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축구 올림픽 기록 목록
보이기
다음은 1908년 남자 축구가 올림픽 공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래 역대 올림픽 남자 축구 종목의 기록 목록이다.
메달순위
[편집]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는 공동 동메달이 나왔다.
순위 | 나라 | 금 | 은 | 동 | 합계 |
---|---|---|---|---|---|
1 | ![]() | 3 | 1 | 1 | 5 |
2 | ![]() | 3 | 0 | 0 | 3 |
3 | ![]() | 2 | 3 | 2 | 7 |
4 | ![]() | 2 | 2 | 0 | 4 |
5 | ![]() | 2 | 0 | 3 | 5 |
6 | ![]() | 2 | 0 | 0 | 2 |
7 | ![]() | 1 | 3 | 1 | 5 |
8 | ![]() | 1 | 3 | 0 | 4 |
9 | ![]() | 1 | 2 | 0 | 3 |
10 | ![]() | 1 | 1 | 1 | 3 |
![]() | 1 | 1 | 1 | 3 | |
12 | ![]() | 1 | 1 | 0 | 2 |
![]() | 1 | 1 | 0 | 2 | |
14 | ![]() | 1 | 0 | 2 | 3 |
![]() | 1 | 0 | 2 | 3 | |
16 | ![]() | 1 | 0 | 1 | 2 |
![]() | 1 | 0 | 1 | 2 | |
18 | ![]() | 1 | 0 | 0 | 1 |
![]() | 1 | 0 | 0 | 1 | |
20 | ![]() | 0 | 3 | 1 | 4 |
21 | ![]() | 0 | 1 | 1 | 2 |
![]() | 0 | 1 | 1 | 2 | |
23 | ![]() | 0 | 1 | 0 | 1 |
![]() | 0 | 1 | 0 | 1 | |
![]() | 0 | 1 | 0 | 1 | |
![]() | 0 | 1 | 0 | 1 | |
27 | ![]() | 0 | 0 | 3 | 3 |
28 | ![]() | 0 | 0 | 1 | 1 |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
합계 (34개) | 27 | 27 | 28 | 82 |
최다 득점자
[편집]1908년 런던 올림픽에서 남자 축구 대회가 처음 열린 이래 역대 최다 득점자는 덴마크의 소푸스 닐센과 헝가리의 안탈 두나이가 13골 득점으로 공동기록을 지니고 있다. 소푸스 닐센은 1908년 런던 올림픽에서 11골,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에서 2골을 넣었고, 두나이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6골,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7골을 넣었다.
단일 대회 최다 득점자는 헝가리의 페렌츠 베네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12골을 기록했다. 단일 경기 최다 득점자는 10골을 기록한 소푸스 닐센과 고트프리트 푹스로, 소푸스 닐센은 1908년 프랑스와의 준결승전에서, 푹스는 1912년 러시아와의 1차 경기에서 기록하였다.
올림픽 역사상 가장 빠른 득점자는 브라질의 네이마르로, 2016년 8월 17일 온두라스와의 준결승 경기에서 경기 시작 14초 만에 골을 기록했다.[1]
대회별[편집]대회별 최다 득점자 순위
|
통산[편집]역대 최다 득점자 (7득점 이상)
|
국가대표팀 성적 기록
[편집]아래 기록들의 순서는 해당 기록을 먼저 달성한 국가대표팀부터 나열하였다.
- 최다 우승 기록
- 3회:
영국 ( 1900, 1908, 1912) /
헝가리 ( 1952, 1964, 1968 )
- 최다 2위권 기록
- 5회:
브라질 ( 1984, 1988, 2012, 2016, 2020 )
- 최다 3위권 기록
- 7회:
브라질 ( 1984, 1988, 1996, 2008, 2012, 2016, 2020 )
- 최다 4위권 기록
- 8회:
브라질 ( 1976, 1984, 1988, 1996, 2008, 2012, 2016, 2020 )
- 최다 본선 진출
- 15회:
이탈리아 ( 1912, 1920, 1924, 1928, 1936, 1948, 1952, 196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
최연속 기록
[편집]- 최연속 메달
- 4회:
유고슬라비아 (1948~1952~1956~1960) /
헝가리 (1960~1964~1968~1972) /
브라질 (2008–2012–2016–2020)
- 최연속 금메달
- 2회:
영국 (1908~12)[a] /
우루과이 (1924~28) /
헝가리 (1964~68) /
아르헨티나(2004~08) /
브라질 (2016~20)
- 최연속 은메달
- 3회:
유고슬라비아 (1948~52~56)
- 최연속 동메달
- 3회:
네덜란드 (1908~12~20)
- 최연속 3위권 진출
- 3회:
소련 (1972~1980)[b]
- 최연속 우승팀 소속 연맹
- 13승: UEFA (1936-1992)
- 최연속 승리
- 12승:
아르헨티나 (2004~2008), 대회당 6승
간격
[편집]개최국
[편집]기타
[편집]- 미우승국 최다 2위권 진입
- 3회:
덴마크 (1908, 1912, 1960)
- 미우승국 최다 3위권 진입
- 4회:
덴마크 (1908, 1912, 1948, 1960)
- 미우승국 최다 4위권 진입
- 4회:
네덜란드 (1908, 1912, 1920, 1924) /
