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자이언트가는꼬리구름쥐
보이기
|
| |
|---|---|
남부자이언트가는꼬리구름쥐 | |
| 생물 분류ℹ️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쥐목 |
| 아목: | 쥐아목 |
| 과: | 쥐과 |
| 아과: | 쥐아과 |
| 족: | 큰구름쥐족 |
| 속: | 큰구름쥐속 |
| 종: | 남부자이언트가는꼬리구름쥐 (P. cumingi) |
| 학명 | |
| Phloeomys cumingi | |
| (Waterhouse, 1839) | |
학명이명 | |
|
Capromys elegans Cabrera, 1901 | |
| 남부자이언트가는꼬리구름쥐의 분포 | |
남부자이언트가는꼬리구름쥐의 분포 지역 | |
| 보전상태 | |
|
| |
남부자이언트가는꼬리구름쥐 또는 남부루손자이언트구름쥐(Phloeomys cumingi)는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필리핀에서만 발견된다. 머리부터 몸까지 몸길이는 44~48cm이다. 꼬리 길이는 32~35cm이다. 몸무게는 1.45~2.1kg이다.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수상성 동물이며, 야행성 동물이다. 나무 구멍 속에 둥지를 만들고, 먹이를 구할 때는 땅에 내려온다. 먹이는 나무 잎과 꽃, 농작물 등이다. 포획 상태에서 수명은 약 14년이다.
각주
[편집]- ↑ Heaney, L.; Balete, D.; Rosell-Ambal, G.; Tabaranza, B.; Ong, P.; Ruedas, L.; Gonzales, J.C.; Oliver, W. (2008). “Phloeomys cuming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IUCN) 2008: e.T17003A6713672. 2016년 8월 6일에 확인함.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3판 (영어).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94–153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