Rich.”. 《Silvics》. 2009년 10월 11일에 확인함. 
  6. McNair, D.M.; D.Z. Stults; B. Axsmith; M.H. Alford; J.E. Starnes (2019).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a diverse megafossil floral assemblage from the middle Miocene of southern Mississippi, USA” (PDF). 《Palaeontologia Electronica》 22 (2). doi:10.26879/906. 
  7. Kalandadze, N. N.; Kurzanov, S. M. (1974). “Nizhnemelove mestonakhozhdeniya nazemnykh pozvonochnykh Mongolii [Lower Cretaceous terrestrial vertebrate localities of Mongolia]”. 《Mesozoic and Cenozoic Faunas and Biostratigraphy of Mongolia.》. 
  8. Eckenwalder, James E. (2009년 11월 14일). 《Conifers of the World》. Timber Press. 591쪽. ISBN 978-0-88192-974-4.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