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상정
보이기
남상정 남상정 | |
|---|---|
| 출생명 | 남상정 |
| 출생 | 1952년 12월 27일(72세)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녕군 |
| 국적 | 대한민국 |
| 시민권 | 대한민국 |
| 학력 | 서울대학교 터프츠 대학교 플레처 스쿨 |
| 경력 | 주 네팔 대한민국 대사 (2006년~2009년) 주 과테말라 대한민국 대사 (2009년~2012년) 경상북도 국제관계자문대사 (2008년~2009년) 주OECD 대한민국 대표부 참사관 (1998년~2000년대 초) 미국 로스앤젤레스 총영사관 영사 (2000년대 초) |
| 직업 | 외교관 |
| 활동 기간 | 1981년 ~ 2012년 |
| 고용주 | 대한민국 외교부 |
| 전직 | 주 네팔 대한민국 대사 주 과테말라 대한민국 대사 |
| 남상정 | |
|---|---|
| 한글 표기: | 남상정 |
| 한자 표기: | 南相正 |
| 개정 로마자 표기: | Nam Sang-jeong |
| 매큔-라이샤워 표기: | Nam Sang-jŏng |
| 예일 표기: | Nam Sang-ceng |
| 공식 로마자 표기: | Sang‑Jung Nam |
남상정(南相正, 1952년 12월 27일 ~ )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다.[1] 1981년 외무고시 15회로 외무부에 입부했으며, 2006년 주 네팔 대사, 2009년 주 과테말라 대사를 역임했다.[2][3][4]
생애
[편집]경상남도 창녕에서 태어났다.[1] 경복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한 뒤 터프츠 대학교 플레처 스쿨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1] 1981년 외무부(현 대한민국 외교부)에 입부해 재외공관과 본부에서 통상·지역협력 업무, 주OECD 대표부, 미주 공관 등에서 근무했다.[1][5]
경력
[편집]- 1981년 12월: 외무부 입부(제15회 외무고시).[1]
- 1986년 6월: 주덴마크 대사관 2등서기관.[1]
- 1992년 11월: 주케냐 대사관 1등서기관.[1]
- 1997년 8월: 외무부 경제협력1과장.[1]
- 1998년 3월: 외무부 지역협력과장.[1]
- 1998년 12월: 주OECD 대한민국 대표부 참사관.[1][5]
- 2000년 12월: 미국 로스앤젤레스 총영사관 영사.[1]
- 2003년 8월: APEC정상회의 준비기획단 파견.[1]
- 2004년 6월: 주페루 공사참사관.[1]
- 2006년 2월: 주 네팔 대한민국 대사.[2]
- 2008년 11월~2009년: 경상북도 국제관계자문대사(파견).[6][7]
- 2009년 9월~2012년: 주 과테말라 대한민국 대사(제11대).[3][4]
주요 활동
[편집]- 네팔 (2006~2009)
- 2007년 6월, 네팔 시사주간지 《Spotlight》와의 대담에서 한-네팔 관계 및 전자정부 협력, 근로자고용허가제(EPS) 등 양국 협력 의제를 설명했다.[8][9]
- 같은 해 5월, 카트만두에서 열린 한‑네팔 미술교육 워크숍 개막식에서 “The programme will strengthen ...”이라고 발언한 내용이 현지 영자지에 인용되었다.[10]
- 당시 네팔의 정치·경제 여건과 대한(對韓) 투자 전망을 설명하는 인터뷰가 보도되었다.[11]
- 경상북도(지방외교 파견, 2008~2009)
- 경상북도 국제관계자문대사로서 지방정부 국제협력, 독도 관련 대외 홍보, 국제행사 대응 등 현안을 자문했다.[6]
- 동아일보 인터뷰에서 ‘생활 외교’와 민간 외교의 중요성을 언급했다.[12]
- 과테말라 (2009~2012)
외교적 관점
[편집]네팔 재임 중 전자정부 협력, 항공 직항로 개설, 근로자고용허가제(EPS) 추진 등 ‘제도·인적 교류’의 기반을 강조했으며,[8] 지방정부 파견 기간에는 ‘생활 외교’와 민간의 국제교류 활동을 통한 대외 인식 제고의 필요성을 설명했다.[12]
보도 및 평가
[편집]- 2007년 6월 네팔 주간지 《Spotlight》는 표지에 “Interview: Sang Jung Nam”이라는 문구를 싣고, 본문에서 그를 ‘경력 외교관(a career diplomat)’으로 소개하였다.[9]
- 《The Himalayan Times》의 경제면 기사에서는 “South Korean ambassador to Nepal Sang Jung Nam has said …”라는 문구로 그의 발언을 보도하였다.[11]
- 2008년 12월 《동아일보》는 그가 경상북도 파견 직후 독도 현장을 방문한 뒤 “이제 ‘생활 외교’의 시대”라고 언급했다고 전하였다.[12]
연표
[편집]연표 (펼치기)
| 연도 | 사건 | 출처 |
|---|---|---|
| 1952 | 경상남도 창녕군 출생 | [1] |
| 1972 | 경복고등학교 졸업 | [2] |
| 1979 |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졸업 | [3] |
| 1981 | 외무부 입부(제15회 외무고시) | [4] |
| 1985 | 터프츠 대학교 플레처 스쿨 석사 취득 | [5] |
| 1986 | 주덴마크 대사관 2등서기관 | [6] |
| 1992 | 주케냐 대사관 1등서기관 | [7] |
| 1997 | 외무부 경제협력1과장 | [8] |
| 1998 | 외무부 지역협력과장 | [9] |
| 1998 | 주OECD 대표부 참사관(표기) | [10] [11] |
| 2000 | 미국 로스앤젤레스 총영사관 영사 | [12] |
| 2003 | APEC정상회의 준비기획단 파견 | [13] |
| 2004 | 주페루 공사참사관 | [14] |
| 2006 | 주 네팔 대한민국 대사 임명 | [15] |
| 2007 | 《Spotlight》 인터뷰 게재(6월 1–7일 호) | [16] [17] |
| 2007 | 카트만두 미술교육 워크숍 발언 보도 | [18] |
| 2007 | 네팔 내 대한(對韓) 투자 관련 발언 보도 | [19] |
| 2008 | 경상북도 국제관계자문대사(파견) | [20] [21] |
| 2009 | 주 과테말라 대한민국 대사 신임장 수여(9월 3일) | [22] |
| 2009 | 주 과테말라 대한민국 대사 부임(제11대) | [23] |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경북도 국제자문대사에 남상정 전 주한 네팔대사”. 2008년 11월 1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외교부 신임 공관장”. 2006년 3월 1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신임장 받는 남상정 주과테말라 대사”. 2009년 9월 3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한국과의 관계(2013.10월 현재)”. 2013년 10월 11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Progress in the Fight Against Corruption in Asia and the Pacific” (PDF) (영어). 2001년 11월 16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경북도, 국제관계자문대사에 남상정씨”. 2008년 11월 1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 ↑ “경북도 국제관계자문대사에 남상정 전 네팔대사 임명”. 2008년 11월 2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네팔] 남상정 대사 / Spotlight / 인터뷰 (2007.6.1–7)” (영어). 2007년 8월 17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SPOTLIGHT, June 01–07, 2007 (Interview: Sang‑Jung Nam)” (PDF) (영어).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 ↑ “Korea‑Nepal Art Education meet begins” (영어). 2007년 5월 22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South Korean investments ‘on the way’” (영어).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대구/경북] 이 사람/남상정 경북도 국제관계 자문대사”. 2008년 12월 5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