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항선
보이기
	
	
| 울산항선 | |
|---|---|
| 기본 정보 | |
| 운행 국가 | |
| 종류 | 지선철도 | 
| 상태 | 영업 중 | 
| 기점 | 태화강역 (울산광역시 남구)  | 
| 종점 | 울산항역 (울산광역시 남구)  | 
| 역 수 | 2 | 
| 노선 번호 | 31105 | 
| 개통일 | 1951년 8월 1일 | 
| 일시적 운행 중단일 | 2022년 4월 1일 |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 노선 제원 | |
| 영업 거리 | 4.6 km | 
| 궤간 | 1,435 mm(표준궤) | 
| 선로 수 | 1 | 
| 전철화 | 없음 | 
울산항선(蔚山港線)은 울산광역시의 태화강역에서 울산항역까지를 잇는 총연장 4.6km인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화물 전용선)으로, 개통 당시에는 울산선이라 불렸다. 과거에는 평일 한정으로 부산신항역 ~ 울산항역간 정규열차가 왕복 1편으로 운행했었다.(태화강역까지 운행후 울산항역까지는 구내입환으로 운행한다.) 아울러, 종점인 울산항역은 대한민국의 최동단의 역이기도 하다.
연혁
[편집]- 1951년 8월 1일 : 야음-울산항 간 노선 신설[1]
 - 1992년 8월 20일 : 야음역이 울산시가지 철도 이설공사에 의하여 없어짐에 따라 울산역과 접속함.
 - 2017년 12월 18일 : 울산역에서 태화강역(太和江驛)으로 변경[2]
 - 2019년 4월 17일 :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1105로 변경[3]
 - 2022년 4월 1일: 운행중단.[4]
 - 2023년 11월: 운행 재개(시험선)
 - 2027년 : 도시철도로 편입 계획중
 
역 목록
[편집]|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거리 (km)  | 
영업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 태화강 | Taehwagang | 太和江 | 0.0 | 0.0 | 동해선· | 
울산광역시 | 남구 | |
| 야음 | Yaeum | 也音 | 폐역 | |||||
| 울산항 | Ulsanhang | 蔚山港 | 4.6 | 4.6 | 무인역 | |||
사건/사고
[편집]2013년 11월 6일 울산 매암동 울산항선 철로 매암건널목에서 화물열차와 울산대학버스가 서로 충돌했다.[5] 경찰의 사고원인을 분석한 결과, 화물열차가 후진하면서 건널목 차단기가 오작동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래
[편집]2020년에 현대로템과 울산시가 MOU를 체결하면서 울산 도시철도 및 현대로템 수소전기트램 실증노선으로 선정되어 2023년 10월부터 12월까지 실증노선으로 운영할 계획이다.[6] 2023년 말에 시험선으로 개통했다. 원래 폐선할 예정인데 도시철도로 편입할 계획이 생겨 사실상 폐선 계획은 무산이 된거로 보인다.
각주
[편집]- ↑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141호 (1951-08-01)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839호, 2017년 12월 18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22-165호 (2022-04-01)
 - ↑ 김인철 기자 (2013년 11월 6일). “열차·대학버스 충돌 15명 부상”. 《YTN》.
 - ↑ 최창환 기자 (2020년 7월 2일). “울산에서 국내 최초 ‘수소트램’ 달린다”. 《경상일보》.
 
| 이 글은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