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보성선
목포보성선 | |
---|---|
![]()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 |
종류 | 지선철도 |
기점 | 신보성역 (전라남도 보성군) |
종점 | 임성리역 (전라남도 목포시) |
역 수 | 7 |
노선 번호 | 30711 |
개통일 | 2025년 9월 27일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관리)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노선 제원 | |
영업 거리 | 79.2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수 | 단선 |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
목포보성선(木浦寶城線)은 보성연결선 신보성역에서 호남선 임성리역에 이르는 경전선의 지선 철도이다. 이 구간이 완성되면 장흥, 강진, 해남, 영암에 철도가 들어가며, 한국철도가 목포와 부산을 더 빠르게 이어주게 된다. 코레일의 열차명은 남해선(南海線)[1][2]이다.
연혁
[편집]- 1998년 12월: 이 노선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진행했다.
- 1999년 12월: 국가기간교통망 계획(1999/12, 건설교통부)에 후반기 계획(2010~2019년)으로 포함
- 2000년 12월: 이 노선에 대한 기본계획이 수립되었다. 당시 B/C값은 복선 기준 0.7, 단선 기준 1.04로 나오면서 단선으로 추진
- 2003년 12월 24일: 노반공사계약(턴키구간, 2, 7공구 : 장흥, 무안) 및 착공
- 2005년 11월 1일: 실시계획 고시[3]
- 2007년 4월: 턴키 구간 공사 중단.
- 2011년 1월: 국토해양부의 국가기간교통망계획 2차 수정계획에 포함.
- 2011년 3월 25일: 간이타당성 재조사 심의과정 통과.(복선전제단선->단선, 준고속선으로 속도 향상)
- 2015년 11월 12일: 재착공식[4]
- 2019년 11월 27일: 전철화 확정[5]
- 2025년 5월 12일: 철도거리표 고시[6]
- 2025년 9월 27일: 개통
역사
[편집]2003년에 착공되었으나, 예산 부족으로 2006년에 착공중인 2개공구중 1개공구는 터널굴착이 중지되고 나머지 한 공구는 인부가 철수하는 사태가 일어났다.[7] 2007년 4월에 공사가 완전 중지되었다. 노무현 정부 말에 사업 재개 및 정상 개통을 결정했으나[8] 이명박 정부에서 사업을 재개하지 않았다.
2009년에 감사원은 5개 노선에 대해 재검토를 권고했는데, 이명박 정부에선 영남지역 철도는 공사를 계속 하고 이 노선만 사업을 재개하지 않았다.[9] 2014년에 국회에서 사업재개를 위한 예산이 편성되었다.[10] 공사 재개는 2015년 11월에 이루어졌다. 2019년 11월 전철화 결정으로 개통이 미뤄졌다.
2025년 9월 26일에 개통식을 열었으며, 9월 27일부터 정식 운행하기 시작했다.[11] 디젤기관차 기반의 무궁화호와 새마을호가 투입되며, 평일(월~목) 왕복 8회, 주말(금~일) 왕복 10회로 운행된다. 부전 ~ 목포 여객열차가 기존 경전선에서 목포보성선으로 변경됨에 따라 광주송정역으로 올라가지 않게 되면서 무궁화호 소요시간은 기존 6시간 43분에서 5시간 21분으로 약 1시간 20분 정도 단축되었다. 무궁화호 요금도 24,500원에서 21,900원으로 인하되었다.
역 목록
[편집]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신보성 | Sinboseong | 新寶城 | 0.0 | 0.0 | 보성연결선 | 전라남도 | 보성군 | |
장동 | Jangdong | 長東 | 8.5 | 8.5 | 장흥군 | |||
전남장흥 | Jeonnamjangheung | 全南長興 | 12.4 | 20.9 | ||||
강진 | Gangjin | 康津 | 13.8 | 34.7 | 강진군 | |||
해남 | Haenam | 海南 | 13.5 | 48.2 | 해남군 | |||
영암 | Yeongam | 靈岩 | 17.7 | 65.9 | 영암군 | |||
임성리 | Imseong-ri | 任城里 | 13.3 | 79.2 | 호남선 | 목포시 | 기존역 |
보성연결선
[편집]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미력 | Miryeok | 彌力 | 0.0 | 0.0 | 경전선 | 전라남도 | 보성군 | |
신보성 | Sinboseong | 新寶城 | 2.4 | 2.4 | 목포보성선 |
외부 링크
[편집]각주
[편집]- ↑ 보성~임성리 철도건설사업 노선명 및 역명 심의자료 제출. 보성임성리사업단TF-1199(2024.11.04)
- ↑ 철도노선도(2025.01.01 기준)
- ↑ 건설교통부고시제2005-332호
- ↑ 박성우 기자 (2015년 11월 12일). “보성-목포 82.5㎞ 철도건설 착공…2020년 완공”. 《연합뉴스》.
- ↑ 박경우 기자 (2019년 11월 27일). “목포~보성 남해안철도 전철화 확정 ‘2022년 2시간40분’”. 《한국일보》.
- ↑ 국토교통부고시제2025-230호
- ↑ 여운창 기자 (2006년 9월 28일). “목포-보성 철도공사 중단”. 《연합뉴스》.
- ↑ 신홍범 기자 (2007년 11월 25일). “고속도로 교통망 2019년 2배로 확충”. 《파이낸셜 뉴스》.
- ↑ 손은수 기자 (2013년 10월 30일). “주승용 의원, "보성~임성리 구간 국토부 200억 요구에 기재부 2억 반영"”. 《미디어 워치》.
- ↑ 조근영 기자 (2014년 12월 2일). “'공사 중단' 목포-보성 남해안철도 9년 만에 재개”. 《연합뉴스》.
- ↑ 정대하 기자 (2025년 9월 26일). “목포보성선 철도 27일부터 정식 운행…“남해안 시대 활짝 기대””. 《한겨레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