덴마크 (1908, 1912, 1948, 1960)
국가대표팀 경기 기록
[편집]역대 기록
[편집]- 최다 경기 출전
- 66회:
브라질
- 최다 승리
- 38승:
브라질
- 최다 패배
- 23패:
이탈리아
- 최다 무승부
- 13무:
대한민국
- 최다 득점
- 134점:
브라질
- 최다 실점
- 102점:
세르비아
- 최소 실점
- 1점:
에스토니아
개인 기록
[편집]- 최다 경기 출전 (결승전 경험 선수)
- 13회: 데조 노바크 (
헝가리, 1960~1968) / 안탈 두나이 (
헝가리, 1964~1972) / 라요스 슈츠치 (
헝가리, 1968~1972) / 미클로시 판치치
헝가리, 1968~1972)
하계 올림픽과 FIFA 월드컵에서 모두 우승한 선수
[편집]플레이어 | 팀 | 올림픽 우승 | 월드컵 우승 |
---|---|---|---|
호세 레안드로 안드라데 | ![]() |
1924년
1928년 |
1930년 |
페드로 세아 | |||
호세 나사시 | |||
페드로 페트로네 | |||
헥토르 스카로네 | |||
산토스 우르디나란 | |||
페레그리노 안셀모 | 1928년 | ||
엑토르 카스트로 | |||
로렌소 페르난데스 | |||
알바로 게스티도 | |||
도밍고 테헤라 | |||
알프레도 포니 | ![]() |
1936년 | 1938년 |
세르지오 베르토니 | |||
우고 로카텔리 | |||
피에트로 라바 | |||
앙헬 디 마리아 | ![]() |
2008년 | 2022년 |
리오넬 메시 |
골 득점
[편집]개인 기록
[편집]- 결승전 최다 득점
- 13점: 1908년~1912년 소퍼스 닐슨 (
덴마크) / 1964년~1972년 안탈 두나이 (
헝가리)
- 토너먼트전 최다 득점
- 12점: 1964년 페렌츠 베네 (
헝가리)
- 한 경기 최다 득점
- 10점: 소퍼스 닐슨 (
덴마크), 1908년 프랑스전 / 고트프리트 푹스 (
독일), 1912년 러시아전
- 최초 득점자
- 닐스 미델보에 (
덴마크), 1908년 10월 19일 프랑스전
- 최연소 득점자
- 16년 332일: 앙헬 우리베 (
페루), 1960년 8월 26일 프랑스전
- 최고령 득점자
- 38년 243일: 라이언 긱스 (
영국), 2012년 7월 29일 아랍에미리트전
국가대표팀 기록
[편집]- 한 경기 최다 득점, (특정팀)
- 17점: 1908년
덴마크 vs
프랑스
- 한 경기 최다 득점 (양팀)
- 18점: 1908년
덴마크 (17) vs
프랑스 (1)
- 최다득점 무승부
- 5-5: 1952년
소련 vs
유고슬라비아
- 토너먼트 최소 득점
- 0점: 2004년
아르헨티나
토너먼트
[편집]- 토너먼트전 최다 득점
- 135골: 1952년 헬싱키 올림픽, 1972년 뮌헨 올림픽
- 토너먼트전 최다 득점
- 48골: 1908년 런던 올림픽
- 한 경기 최다 평균 득점
- 경기당 8.00골: 1908년 런던 올림픽
- 한 경기 최소 평균 득점
- 경기당 2.34골: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수상팀 감독
[편집]종목 | 금 | 은 | 동 |
---|---|---|---|
1904 | ![]() |
![]() |
없음 |
1908 | ![]() |
![]() |
![]() |
1912 | ![]() |
![]() |
![]() |
1920 | ![]() |
![]() |
![]() |
1924 | ![]() |
![]() |
![]() |
1928 | ![]() |
![]() |
![]() |
1936 | ![]() |
![]() |
![]() |
1948 | ![]() |
![]() |
![]() |
1952 | ![]() |
![]() |
![]() |
1956 | ![]() |
![]() |
![]() ![]() |
1960 | ![]() |
![]() |
![]() |
1964 | ![]() |
![]() |
![]() |
1968 | ![]() |
![]() |
![]() |
1972 | ![]() |
![]() |
![]() |
1976 | ![]() |
![]() |
![]() |
1980 | ![]() |
![]() |
![]() |
1984 | ![]() |
![]() |
![]() |
1988 | ![]() |
![]() |
![]() |
1992 | ![]() |
![]() |
![]() |
1996 | ![]() |
![]() |
![]() |
2000 | ![]() |
![]() |
![]() |
2004 | ![]() |
![]() |
![]() |
2008 | ![]() |
![]() |
![]() |
2012 | ![]() |
![]() |
![]() |
2016 | ![]() |
![]() |
![]() |
2020 | ![]() |
![]() |
![]() |
하계 올림픽과 FIFA 월드컵에서 모두 우승한 감독
[편집]감독 | 대표팀 | 올림픽 우승 | 월드컵 우승 |
---|---|---|---|
비토리오 포조 | ![]() |
1936년 | 1934년, 1938년 |
규칙 기록
[편집]관객 기록
[편집]- 경기당 최다 평균 관객
- 47,660명: 2012년 런던 올림픽
- 경기당 최저 평균 관객
- 3,333명: 1908년 런던 올림픽
각주
[편집]참고자료
[편집]- ↑ “Video: Watch Neymar net the fastest goal in Olympic history to take host nation Brazil into football final”. 2016년 8월 18일. 2016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1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